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지키는 명절. | ||||||
|
음력 5월 5일. 수릿날 ·천중절(天中節)이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중오(重午) ·중오(重五) ·단양(端陽) ·오월절이라고도 한다. 단오는 초오(初五)의 뜻으로 5월의 첫째 말[午]의 날을 말한다. 음력으로 5월은 오월(午月)에 해당하며 기수(奇數:홀수)의 달과 날이 같은 수로 겹치는 것을 중요시한 데서 5월 5일을 명절날로 하였다. 단오는 중국 한대(漢代)의 문헌에도 나타나는데, 옛날부터 5월은 비가 많이 오는 계절로 접어드는 달로 나쁜 병이 유행하기 쉽고, 여러 가지 액(厄)을 제거해야 하는 나쁜 달로 보아, 예방조치로서 여러 가지 미신적인 풍습이 생겨났다. 중국의 옛 풍속을 전하는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따르면 단오에는 약초를 캐고, 재액을 예방하기 위하여 쑥으로 만든 인형 ·호랑이를 문에 걸었으며, 창포주 ·웅황주(雄黃酒)라는 약주를 마셨다. 약초 ·창포 ·쑥 등을 이용한 것은 강한 향기와 약성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 전국시대 초(楚)나라 시인 굴원(屈原)이 멱라수(汩羅水)에 빠져 죽었다는 고사에서, 그의 죽음을 슬퍼하는 뜻으로 대나무통에 쌀을 넣고 소태나뭇잎으로 감아 물 속에 던지던 풍습이 변하여, 지금은 대나뭇잎으로 싸서 찐 떡을 먹는 풍습이 되었다고 한다. 또 굴원을 작은 배로 구한다는 뜻의 놀이로서 일종의 보트레이스인 용선경도(龍船競渡)가 지금까지 전한다. 한국의 경우, 고대 마한의 습속을 적은 《위지(魏志)》 <한전(韓傳)>에 의하면, 파종이 끝난 5월에 군중이 모여 서로 신(神)에게 제사하고 가무와 음주로 밤낮을 쉬지 않고 놀았다는 것으로 미루어, 농경의 풍작을 기원하는 제삿날인 5월제의 유풍으로 보기도 한다. 고려가요 《동동(動動)》에는 단오를 ‘수릿날’이라 하였는데 수리란 말은 상(上) ·고(高) ·신(神) 등을 의미하며, 수릿날은 신일(神日) ·상일(上日)이란 뜻을 지닌다. 여자들은 단옷날 ‘단오비음’이라 하여 나쁜 귀신을 쫓는다는 뜻에서 창포를 삶은 물로 머리를 감고 얼굴도 씻으며, 붉고 푸른 새 옷을 입고 창포뿌리를 깎아 붉은 물을 들여서 비녀를 만들어 꽂았다. 남자들은 창포뿌리를 허리춤에 차고 다녔는데 액을 물리치기 위해서라고 한다. 단옷날 아침 이슬이 맺힌 약쑥은 배앓이에 좋고, 산모의 약, 상처 치료에 썼다. 또 단옷날 오시(午時)에 목욕을 하면 무병(無病)한다 하여 ‘단오물맞이’를 하고 모래찜을 하였다. 이 밖에 단오 절식으로 수리취를 넣어 둥글게 절편을 만든 수리취떡[車輪餠]과 쑥떡 ·망개떡 ·약초떡 ·밀가루지짐 등을 먹었고, 그네뛰기 ·씨름 ·탈춤 ·사자춤 ·가면극 등을 즐겼다. |
놀이
① 씨름
바쁜 농사철이지만, 단오 때는 일손을 놓고 들녘에 나가 씨름판을 벌이며 즐거운 하루를 보냈다. 남자들은 씨름을 통해 자신의 힘이나 기량을 뽐냈다. 이 날 으뜸을 차지한 사람은 대개 황소를 한 마리 상으로 타게 된다. 씨름은 두 사람이 마주 꿇어 앉아 손으로는 상대편의 오른쪽 다리를 잡아 서로 준비가 되면 심판을 맡은 사람의 구령에 따라 동시에 일어나 겨루게 된다. 서로 들고, 걸고, 다리를 안으로 또는 밖으로 감고 잡아 두르고, 일어나는 등 여러 가지로 싸우는데 들어던져서 먼저 꺼꾸러뜨리는 이가 이기게 된다. 씨름에는 ‘왼씨름’, ‘오른씨름’, ‘띠씨름’ 등의 세가지가 있다. 왼씨름은 오른쪽 다리에 쌑바를 걸고 고개와 어깨를 왼쪽으로 돌리고 하는 씨름이며, 오른씨름은 샅바를 왼쪽다리에 걸고 오른쪽 어깨에 대고 하는 씨름이다. 또, 띠씨름은 허리에다 띠를 매어 그것을 잡고 하는 씨름이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하는 씨름은 왼씨름이다.
씨름이라는 말은 고려가 원나라와 통한 이후부터 옛 책에 나와 있다. 단오절 이외에도 가장 재미있는 놀이로서 매우 성대하게 벌인다. 이때 상으로는 황소나 광목 같은 생활 필수품을 주는 일이 많다.
② 그네
그네는 동구 밖에서 탔기 때문에 남녀유별이 엄격했던 전통 사회에서 여인들이 비교적 자유롭게 집밖으로 나와 아름다운 계절과 자연을 즐길 수 있었다.
<춘향전>에서도 성춘향과 이도령이 만나는 날이 바로 단오인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곳에 따라서는 그네뛰기 경연대회도 열린다. 그네를 잘뛰는 사람은 앞으로 오를 때 그네를 맨 나뭇가지에서 앞으로 나뭇잎을 따기도 한다. 그리고 두 사람이 마주 타고 뛰기도 하는데, 이것을 ‘쌍그네’라고 한다. 그네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이야기 되고 있는데, 그 하나는 우리 나라 강원도 강릉지방에 학문과 무술을 잘하는 선비가 있었는데, 여름이 되면 모기와 파리가 사람을 괴롭게 하므로, 이를 견디다 못해 그가 생각해 낸 것이 그네 였다는 것이다. 이것이 그네의 처음이였는데 이날이 5월 5일이였다고 한다. 단옷날은 이처럼 여자들이 하룻동안 그네를 뛰며 즐겁게 노는데, 단옷날 이튿날이 되면 동네 어른들이 나와서 그넷줄을 낫으로 잘라 버린다. 모처럼 매어 놓은 그넷줄을 이렇게 끊어 버리는 것은 그네를 너무 오래 놓아두면, 그네뛰기에 정신이 팔려 농사일에 지장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尋劍堂'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상 (7) _ 불상의 종류 _ 여래상[비로자나불상(毘盧자那佛像)] (0) | 2008.06.08 |
---|---|
원주불교대학 강의노트 - 포교 방법 (0) | 2008.06.08 |
불교 용어집(83) - 장경, 장애자, 장엄...... (0) | 2008.06.07 |
숫타니파타 - 무소의 뿔(3) (0) | 2008.06.07 |
금강경 강의(3) - 1.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 (0) | 2008.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