尋劍堂

제1회 포교사고시 문제해설(7)

難勝 2008. 10. 18. 03:37

七佛-7 제1회 포교사 문제(26~33번) 해설입니다. (일부 잘못된 해설은 질문 바랍니다.)

26. 13세기 강진에서 대중결사인 백련결사(白蓮結社)를 주창한 스님은?

 ① 의천      ② 지눌     ③ 군여      ④ 요세


본래 백련결사는 중국에서 생긴 비밀결사로 아미타불상을 건립하고 안양국(극락)에 왕생함을 추구하였습니다.

백련화사(白蓮華社) 또는 연사(蓮社), 또 채식주의여서 백련채(白蓮菜)라고도 하는데 123명을 모아 무량수불상(無量壽佛像:아미타불상) 앞에서 맹세를 세우고 서방(西方)의 정업(淨業)을 닦게 하였는데, 그 절에 백련을 많이 심었으므로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고려에서는 관료의 부패와 정신문화의 중심이던 불교마저 민초들을 아우르지 못하자 일어난 불교 개혁운동이 요세가 중심이 된 백련결사와 지눌이 중심이 된 수선결사입니다.

지눌의 수선결사는 정혜쌍수와 돈오점수를 주창하여 주로 근기가 높은 지식인을 중심으로 한 불교신앙운동이었던데 반해, 요세의 백련결사는 참회멸죄와 정토구생을 내세워 일반 서민까지도 포괄하는 신앙운동이었읍니다.


요세는 대각국사 의천 스님이 개창한 천태종을 부흥시킨 스님이며 보조국사 지눌의 수선사 결사와 더불어 고려후기 양대 결사운동인 백련결사를 일으켜 당시의 불교계에 참신한 기풍을 일으킨 고승입니다.


참고로 군여는 ?????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신라의 향가를 집대성한 고려시대의 균여대사가 아닐까 합니다.


27. 다음 중 신라시대 불교의 대중화에 공헌한 승려가 아닌 것은? 

 ① 원효        ② 의상        ③ 혜숙       ④ 대안


의상대사는 불교사상의 가장 심오한 경지라는 화엄의 종조입니다.

 중국 유학을 했고 귀족층을 중심으로 활동하신 분입니다.

 같은 화엄을 공부한 스님이라도 원효대사는 후일, 백성들 속으로 스며들어 불법의 전   파에 힘을 쏟았고, 혜숙, 혜공, 대안스님도 꼽을 수 있습니다.

 위의 분들은 모두 신라 10聖(아도, 염촉, 혜숙, 안함, 의상, 표훈, 원효, 혜공, 자장,

 사파)에 속하는 큰 스님들입니다.



28. 개화기에 일본에 건너가 일본문물을 배우고 귀국한 후 일본 국정의 견문, 분석은 물론 세계의 정세와 이에 대처할 조선왕조의 방책 등을 건의한 승려는? 

 ① 한용운      ② 권상노        ③ 이동인     ④ 이능화


이 문제는 굳이 해설을 붙이지 않습니다. 잘 모르기도 하고요.


29. 조선 태종의 폐불에 항거하기 위해 신문고를 쳐서 왕에게 직접 척불정책의 완화를 건의한 스님은? 

 ① 무학         ② 성민         ③ 기화           ④ 진산


이 문제도 역시 그런 일이 있었구나 하는 정도입니다.

 혹시 억불.폐불정책을 숭불정책으로 바꾸기라도 했으면 문제는 다르겠지만.......


30.  대승불교는 스스로를 왜 대승, 즉 큰 수레의 불교라고 하였는가?

 ① 보다 수적으로 많은 재가자가 중심이 되므로

② 출가자와 재가자를 막론하고 성불에 이르게 하므로

 ③ 승가의 중심이 되는 출가자 중심이므로     

 ④ 출가자 재가자를 모두 배제하므로


본래 초기불교에서는 일승(一乘) 즉, 성도하여 부처가 되는 길은 하나라고 보았습니다.

 사찰에서 새벽에 하는 도량석에 보면 <일승원교 대방광불 화엄경>이라는 구절도 있습   니다. 후에 불교 이론이 발전하면서 3승(三乘 : 보살, 성문, 연각), 4과(四果 : 아라한,

 아나함, 사다함, 수다원 - 금강경에도 있습니다), 해탈승 등등 성도의 길이 무한하고,   인간의 내면에는 모두 불성(佛性)이 있으므로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고 본 것이 대   승불교의 관점입니다.


31.  보살의 본래적 의미로 볼 때 다음 중 가장 보살이라 할 만한 분은? 

 ① 지식이 많은 분                           

 ② 재력이 많아 재난이 일어났을 때 도와 주는 분

③ 자기보다는 남을 앞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분 

 ④ 재력이 많아 불사를 많이 하는 분

앞의 문제 해설에서 보살도 성도의 과정임을 설명하였지만, 그 이전에 보살은 성도를   미루고 중생을 구제하는 분이라는 의미가 강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이 문제의 중간에 <가장>이라는 글이 있음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각 항목 모두 남을 위한다는 자세는 가히 보살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중국에서는 살아있는 큰 스님께도 보살이라는 칭호를 붙이기도 했습니다.

 

32. 중국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불교사상을 유사한 중국사상과 연관시켜서 이해하였다. 그러므로 한역불전을 이해하는데 노장사상을 매개로 하기도 하고 노장사상을 습합시켜서 설명하는 풍조가 생겼다.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종파불교     ② 격의불교   ③ 기복불교      ④ 호국불교


이 문제의 답은 문제가 그대로 해설입니다.

 노장사상은 중국의 노자와 장자의 도교를 말하는데 신선이 됨을 목표로 합니다.

 격의(隔意)는 거리를 두고 뜻을 전한다는 의미입니다.

 종파불교 : 주로 모시는 주불과 받들어 모시는 소의경전에 따라 불교의 종파도 많이

            분화되었는데 한국불교의 종단 설명만 해도 12쪽입니다.

            필요하신 분은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기복불교 : 자신의 성도보다는 복을 빌고, 재난을 피하는 등, 세상사의 평안을 위해

            사찰기도를 올림을 말합니다.

 호국불교 : 신라가 대표적인 예인데 국력을 신장하고, 외적의 침입을 막는데 부처님의

            위신력을 빌고자 함에서 비롯된 명칭입니다.

            원나라의 침입 당시의 고려도 호국의 염원으로 팔만대장경을 만들었는데

            이것도 호국불교라고 볼 수 있습니다.


33. 불교의 교단을 승가라고 한다.  승가라는 용어가 지니는 의미는? 

① 화합을 실현하는 단체            ② 외도를 물리치는 단체 

 ③ 기도하는 단체                   ④ 고행하는 단체


본래는 부처의 가르침을 믿고 불도를 실천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라는 의미인데 좋은

 쪽으로 판단하라고 출제된 문제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