尋劍堂
마음속의 거문고 줄
難勝
2010. 7. 3. 05:46
다시 거문고 줄을 다스리며......
거문고, 그 소리가 그칠 때 빈자리를 마음이 채워준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거문고를 늘 손이 닿을 만큼 가까운 거리에 걸어두고
책을 읽는 사이에 틈이 생기면 거문고를 당겨 간단한 곡조를 타곤 했습니다.
그것은 공부하다가 잠깐잠깐 잡념이나 사특한 마음이 생기는 것을 막으려고 그렇게 한 것입니다.
군자가 되는 길은 사특한 마음과 욕심을 다 털어버린 경지에 이르는 수준이기 때문에 부단히 노력하지 않으면 절대로 도달할 수 없지요.
그래서 예(禮)와 악(樂)을 다 동원하여 수양의 방편으로 삼았던 것입니다.
또 사특한 마음을 없애고 욕심을 털어버리는 음악은 소리가 요란할 필요도 없으며,
사람의 마음이란 소리가 계속 울릴 때보다는 소리가 그칠 때
그 소리의 빈자리를 채워주려는 데서 마음이 자란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소리가 계속 나는 관악기보다
소리의 끊음이 있는 거문고나 가야금을 좋은 악기로 친다고 합니다.
다시 마음속의 거문고 줄을 다스리며,
검은 학(鶴)의 춤을 그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