七佛-3 2007. 4. 7 불교문화(심효섭 교수님) 강의 요약입니다.
☞ 불교 건축: 목조건축과 석조건축으로 분류
1, 법당: 부처님의 집
2, 불탑: 부처님의 묘, 승탑(부도 탑)도 생김
ㄱ)고구려: 3금당 1탑
ㄴ)백 제: 1금당 1탑
ㄷ)신 라: 1금당 2탑
근본8탑: 부처님 열반 후 제자들이 시신을 다비하여 사리를 공평하게 나누어 8기의
탑을 세운 것으로 숭배의대상이됨
팔만사천탑: 아쇼카 왕이 약200년 후(B.C.272~232년경) 팔탑을 헐고 사리를 다시
나누어 전국에 세움
*인도의 탑: 복발형의 탑 (우리나라 탑의 상륜부에 남아있음)
*중국의 탑: 전탑이 발달 됨
*일본의 탑: 목탑이 발달 됨
*한국의 탑: 석탑이 발달 됨(처음은 목탑을 세웠음)
*삼국시대의 탑
1)고구려: 다층 다각의 탑(월정사8각 9층 석탑)
2)백 제: 목탑을 본떠 석탑으로 재현(미륵사 석탑)
특징은 기둥-엔타시스 형으로. 추녀-반전되고 풍경, 풍탁달음. 공포-3단의
줄로 표현.
3)신 라: 전탑을(벽돌로 쌓은 것)모방하여 석탑조성(분황사탑으로 안산암 돌을
벽돌모양으로 가공하여 조성)
특징은 기단중앙에-감실이 있고 좌우에 인왕상 2구 조각, 계단형성, 경상도에
주로 분포.
4)통일신라: 백제와 신라의 양식을 혼합한 석탑조성(동해의 감은사탑 높이13미터)
지붕-백제의 목탑형식, 공포-신라의 전탑형식(5줄로 표현,670년경)
5)고려후기~ 조선초기: 대리석으로 석탑조성(원나라 간섭기)
경천사10층 석탑(국립박물관, 1320년경, 개성)
원각사7층 석탑(서울 탑골공원, 조선 세조 때)
우리나라에만 남아있는 대리석 탑2기이다.
*원나라 간섭 기 때 라마교의 영향 받음 기단에 조각함.
기단1층-사자조각(수호의 의미)
기단2층-서유기의 원숭이 조각
기단3층-경전을 들여와 공부 하는 장면
4층-10가지 법회 묘사(1층~4층 “亞”자형)
*탑신1층-현판4, 2층-현판4, 3층-현판4, 4층-현판1(관음회)로 16장면 13개 현판으로 묘사됨(몽골역사의 영향)
5층~13층- 80부처님 조각
기단3층 탑10층으로 13층 석탑으로 보아야함 : 13개의 법회 장면조각(영산회,
법화회, 미타회, 지장회등)
6)조선시대-불교가 선종하나만 남아 탑 건축이 쇠퇴화되어 간략화, 소형화, 괴체화됨.
* 본래 법당은 부처님만 계시는 곳이었으나 신도들이 법당 안으로 들어가는 시기
ㅇ 법당 바닥이 전돌에서 마루로 변화
ㅇ 불상이 법당 중앙에서 뒷쪽으로 이동하면서 예불공간 확보, 천개(닷집) 등장
ㅇ 불교계 통합 과정에서 탑의 필요성을 덜 중시하는 선종으로 통일 되었기에
탑은 형식적, 소형화 함
'尋劍堂'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음의 종류(11) - 지장보살 (0) | 2008.04.29 |
---|---|
관음의 종류(10) - 대세지보살 (0) | 2008.04.27 |
불교 용어집(64) - 약산 유엄, 양기 방회 스님 (0) | 2008.04.27 |
법구경 - 진리에 산다(1) (0) | 2008.04.26 |
관음의 종류(9) - 보현보살 (0) | 2008.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