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생들은 무수하고 기나긴 세월 동안 지옥, 아귀, 축생, 인간, 수라, 천당의 여섯 가지 세계를 윤회한다.
여러 세계를 윤회하면서 많은 죄를 짓고, 집착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중생들은 죽으면 명계를 헤매게 된다.
사십구재란 돌아가신 영가에게 공양물을 받들어 올리고, 명계를 헤매지 말고 곧바로 극락에 가서 나기를 발원하는 것이다.
우리 인간은 누구나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인간은 죽으면 중음신으로 49일간을 지내게 된다.
죽은 뒤에 만나는 세계는 바로 어두움의 세계이다. 그런 어두움의 세계에서 중음신은 자신이 살아있을 때 지은 업보에 따라 이리저리 헤매이다가 육도에 다시 윤회하게 된다.
사십구재는 49일 동안에 지장보살님께 공양을 올려 죽은 자의 선근 공덕을 키워주고 법문을 일러주어 영가에게 삶에 대한 원한과 집착을 버리게 한다. 그리고 나서 지장보살님의 본원력으로 극락에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영가가 돌아가신 날로부터 칠 일마다 한 번씩 재를 올리고, 그 일곱 번째 재를 막재, 칠칠재 또는 사십구재라고 한다. 이렇게 칠 일에 한 번씩 재를 올리는 동안 권속들이 독경과 염불 등 많은 선행을 하여 주면, 영가가 다음 생을 받을 때 염라대왕의 심판을 받고 극락세계에 태어나는 것이다.
자신의 노력으로 선업을 지어 좋은 세계에 갈 수 있는 여유가 있는 중생들은 지장보살님의 구원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 인간들은 윤회하는 동안에 많은 업을 짓게 되고 그 업에 따라 다시 윤회를 거듭하게 된다.
좋지 않은 업은 계속 뿌리가 남아 중생 자신을 괴롭힌다. 삼악도에 빠져 쉴 사이 없이 엄습하는 고통을 받아야 한다.
염라대왕이 계시는 곳에는 사람이 죽은 뒤에 가서 자신이 생전에 한 일을 비추어 보고 그 결과에 따라 내생이 결정되는 업경대라는 거울이 있다. 지장보살님은 남염부제 중생들이 업경대 앞에 서서 심사를 받을 때 그들이 지은 공덕을 증명하시는 역할을 하신다.
또 지장보살님은 모든 중생을 제도한 뒤 부처가 되겠다는 서원을 세우셨다. 지옥세계에 빠진 중생들을 자비광명으로 저승길을 밝히시고 지혜보검의 죄의 뿌리를 끊으시고 고통받는 영가들을 극락세계로 이끌어 주신다.
지장보살님께 불공을 드리고 49재를 하는 사람은 마땅히 먼저 집착심과 원한심과 원망을 버려야 한다. 그 원한심 때문에 삼악도에 대한 과보가 초래된다.
다음에는 참회를 하여야 한다. 나를 기르기 위해 말과 소처럼 살면서 지은 조상님네의 온갖 악업을 참회하여야 한다.
그들이 지은 악업의 결과로 내가 살고 있으므로 그 업은 조상과 나 자신의 공업(共業)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49재를 지내는 자는 간절하게 기도하고 참회하는 의식을 통해서 자신의 정성이 먼저 가신 조상들께 통해서 극락세계에 가서 태어나 천도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혹여 자신만의 안일을 위해 기도한다면 그런 기도는 백 번, 천 번을 드린다고 하더라도 시간과 재물을 낭비하는 일이 된다.
이러한 마음을 가지고 간절한 마음으로 절하고 축원해야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부처님 법을 아는 사람은 자신의 뿌리인 조상을 먼저 천도해서 극락왕생하도록 해야만 자신의 사명을 다하는 것이며, 자신도 극락에 왕생할 자격을 갖출 수 있다. 그러므로 부처님 법을 만난 이들은 먼저 자신의 조상들을 천도하여 뿌리를 튼튼히 한 뒤 충실한 과실이 열리도록 해야 한다.
뿌리가 부실하다면 어찌 줄기나 잎이 튼튼해서 좋은 과실이 열린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천도재란 무엇인가
살아있는 인간을 제도하고 교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후의 영혼에게 부처님의 말씀을 들려주어 육도윤회를 벗어나 극락왕생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것이 천도재이다.
인간은 육신을 나라고 생각하며 살아간다. 사람이 죽은 후에 육신은 스러지지만 살아있을 때 육신을 나라고 집착하고 살아왔던 것처럼, 자신의 살아있을 때의 형상과 같은 자신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되니 생전에 자신이 살아온 방식에 따라 먹어야 하고 입어야 한다. 죽은 뒤 49일만에 바로 윤회해서 인간계나 다른 세계의 중생으로 태어났다면, 불완전하지만 최소한의 삶을 유지하면서 살아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생명체로 윤회하지 못하고 중간세계의 중음신으로 머물고 있다면, 이는 무주고혼이 된다.
그러므로 자신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하여 후손에게 천도하여 주기를 바라거나 자신이 머무를 곳을 찾게 마련이다.
이런 무주고혼이 된 영혼들은 자신과 인연 있는 후손들이나 특별한 관계가 있는 자들을 찾아간다.
사람들의 꿈에 나타나거나 여러가지 조짐을 통해서 자신의 처지를 호소하고 자신을 구제하여 주기를 바란다.
그런데도 후손들이 알아듣지 못하면 결국 자신의 마지막 수단으로 직접 후손들의 몸에 의탁하는 수밖에 없다. 이런 것을 전문적인 용어로 빙의현상이라고 한다.
이렇게 무주고혼의 접촉을 당한 사람들에게는 원인을 알 수 없는 고통이 발생한다. 병원에 가서 진단을 해보면 의학적으로는 별문제가 없는데도, 여전히 몸이 아픈 현상을 수반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무주고혼은 천도해 주어야 한다.
일본의 일련대사는 극락가고자 염불하는 자는 지옥에 간다고 하였다. 왜 이런 말이 나왔는가.
인간은 사는 동안 많은 업을 짓게 마련이고 악업을 짓는 일이 허다하다. 나를 낳아주고 길러 주신 조상들도 마찬가지다.
조상들이 만약 천당이나 극락에 왕생하였다면 다행스런 일이지만 자신을 낳아주고 길러주신 부모 형제나 조상님네들이 중음신으로 구천을 헤매고 다닌다거나, 지옥에 빠져서 고통을 받고 있는데 자신만 극락에 가겠다고 염불한다면 이는 잘 하는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저 혼자만 극락에 가겠다고 염불하는 놈은 지옥에 간다’고 한 것이다.
천도재는 모든 영가들이 함께 삼계에 윤회하는 고통을 벗어나서 극락에 태어나기를 기원할 뿐만 아니라, 그들이 모두 아미타부처님의 수기를 받아 모두 성불하기를 기원한다.
극락에 가서 나고자 하는 것은 고통 없이 편히 살거나 즐거움만을 누리기 위해서가 아니다.
극락세계의 모든 땅과 음식과 나무와 새와 짐승, 보배들은 업보로 이루어진 것들이 아니라고 부처님은 정토삼부경에서 설하셨다. 이것들은 모두 아미타불께서 대자대비로써 일체중생을 성불시키기 위한 생각에서 세운 원력과 수행의 힘으로 만들어진 것들이다. 모든 중생들이 사는 세계에서는 한시라도 다른 중생들의 육신을 음식으로 취하지 않으면 그 몸을 부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업보가 연속되므로 윤회의 길에서 벗어날 길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미타부처님께서 수행자로서 발심할 때에 210억의 불국토 가운데서 가장 좋은 것만 골라 원을 세운 것이 48가지이며 이러한 원을 성취하였으므로 성불하여 아미타불이 되신 것이다.
극락세계는 업보로 이루어지는 세계가 아니고 오직 원과 수행의 힘으로써 이루어진 부처님나라이므로 사바세계와 같이 남의 것을 훔치거나 다른 중생을 잡아먹거나 다른 중생들의 것을 빼앗거나 하지 않더라도 잘 살 수 있다. 그러므로 나를 위한다는 생각에서 나쁜 생각이나 말이나 행동은 전혀 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행에만 전념할 수 있다.
모든 중생이 윤회를 끊어버리고 성불할 수 있도록 극락세계에 나게 하는 것이 천도를 하는 근본 목적인 것이다.
중생들은 무수하고 기나긴 세월 동안 지옥, 아귀, 축생, 인간, 수라, 천당의 여섯 가지 세계에 윤회하면서 수많은 중생들의 은혜를 입지 않음이 없다. 모든 중생, 풀뿌리 하나까지도 무수겁의 세월 동안 부모가 되거나 나의 목숨 연장을 위한 음식이 되거나 하여 나의 몸은 다른 중생들의 몸과 수고로움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면 그들의 은혜를 만분의 일이라도 갚으려면 어찌해야 할 것인가 일단 바른 법에 따라 값있게 살아서 중생의 은혜와 수고로움을 헛되지 않게 해야 할 것이고, 그가 죽은 뒤에 천도재를 모시게 되면 조그마한 공덕일지라도 소홀하게 생각하지 말고 은혜를 베푼 이들에게 회향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 봉행하는 천도재가 원만하게 성취되게 하기 위해서는 모든 유정과 무정들의 왕생극락까지도 빌어주어야 하는 것이다.
'尋劍堂'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金剛經) 강의(22) - 20. 離色離相分 (0) | 2008.08.14 |
---|---|
불교 용어집(115) - 천이통, 천지인, 천진면목 (0) | 2008.08.14 |
불교 용어집(114) - 선사 이야기 천의 의회(天衣 義懷) (0) | 2008.08.12 |
108배 수행 예문입니다. (0) | 2008.08.12 |
천수보살, 천안통 (0) | 2008.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