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사는 이야기

광주학생 의거일과 학생의 날

難勝 2009. 11. 3. 04:10

광주학생 의거일과 학생의 날


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 일어난 학생들의 항일투쟁운동을 기념하는 날이 광주 학생 의거일이다. 광주 학생 독립 운동의 정신을 계속 기리기 위해 이 날을 학생의 날로 지정하였다. 광주학생의 날 발단과 결과, 영향에 대해 살펴보자.

 

29년 11월 3일은 음력 10월 3일 개천절(開天節)이며, 일본 메이지 천황[明治天皇]의 생일인 메이지절[明治節]이기도 하였다. 이보다 앞서 10월 30일 오후에 광주를 떠난 통학열차가 나주역(羅州驛)에 도착했을 때 광주중학 3학년인 후쿠다 슈조[福田修三] 등의 일본인 학생이 광주여고보 3학년인 박기옥(朴己玉) 등을 희롱하는 것을 목격한 박기옥의 사촌 동생 박준채(朴準埰) 등이 후쿠다를 후려치자 학생들 사이에 편싸움이 벌어졌다.

이 싸움은 11월 1일에도 계속되었으나, 2일 하루는 소강상태를 유지하다가 3일 오전 11시경 광주중학의 일본인 학생과 광주고보의 한국인 학생간에 또 충돌이 일어났다. 이때 광주고보 학생 중 일부는 일본 학생을 편들어 보도한 일본어 신문인 광주일보 본사를 습격하여 그 윤전기에 모래를 끼얹었다. 이리하여 처음에는 개인간의 감정적 충돌이던 것이 학교와 학교 사이의 충돌로 확대되었고, 나아가 전호남일대의 한국인과 일본인 학생간의 충돌로 발전하였다.

광주의 학생들은 서슴없이 ‘조선독립만세’를 외쳤으며, 독서회의 지도자들은 학생들의 항일투쟁을 격려하고 후원하였다. 학교와 경찰에서는 달래고 탄압하는 양면정책을 써서 사태를 수습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고, 이후 탄압정책을 강화하여 광주고보와 광주농업학교의 학생들을 구속하였다. 그 결과 광주의 신간회지부·청년단체·사회단체 등은 혼연일체가 되어 투쟁의 전국적 확대에 힘썼고, 학생들을 항일독립운동의 전위대(前衛隊)로 삼고자 하였으며, 광주 투쟁을 전국으로 확대하기 위해 활동을 개시하였다.


제2차 광주학생 가두시위 이후인 12월 2일 서울의 경성제대(京城帝大)를 비롯한 중요 공·사립학교와 시내 곳곳에 광주학생운동의 전국화를 위해 학생과 민중의 총궐기를 촉구하는 내용의 격문이 살포되었다. 이에 호응하여 서울의 많은 학교가 학생운동에 참가하였으며,

전국 각지로 번져 수많은 학교가 광주학생운동에 호응하여 궐기하였다. 전국 각지의 거의 모든 학교가 참가한 이 운동에는 194개교의 학교와 5만 4000여 명의 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그 중 580여 명이 퇴학처분과 함께 최고 5년의 체형(體刑)을, 2,330여 명이 무기정학 처분을 받았다. 광주학생운동은 1919년 3·1운동 이후, 젊은 학생들을 통하여 항일독립정신이 다시 한번 분출된 독립운동사상 격렬하고 힘찬 운동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