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용리(厚用里) |
[위치] 후용리는 문막읍에서 남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은 포진리와 궁촌리, 서쪽으로는 반계리와 부론면 노림리, 남쪽으로는 노림리와 비두리, 북쪽으로는 섬강을 경계로 반계리와 접경을 이루고 있다. [연혁] 본래 원주군 미내면 9리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비야동, 고청동, 양지동, 둔촌, 용수동, 내촌을 병합하여 건등면 후용리라고 부르게 되었다. 1937년에 문막면 후용리로 이름이 바뀌었고 1995년에 원주시 문막읍 후용리가 되었다. [특이사항] 농업을 주업으로 하고 있는 지역이다. [지명] ▲개지 [마을] [위치] 궁촌교 남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개(포구)에 있으므로 개지라 한다. ▲견훤산성 [성] [위치] 후용리 산 3번지, 포진리 낡은터 남쪽산에 있다. 고속도로 바로 동쪽이다. [유래] [내용] → [유적] ▲고청동(高淸洞) [마을] [위치] 양지말 동쪽 옆에 있는 마을로 산수가 맑다 한다. [유래1] 고씨가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유래2] 산수가 맑다 하여 고청동이라 하였다 한다. ▲구름다리들 [들] [위치] 개지 남쪽에 있는 넓은 들을 말한다. ▲구리(九里) [마을] → 후용리 ▲굽들이들 [들] [위치] 배나들이들 남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내촌(內村) [마을] → 안말 ▲도치골 [골] [위치] 후용리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도치골고개 [고개] [위치] 비야목에서 궁촌쪽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동올매들 [들] [위치] 비야목 북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둔배미 [마을] [위치] 용수터 남동쪽 둔덕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둔촌이라고도 한다. [유래] 둔덕에 논배미가 있고 여기에 선 마을이라 둔배미라 한다. [풀이] 둔+배미>둔배미가 되었다. ▲둔촌(屯村) [마을] → 둔배미 ▲맴골 [골] [위치] 작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배나드리들 [들] [위치] 장승백이 서쪽 강변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래] 배가 드나든다고 하여 배나드리들이라 한다. [풀이] '나드리'는 내가 굽은 곳의 바깥쪽 낮은 터나 한길에서 떨어진 마을로 갈려 들어가는 도로의 분기점 같은 곳에 많이 붙는 이름이다. ▲뱅골산 [산] [위치] 비야동 옆에 있는 산을 말한다. 비야산이라고도 한다. [유래] 뱀이 많다고 하여 뱀골>뱅골로 변하였다. ▲벌말 [마을] [위치] 후용리 윗쪽 벌판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벌(들)에 있는 마을이라 벌말이라고 한다. ▲병풍바우 [바위] [위치] 후용리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유래] 모양이 병풍처럼 생긴 바위라고 한다. ▲비야동(比野洞) [마을] → 비야목 ▲비야목 [마을] [위치] 비야산 아래, 양지말 동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비야동이라고도 한다. [풀이] 뱀골에서 나온 지명이다. 뱀을 배얌, 비암, 비얌이라고도 하는데 이 음을 따서 비야로 적은 것이다. '목'은 뱀의 ㅁ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인 것이다. ▲비야산(比野山) [산] → 뱅골산 ▲비야서낭당 [당] [위치] 비야산 등성이에 있는 서낭당을 말한다. ▲삼방골1 [골] [위치] 고청동 동남쪽, 안말 동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삼방골2 [골] [위치] 용수터 남쪽, 샘골 지나서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새재버덩 [들] [위치] 고청동 앞에 있는 약 15정보의 들을 말한다. ▲샘골 [골] [위치] 용수터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섬강제방 [둑] [위치] 섬강을 막고 있는 긴 제방을 말한다. ▲성류들 [들] [위치] 궁촌교 남서쪽, 작골 서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시무남쟁이 [마을] [위치] 개지 서쪽, 강변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랫도치골 [골] [위치] 도치골 아래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안꾸레들 [들] [위치] 비야목 안쪽에 있는 약 10여 정보의 들을 말한다. ▲안말 [마을] [위치] 용수골 동쪽 안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내촌이라고도 한다. ▲안산골 [골] [위치] 둔배미 남쪽 부론면 모산 사이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산 안쪽에 있어서 안산골이라고 부른다. ▲암구렁들 [들] [위치] 작골 서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양지동 [마을] → 양지말 ▲양지말 [마을] [위치] 후용리 양지쪽에 있는 마을로 용수터 북쪽에 있다. ▲왁새머리들 [들] [위치] 둔뱀이 서쪽 강변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래] 억새가 있는 들이라 왁새머리들이라고 한다. ▲용소(龍沼) [소] [위치] 용수터 마을 냇가에 있는 소를 말한다. ▲용수동(龍水洞) [마을] → 용수터 ▲용수터 [마을] [위치] 안말 서쪽, 둔뱀이 남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599번 도로변에 있다. [유래] 마을에 용소가 있어 용소터>용수터라고 한다. ▲웃도치골 [골] [위치] 도치골 남쪽 위로 나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원전 [마을] [위치] 개지 남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은골 [골] [위치] 삼방골에서 동쪽으로 들어가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작골 [골] [골] 후용리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견훤산성 북동쪽에 있다. [풀이] 견훤상성이 있으므로 성이나 산을 뜻하는 잣+골>잣골>작골로 변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작골 공동묘지 [묘] [위치] 작골에 있는 공동묘지를 말한다. ▲작은다리들 [들] [위치] 장승배기 동쪽, 암구렁들 서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장승배기 [들] [위치] 비야목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래] 장승이 박혀 있었다고 해서 장승백이라고 한다. ▲진골 [골] [위치] 용수터 남쪽에 있는 긴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골이 길다고 하여 긴골>진골로 변하였다. ▲홍알 [들] [위치] 후용리 아래에 있는 들을 말한다. 밭으로 사용하고 있다. ▲후용교회 [교회] [위치] 문막읍 후용2리 667번지에 위치한 감리교 교회를 말한다. ▲후용초등학교 [학교] [위치] 문막읍 후용1리 395번지에 있다. [내용] 1947년에 개교하였고 현재 3개 학급에 약 40명의 학생이 있다. [유물 유적] [견훤산성] 견훤산성은 포진리 낡은터 남쪽 산에 있다. 이 성은 자연석으로 쌓은 것이다. 이 성의 지형은 서쪽으로는 절벽으로 되어 있고 북쪽은 좁은 입구이며 동쪽은 급경사이다. 적이 접근할 수 있는 방향은 좀 더 완만한 남쪽인데 따라서 남쪽에 건물터가 남아 있고 성의 흔적도 더 많이 남아 있다. 이 지역의 지명이나 전설 등으로 보아 견훤과 왕건이 전투를 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발견되는 토기편이나 축조방식 등으로 보아 후삼국시대 이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강원도지(권3 고적명소 원주조:1940년판)에 '재건등면 후용리 견훤축성둔병여고려태조 전패망유지(在建登面 厚用里 甄萱築城屯兵與高麗太祖 戰敗亡遺址)'라고 기록되어 있고,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는 '건등면 월진리 사유림, 견훤산성이라 칭하며, 괴정부락(槐亭部落)의 남방-작은 언덕 위에 있다. 석성(石城)으로서 주위 약 5정(町)이 거의 폐퇴함. 고려 초기 견훤이 고려와 싸워 이곳에 병사를 주둔한 곳이라 전함'이라 하였으며, {전국유적목록}에는 [문막면 월진리(越辰里), 국유(國有), 괴정부락의 남방-구소상(丘小上)에 재석성(在石城) 속칭 견훤성]이라고 하였다. 또한 후백제의 견훤군이 왕건과 싸워 승리를 거두게 되었으나 군량이 떨어져 곤란할 때 견훤이 꾀를 내어 강물에 석회를 풀었는데 왕건의 군사들은 쌀을 씻은 물인 줄 알고 먹었다가 병사들이 죽어 패퇴하였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
'원주해설사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주시 문막읍 비두리(碑頭里) (0) | 2011.04.10 |
---|---|
원주시 문막읍 취병리(翠屛里) (0) | 2011.04.09 |
원주시 문막읍 포진리(浦津里) (0) | 2011.04.05 |
원주시 문막읍 (0) | 2011.04.05 |
원주시 행구동(杏邱洞) (0) | 2011.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