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해설사 자료실

원주시 행구동(杏邱洞)

難勝 2011. 4. 3. 06:33

행구동(杏邱洞)

 

통 : 반 : 66
 

인구 : 남자 2,503  여자 2,548 계 : 5,051  세대수 : 1,831 <2007년>기준
 

[위치]
행구동은 원주시청에서 동쪽으로 2.7km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치악산을 경계로 하여 횡성군 안흥면, 서쪽으로는 봉산동, 남쪽으로는 반곡동, 북쪽으로는 소초면에 접해 있다.


[유래]
원래 원주군 부흥사면(富興寺面)의 지역으로 살구나무가 많으므로 살구둑, 또는 행구(杏邱)라 하였다.


[연혁]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사리(四里) 일부와 오리(五里)를 병합하여 행구리라 하여 판부면(板富面)에 편입되었다가 1955년 원주시 구역 확장에 의하여 원주시에 편입되어 행구동이 되었다.


[특이사항]
행구동은 국립공원 치악산을 등지고 앉아 광활한 원주벌을 내려다 보고 있다. 예로부터 순수한 농촌 지역이었으며 고려말의 충신 운곡 원천석(耘谷 元天錫) 선생의 얼이 숨쉬는 곳이다. 관내에는 치악산의 송림 속에 자리한 국형사(國亨寺)와 관음사(觀音寺), 연암사(燕岩寺), 보문사(普門寺) 등 고찰이 많으며 골짜기마다 비경(秘境)을 자랑하는 관광자원이 때묻지 않은 채 보존되고 있어 시민의 피서 및 휴식처로 사랑받는 지역이다.
또한 지역의 기술인재육성의 요람이 된 원주공고가 위치하고 있고, 대규모 아파트 단지 및 기타 기반시설들이 확충되고 있다. 특히 치악산 자락을 중심으로 하여 숙박업과 음식점이 많이 들어서고 있다.

[지명]
가는골 [골]
[위치] 현재의 관음사 가는 길을 말한다.
[유래] 길이 좁고 가늘다고 하여 가는골이라 한다.
[풀이] '가늘다'의 관형사형 '가는+골>가는골이 되었다.
가리봉 [바위]
[위치] 고문골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가리봉바위라고도 한다.
[내용] 바위 두 개가 나란히 선 위에 또 하나의 바위가 얹혀 있다.
[풀이] '가리'가 들어간 지명은 대체로 산줄기가 갈라지거나 지역이 갈라지는 곳에 많다. 여기서는 바위가 갈라져 있다는 뜻에서 나온 것이다.
가리봉바위 [바위] → 가리봉
갈보리교회 [교회]
[위치] 행구동 1535-26번지에 있는 침례교 교회를 말한다.
개산골 [골]
[위치] 신월랑 뒤에 있는 치악산 골짜기를 말한다.
개산절터 [터]
[위치] 연암사 우측, 치악산 능선 부근에 가리봉이 정면으로 보이는 곳에 있는 절터를 말한다.
[내용] 절터에는 높이 2m 이상의 축대가 길게 남아 있고 많은 석재와 기와편, 도자기조각이 산재해 있다. 개산절터라는 이름만 전할 뿐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다.
거르내 [내]
[위치] 거름터 아래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광천이라고도 한다.
[유래] 넓은 내가 있어서 거르내라고 한다.
[풀이] '거르'는 '개울'의 옛말 '걸'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거기에 다시 내(川)가 붙어 걸내>거르내로 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를 고구려어로 보아 들로 보기도 한다.
거르내 [마을]
[위치] 거르내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거름터 [마을]
[위치] 신월랑 동북쪽에 있는 마을로 거음터, 거음대(巨音垈)라고도 한다.
[유래] 거름을 많이 모아두는 곳이라고 하여 거름터라 부른다고 한다.
거름터 공동묘지 [묘]
[위치] 거름터 뒤에 있는 공동묘지를 말한다.
거름터못 [못]
[위치] 거름터 동쪽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거름터 서낭당 [당]
[위치] 거름터 뒷산에 있는 서낭당을 말한다.
[특이사항] 매년 정월 보름에 마을의 평안을 위해 제사를 올리고 있다.
거음대(巨音垈) [마을] → 거름터
거음터 [마을] → 거름터
건넌들 [들]
[위치] 솔지식 밑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래] 마을 건너에 있다고 해서 건너들>건넌들이 되었다.
건넌들보 [보]
[위치] 건넌들에 딸린 보를 말한다.
건영아파트 [아파트]
[위치] 행구동 1850번지, 살구둑에 있다.
[내용] 674세대로 1996년에 건립하였다.
건영유치원 [유치원]
[위치] 행구동 1850번지, 건영아파트 내에 있다.
[내용] 1996년에 설립하였다. 현재 약 50명의 원생이 있다.
고둔치 [고개]
[위치] 행구동 관음사 동쪽으로 난 고개를 말한다. 횡성군 강림면 부곡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예전에는 사람의 왕래가 많았다고 한다. 고든재, 고둔치재, 직치라고도 한다.
[유래] 고개가 쭉 곧았으므로 고든치>고둔치라고 한다.
[풀이] '곧다'는 관형사형 '곧은'+치(고개)>곧은치>고든치, 고둔치로 되었다.
고든재 [고개] → 고둔치
고든치재 [고개] → 고둔치
고문골 [골]
[위치] 오리현 뒤에서 국형사와 보문사가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국형사 앞까지를 아랫고문골, 그 위 보문사까지를 웃고문골이라고 부른다. 보문골, 법수골이라고도 한다.
[유래] 고문절(보문사)가 있어 고문골이라고 부른다.
[특이사항] 국형사와 보문사, 동악단이 있고 웃고문절 동쪽이 향로봉이다.
관음사(觀音寺) [절]
[위치] 행구동 27번지, 고둔치 입구에 있는 태고종 절을 말한다.
[내용] 옛 관음사터에 1965년 송명원 스님이 창건하였다. 절터에서 기와와 멧돌조각이 발굴되었다고 한다.
광천(廣川) [마을] → 거르내
굇골 [골]
[위치] 오리현 뒤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교통안전공단 원주자동차검사소 [행정]
[위치] 행구동 1537-2번지, 건영아파트 서쪽에 있다.
국향사 [절] → 국형사
국형사(國亨寺) [절]
[위치] 치악산 아랫고문골에 있는 조계종 절을 말한다. 국향사, 아랫고문절이라고도 한다.
[유래] 신라말 경순왕(敬順王) 때 무착선사(無着禪師)가 세웠다고 한다. 조선 제19대 숙종 6년(1680)에 왕명으로 중건하고, 1949년에 자항대사(慈航大師)가 중수하였다. 현재는 절집을 많이 신축하여 그 규모가 커졌다.
국형사 약수 [샘]
[위치] 행구동 산 98번지 국형사에 있는 약수를 말한다.
규석광산(硅石鑛山) [광산]
[위치] 신월랑 뒤에 있는 규석광산을 말한다.
금두산성 [성] → 반곡동 금두산성
금바우 [마을]
[위치] 현 행구동 현대아파트 남쪽 앞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금암이라고도 한다.
[풀이] '금'은   계통의 언어로 '크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큰 바위라는 뜻이다.
금바우보 [보]
[위치] 금바우 앞에 있는 보를 말한다.
금암(琴岩) [마을] → 금바우
김세순비(金世淳碑) [비]
[위치] 향구저수지에 있는 비를 말한다.
[내용] 판부면장 김세순이 저수지를 막는데 공이 많았으므로 그 공적을 기념하여 세운 비이다.
꽃밭머리 [마을]
[위치] 관음사 북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화전동, 화전촌이라고도 한다.
끝에담 [마을]
[위치] 신월랑 서쪽 끝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마을의 끝이라서 끝에담이라고 한다.
[풀이] '담'은 본 마을에서 좀 떨어져 몇 집이 모여 있을 때 쓴다.
너르내 [마을]
[위치] 모래기천 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황천이라고도 한다.
[유래] 넓은 내가 있어 너르내라고 불리워졌다고 한다. 치악2교가 놓여져 있다.
너르내개울 [내]
[위치] 너르내 앞으로 흐르는 내를 말한다.
너른들 [들] → 터앞들
넘어골 [골]
[위치] 토끼고개 북쪽, 황골로 넘어가는 동서쪽의 골짜기를 말한다.
노상골 [골]
[위치] 거름터 뒤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대왕재(大王-) [고개]
[위치] 황골 서쪽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유래] 원주에서 횡성군 안흥면 강림(講林)으로 통하는데,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이 그 의 스승 운곡(雲谷) 원천석(元天錫)을 찾아 강림으로 갔다가 만나지 못하고 이 고개로 넘어왔다 하여 대왕재라고 한다.
대왕현(大王峴) [고개] → 대왕재
덕고재골 [골]
[위치] 오리현 북동쪽에 위치한 골짜기를 말한다.
덤불골 [골]
[위치] 신월랑 뒤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등성이 [마을]
[위치] 거르내 서남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산등성이에 있어서 등성이라고 한다.
덕성골 [골]
[위치] 꽃밭머리 북동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돌개 [마을] → 돌경이
돌경이 [마을]
[위치] 신월랑 북동쪽, 석경사가 있는 마을을 말한다. 돌개, 석경, 석경촌이라고도 한다.
[특이사항] 두문동(杜門洞) 72인의 한 사람인 운곡 원천석의 묘소와 재실이 있다. 매년 가을 원주원씨(原州原氏)의 시제(時祭)가 이곳에서 봉행된다.
[풀이] 돌개, 돌경이는 물가에 돌이 많거나 물이 돌아나가는 곳에 붙는 지명이다.
돌경이서낭당 [당]
[위치] 돌경이 뒷산에 있는 서낭당을 말한다.
동막 [마을]
[위치] 돌경이 동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동막골 [골]
[위치] 신월랑에서 샘골로 가는 골짜기를 말한다.
동막저수지 [못]
[위치] 동막골 앞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신월랑 동쪽 위에 있다.
[내용] 둘레 약 300m, 깊이 4-5m, 뚝 길이 60m로 1959년에 만들었다.
동악교 [다리]
[위치] 국형사 진입로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14m, 너비 10m로 1991년에 가설하였다.
동악단(東岳檀) [사당]
[위치] 샘골 위, 국형사 북서쪽에 있다.
[내용]
뒷들 [들]
[위치] 오리현 북쪽에 인접한 들을 말한다.
마전골 [마을]
[위치] 석경 동북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마전골철교 [다리]
[위치] 마전골 앞에 있는 중앙선 철다리를 말한다.
모래기천 [천]
[위치] 반곡교에서 영랭이로 이어지는 하천을 말한다.
물레방아예식장 [회관]
[위치] 행구동 1534-6번지에 있는 예식장을 말한다.
물탕골 [샘]
[위치] 마전골에 있는 약수터를 말한다.
[특이사항] 잔 병에 좋다고 한다.
미랭이 [마을]
[위치] 고둔치 안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밀양이라고도 한다.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
밀양(密陽) [마을] → 미랭이
배물 [마을] → 배울
배울 [마을]
[위치] 살구둑 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배물, 이곡이라고도 한다.
[유래] 전부터 배나무가 많다고 하여 불리워졌다고 한다.
[풀이] '배'자가 들어간 지명은 전국적으로 배재, 배고개>배오개, 배말 등으로 많이 나타나고 대체로는 배가 넘어왔다든가, 배(梨)가 많이 생산된다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배'가 들어가는 지명은 거의 산과 관계가 있거나 그와 관련되어 있다. 이 때 '배'는 산을 뜻하는 '받' 또는 '박'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울'은 마을을 뜻하므로 '배울'은 산 안쪽에 붙어있는 마을이란 뜻이다.
배울보 [보]
[위치] 배울 앞에 있는 보를 말한다.
배울앞들 [들]
[위치] 배울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배울보 물을 이용한다.
뱅기릿들 [들]
[위치] 진등 옆에 있는 들로 향구저수지 물을 이용한다. 현 행구동사무소 앞 들이다.
뱅기릿고개 [고개]
[위치] 아랫뱅기들과 정성들 사이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법수골 [골] → 고문골
보문골(普門-) [골] → 고문골
보문사(普門寺) [절]
[위치] 국형사 위, 향로봉 아래에 있는 태고종 절을 말한다. 웃고문절이라고도 한다.
[유래] → [유물 유적]
부리좁은골 [골]
[위치] 신월랑 뒤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살구둑 [마을]
[위치] 원주시 동쪽, 국형사 아래 치악산자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살구나무가 많아서 살구둑이라 하였다가 지금은 동명이 되었다. 행구동이라고도 한다.
살구둑못 [못]
[위치] 행구동사무소 남쪽에 인접한 저수지를 말한다. 신다랭이 연못, 향구저수지라고도 한다. 지금은 낚시터가 되어 있다.
살구둑천 [내]
[위치] 아랫뱅기들 북쪽에 인근한 하천을 말한다. 건영아파트 남쪽이다.
살래울교 [다리]
[위치] 터앞들에서 화시래로 이어지는 다리를 말한다.
삼성들 [들]
[위치] 거름터 서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삼성보 [보]
[위치] 삼성들에 딸린 보를 말한다.
삼동거리골 [골]
[위치] 거름터 북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상똘거리 [들]
[위치] 거름터 뒤에 있는 약 7정보의 들을 말한다.
상애원 [복지]
[위치] 행구동 산 135번지에 있는 양로시설을 말한다.
[유래] 1950년 단구동 92번지에서 원주 양로원이라는 이름으로 강원도에서 최초로 설립되었다. 1958년에 사회복지법인 상애원으로 인가를 받았고 1993년 행구동으로 이전하였다. 치매전문 요양시설을 갖추고 있다.
새지못 [못]
[위치] 행구동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내용] 둘레 600m, 깊이 7m, 뚝 길이 150m로 1941년에 막았다.
샘골 [골] → 생골
생골 [골]
[위치] 오리현과 신월랑 사이에 있는 골짜기로 국형사 입구에 있다. 현 원주공업고등학교 동쪽 골짜기이다. 샘골, 천곡이라고도 한다.
[유래] 샘이 있어서 샘골>생골이 되었다.
서천땀 [마을]
[위치] 행구동에 딸린 마을을 말한다.
[풀이] '땀'은 '담'과 같은 것으로 마을에서 조금 떨어져 집이 있을 때 붙는다.
석경(石逕) [마을] → 돌경이
석경골 [골]
[위치] 석경촌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석경사(石逕寺) [절]
[위치] 돌경이 마을 안쪽 골짜기에 있는 태고종 절을 말한다.
[내용] 광무6년(1897)의 석경사 중수기에는 창건연대가 나와 있지는 않으나 발굴된 기와에 영평(永平, 508-511)이란 명문이 있어서 오래된 절로 추정된다. 입구 오른 쪽에는 원천석의 묘가 있다. 절이름은 마을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석경촌(石逕村) [마을] → 돌경이
석박골 [골]
[위치] 신월랑 뒤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세지보 [보]
[위치] 오리현 앞에 있는 보를 말한다.
솔지식 [마을]
[위치] 아랫말 서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현 행구동 건영아파트 북쪽에 있다.
쇠시랭이 [마을]
[위치] 거르내 서남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쇠시랭이골 [골]
[위치] 거름터 동북쪽에 위치한 골짜기를 말한다.
숲들 [들]
[위치] 오리현 밑에 있는 들을 말한다.
숲들보 [보]
[위치] 숲들에 딸린 보를 말한다.
승지골 [골]
[위치] 석경촌 뒤에 있는 들을 말한다.
시무나무골 [골]
[위치] 고둔치와 국형사 사이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가시가 굵고 긴 시무나무가 많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신다랭이 [마을]
[위치] 살구둑 동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신월랑이라고도 한다.
[유래] 작은 논배미가 쉰개나 될 정도로 많아 신다랭이로 불리워졌다고 한다.
[특이사항] 지금은 큰 저수지가 있어 주민의 농업용수 제공은 물론, 낚시터로 이용되고 있다.
[풀이] 쉰다랭이>신다랭이가 되었고 이를 한자로 적어서 신월랑(新月郞)이라고 하였다. 新과 郞은 음차를 한 것이며 月은 의미를 딴 것이다. 다랭이는 산골짜기에 있는 층층으로 된 좁은 논배미를 가리키는데 다랭이를 달과 결부시켜 신월랑이 되었다.
신다랭이연못 [못] → 살구둑못
신들 [들]
[위치] 거름터 북동쪽 화시래천 건너에 있는 들을 말한다.
신월랑(新月郞) [마을] → 신다랭이
쐬기골 [골]
[위치] 신월랑 동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쇄지저수지 [못]
[위치] 신월랑 남쪽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아들바우 [바위]
[위치] 고둔치 올라가는 길 옆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유래] 고개를 넘어가는 사람들이 바위에 돌을 던져서 올라가 앉으면 아들을 낳는다고 한다.
아랫거름터 [마을]
[위치] 거름터 아래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아랫고문절 [절] → 국형사
아랫담 [마을]
[위치] 살구둑 아래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아랫뱅기릿들 [들]
[위치] 영랭이와 오릿골 사이에 북쪽으로 있는 들을 말한다.
안오릿골 [마을]
[위치] 오리현 안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애가진바우 [바위]
[위치] 거름터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유래] 모양이 애를 가진 여자의 배처럼 생겼다 하여 유래하였다.
양문바우 [바위]
[위치] 고문골에서 상원사로 가는 능선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양지배울 [마을]
[위치] 배울앞들 동북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연암사(燕岩寺) [절]
[위치] 행구동 76번지, 거름터 뒷 골짜기에 있는 태고종 절을 말한다.
[유래] 1940년에 세운 절로서 국형사에 있던 대처승들이 비구승들에게 국형사를 빼앗기고 이 절에 와서 생활한다고 한다. 지금의 연암사 위쪽에 옛 연암사의 터가 있다고 한다.
연암사 약수터 [샘]
[위치] 연암사 옆에 있는 약수터를 말한다.
영랑천 [내]
[위치] 영랭이 앞을 흐르는 내를 말한다. 화천이라고도 한다.
영랑촌(永郞村) [마을] → 영랭이
영랭이 [마을]
[위치] 살구둑 서남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영랭이내 [내]
[위치] 치악산에서 시작하여 영랑촌 앞을 지나 봉천으로 들어가는 내를 말한다.
영랭이들 [들]
[위치] 영랑촌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오리촌(梧里村) [마을] → 오릿골
오리현(梧里縣) → 오릿골
오리현교 [다리]
[위치] 오리현 마을 앞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12m, 너비 8m로 1970년에 가설하였다.
오리현 양어장 [양어장]
[위치] 오리현 앞에 있는 양어장을 말한다.
오릿골 [마을]
[위치] 행구동 남동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오리촌, 오리현이라고도 한다.
[유래] 일제때 벽오동 나무와 마을리(里)를 써서 오리(梧里)라고 표기하였으나 실제로는 오리나무숲이 있어 오릿골로 불리워졌다고 한다. 또 오리라는 마을이름이 흉하다 하여 마을 노인들이 조선말에 오리현(梧里縣)으로 고쳐 불러서 썼다고 한다.
[풀이] 오리+골>오리골>오릿골이 되었다.
오릿골 공동묘지 [묘]
[위치] 오리현 뒤에 있는 공동묘지를 말한다.
오릿골내 [내]
[위치] 치악산에서 시작하여 오리현을 지나 봉천으로 들어가는 내를 말한다.
오릿골서낭당 [당]
[위치] 오리현 뒤에 있는 서낭당을 말한다.
오영골 [마을]
[위치] 석경 서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오형골이라고도 한다.
오형골 [골] → 오영골
옥녀봉 [산]
[위치] 현 행구동 현대아파트 입구 옆에 있는 봉우리를 말한다.
[특이사항] 옻물이 솟는 샘이 유명했다고 한다.
옻나무골 [골]
[위치] 웃거름터와 거름터못 사이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옻나무가 많았다 하며 옻물이 잘 나는 샘이 있어서 명명되었다고 한다.
운곡선생묘 [묘] → 원천석묘
운곡선생비(雲谷先生碑) [비] → 원천석비
웃거름터 [마을]
[위치] 거름터 위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웃고문절 [절]
[위치] 웃고문골에 있는 절로 보문사를 가리킨다.
[유래] 신라 때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세우고 보문사(普門寺)라 하였다고 한다. 1940년 에 종무원(宗務院)의 지시에 의하여 원주시 평원동으로 옮겨 불교를 포교하다가, 1950년 6.25 사변에 전소되어 1952년 2월에 이곳에 중건하였다.
[특이사항] 청석탑이 있다.
웃담 [마을]
[위치] 아랫담 위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웃뱅기릿들 [들]
[위치] 신월랑 남서쪽, 쇄지저수지 서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웃오릿골 [마을]
[위치] 오리현 위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원안밭골 [골]
[위치] 고둔치와 국형사 사이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원주공업고등학교 [학교]
[위치] 행구동 125-2번지, 샘골에 있다.
[내용] 1991년에 설립하였다. 현재 34학급에 약 1700명의 학생이 있다.
원천석묘(元天錫墓) [묘]
[위치] 돌경이에 있는 운곡 원천석의 묘를 말한다.
원천석비(元天錫碑) [비]
[위치] 돌경이에 있는 운곡 원천석의 묘비를 말한다.
유암(流岩) [마을]
[위치] 살구둑 북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암개울 [내]
[위치] 치악산에서 시작하여 유암 앞을 지나 봉천으로 들어가는 내를 말한다.
유암들 [들]
[위치] 살구둑 북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암철교(流岩鐵橋) [다리]
[위치] 유암 앞에 있는 중앙선의 철교를 말한다.
이곡(梨谷) → 배울
작달고개 [고개]
[위치] 오리현에서 국형사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작은미랭이 [마을]
[위치] 미랭이의 작은 마을로 고둔치 고개 왼쪽을 가리킨다.
정바우 [마을]
[위치] 신월랑 앞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정바우들 [들]
[위치] 신월랑 북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정바우보 [보]
[위치] 정바우 앞에 있는 보이다.
정성들 [들]
[위치] 오리현 서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지루수보 [보]
[위치] 영랭이 앞에 있는 보를 말한다.
지영골 [골]
[위치] 거름터 뒤에 있는 골짜기로 연암사 입구를 말한다.
지칠바우 [바위]
[위치] 고문골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직치(直峙) [고개] → 고둔치
진등 [마을]
[위치] 치악훈련장에서 새마을 농장으로 통하는 능성이를 말한다.
[유래] 긴 등성이로 되어 있어 긴등>진등이 되엇다.
진등다리 [다리]
[위치] 진등 앞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천곡(泉谷) [골] → 생골
천신사 [절]
[위치] 행구동 522번지에 있는 태고종 절을 말한다.
천태 청소년 수련의집 [시설]
[위치] 행구동 산 85-1번지에 있다.
철광광산 [광산]
[위치] 신월랑 뒤에 있는 광산을 말한다.
치악민속박물관 [박물관]
[위치] 샘골 위, 국형사 가는 길에 있다.
치악산기도원 [기도원]
[위치] 행구동 35번지에 있는 감리교 기도원을 말한다.
치악태봉 [산]
[위치] 고둔치 넘어 우측 봉우리에 있다고 하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내용] 고려 공민왕의 태실이라고 한다.
큰골 [골]
[위치] 신월랑 뒤에 있는 큰 골짜기를 말한다.
큰미랭이 [마을]
[위치] 미랭이의 큰 마을로 고둔치채 오른쪽을 가리킨다.
터앞들 [들]
[위치] 영랭이 북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너른들이라고도 한다.
토끼고개 [고개]
[위치] 돌경이 북서쪽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황골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한국통신공사 원주연수원 [연수원]
[위치] 행구동 남쪽에 있다.
[내용] 한국통신공사 사원 연수원으로 11동의 건물에 약 1,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향로봉 [산]
[위치] 보문사 동쪽 위, 치악산 줄기에 있는 높이 1042m의 산봉우리를 말한다.
행구(杏邱) [마을] → 살구둑
행구골 [골]
[위치] 관음사 동쪽, 화시래천 위로 이어진 골짜기를 말한다.
행구교회 [교회]
[위치] 행구동 185번지에 있는 장로교 교회를 말한다.
행구동 느티나무 [나무]
[위치] 오리현 버스 종점 부근에 있다.
[내용] 수령은 약 1,000년, 높이 35m, 둘레는 827cm이다. 82년에 도나무로 지정되었다.
행구동사무소 [행정]
[위치] 행구동 1061-6번지, 향구저수지 북쪽에 있다.
[내용] 1993년에 건립한 지상 2층 건물이다.
행구리(杏邱里) [마을] → 살구둑
행구3교 [다리]
[위치] 화실천 입구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30m, 너비 12.5mfh 1986년에 가설하였다.
행구2교[다리]
[위치] 건영아파트와 행구동사무소를 이어주는 다리를 말한다. 그 아래로 중앙선철로가 지나간다.
[내용] 길이 30m, 너비 10m로 1987년에 가설하였다.
행구1교 [다리]
[위치] 삼광택지지구 동쪽에서 행구동을 잇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10m, 너비 8m로 1967년에 가설하였다.
행구촌(杏邱村) [마을] → 살구둑
행구현대아파트 [아파트]
[위치] 행구동 산 171-1번지, 영냉이 뒤에 있다.
[내용] 480세대로 1997년에 건립하였다.
향구저수지 [못]
[위치] 행구동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1939년에 설치하였다.
향구촌서낭당 [당]
[위치] 살구둑에 있는 서낭당을 말한다.
화천(花川) [내]
[위치] 행구동과 반곡동을 끼고 흐르는 하천을 말한다. 영랑천이라고도 한다.
화시래천 [내]
[위치] 거름터에서 관음사에 이르는 내를 말한다.
화시래철교 [다리]
[위치] 화시래에서 유암들로 이어지는 중앙선철도 다리를 말한다.
화전동(花田洞) [마을] → 꽃밭머리
화전촌(花田村) [마을] → 꽃밭머리
황골 [골]
[위치] 돌경이 위쪽에 있는 큰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크다는 의미의 한+골>한골>항골>황골로 변천한 것이다.
황천(荒川) [내] → 너르내
횟가마골 [골]
[위치] 신다랭이 뒤쪽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회가 많이 출토되었다고 하여 횟가마골이라고 한다.


[유물 유적]

[국형사(國亨寺)]
국형사 주변은 100년 이상이 되는 소나무들이 우거지고 계곡에서 흐르는 물이 깨끗해서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약 1150여년 전 신라 경순왕 때 무착도사(無着道士)가 창건하였으며 600여년 전인 조선 태조때에 동악(東岳)의 동악신에 대하여 원주, 횡성, 영월, 평창, 정선 등 5곳의 군수가 매년 제행을 봉행하였으므로 절이름을 국형사(國亨寺)라 하였다. 고종 11년 정미년에 중창하였고 1945년 을유년에 중수하였다. 그 후 서기 1974년 전용호가 중수하였다.
전하는 말에는 조선 정종의 둘째 공주인 희희공주가 병을 얻고 이 절에서 백일 기도를 한 후에 병이 완치되었다고 한다. 이에 정종이 크게 기뻐하여 절을 크게 중창하였다고 한다. 이 절에서 북서쪽 200m지점에는 봄과 가을에 호국대제를 봉행하는 동악단(東岳壇)이 있다.

[보문사(普門寺)]
보문사는 국형사 북동쪽으로 약 2km 위에 있으며 향로봉 아래, 웃고문골에 있는 절이다. 국형사를 아랫고문절이라고 하고 보문사는 웃고문절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신라 경순왕(927-935) 때에 무착대사가 창건하였다고 하며 관세음보살을 봉안하고 있다. 대웅전과 요사는 근래에 중건한 것인데 청석탑이 있어서 오래 된 절임을 확인해 주고 있다. 기록에 의하면 옛날에는 보문연사(普門蓮社)라고 하였다 한다.

[보문사 청석탑]
보문사에 있는 이 탑은 정판암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신라말기에 시작되어 고려시대에 유행한 양식으로 현재 해인사(海印寺), 금산사(金山寺) 등 몇 곳에만 있는 희귀한 탑이다.
이 탑은 두 개의 기단에 여노하문(蓮花文)을 조각하였고 탑신석에 범자(凡字)가 새겨진 것이 특이하다. 두 개의 기단과 다섯 개의 옥개 그리고 2, 3, 4 층의 탑신만 원형대로 남아있고 전체의 탑재(塔材)가 원형은 아니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3호이다.

[원천석의 묘와 비석]
행구동 37번지(1통 5반)에 있는 운곡 원천석(雲谷 元天錫)의 묘로 원주원씨 종중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이 곳에 1650년 3월에 창립된 높이 1.4m, 폭 55cm의 원천석 묘비가 있다.
비문은 전면에 '高麗國子進士原天錫之墓'라는 예서체 글씨가 조각되어 있고 비신석에 운곡 선생의 행적과 내력이 적혀 있는데 글은 외가의 이명은이 지었고 글씨는 통훈대부 전행사헌부 양천 허목(許穆)이 썼다고 한다. 원주시 지정문화재이다.

[씨족]
[원주원씨(原州原氏)]
원씨는 원주 원씨 단일본(單一本)으로 되어 있으나 실은 원시조가 다른 3파(派)로 나누어진다. 시조를 원극유(原克猷)로 하는 원성백파(元城伯派)와 시조를 원익겸(元益謙)으로 하는 시중공파(侍中公派), 그리고 시조를 원경(元鏡)으로 한 운곡파(雲谷派)가 있다.
이중 운곡 원천석의 후손들은 원주시 각 지역에 널리 퍼져 살고 있고 원산군 원황(元山君 元滉)의 후손은 소초면 장양리에 많이 살고 있다.

[보호수]
[오현리 느티나무]
행구동 777번지 오리현부락 철교너머 위치한 나무로 수령은 약 1천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높이 35m, 둘레 7.9m, 차지면적 165㎡로 그 전에는 나무 밑둥의 구멍에서 동네 노인들이 짚신을 삼고 비를 피하기도 하였으나 이제는 구멍이 메워져 사람들이 들어갈 수 없다고 한다. 부락민들은 매년 봄 이 나무의 잎이 피는 것을 보고 그 해의 풍년을 점치기도 한다. 또한 6.25동란 때에는 북괴군들이 이 나무의 구멍 속에 총을 많이 버리고 갔다고 한다.

[민속]
[오리현 농악놀이]
오리현 농악놀이는 옛날부터 전승되어 왔으나 규모와 격을 갖춰 시작한 것은 1982년 강원도 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전하면서 부터이다. 인원은 대략 40-80여명으로 구성된다.
특징은 농악기와 복색(服色) 그리고 놀이과정을 들 수 있다. "農者天下之大本"의 농악기는 다른 곳과 동일하지만 기의 꼬리가 다르다. 즉 기의 아랫부분에 홍, 녹, 황, 백색순으로 세 번 반복하여 열 두 폭의 꼬리를 띄움새 없이 단다. 열두폭의 꼬리는 1년 12달을 뜻하고 한가지 색을 세 번 반복함은 한 절기를 3개월씩 계산한 것이며 네가지 색상은 홍(봄), 녹(여름). 황(가을), 백(겨울)을 상징하는 것이다. 놀이과정의 특징은 무동(舞童)놀이가 대표적이다. 다른 농악의 무동(舞童)은 "피라밋"형으로 하단에서 위로 점차 수를 줄이어 여러 명을 태우므로 움직이지 못 하는 놀이를 하지만 원주농악은 2,3층 모두 한사람씩 한 줄로 무동을 걸어 자유로이 이동하며 놀이를 전개한다. 복색도 상모꼬리는 복상(두겹)으로 그 폭이 넓으며 고깔모의 꽃은 사방으로 1개씩 고깔을 에워싸고 바탕이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오랜 세월 원주시 행구동 오리현 농악을 바탕으로 오늘날까지 전승되어 오는 원주농악의 원천이다.

[특산물]
[신월랑복숭아]
'96전국 포도 복숭아 품평회'에 신월랑 마을 복숭아 작목반에서 미백봉숭아를 출품하여 대상인 농림수산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치악산 복숭아를 생산해 낸 비법은 수년 전부터 유기질 비료만 사용해 왔던 것과 기후조건을 지적할 수 있다. 치악산 기슭은 여름에도 일교차가 15℃씩이나 되고 찬기운이 산기슭 아래로 흘러가는 천연의 기후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백복숭아는 당도가 높고(14.3도) 육질이 연한데다 신맛이 전혀 없어 전문가들로부터 품질이 매우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매년 3천 상자를 수확하여 가락동 시장 등으로 직송판매하고 있다.

'원주해설사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주시 문막읍 포진리(浦津里)  (0) 2011.04.05
원주시 문막읍  (0) 2011.04.05
원주시 학성동(鶴城洞)  (0) 2011.04.02
원주시 태장동(台庄洞) - 2  (0) 2011.03.31
원주시 태장동(台庄洞) - 1  (0) 2011.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