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성동(鶴城洞) |
통 : 15 반 : 84 |
인구 : 남자 3,674 여자 3,681 계 : 7,355 세대수 : 2,903<2006년>기준 |
[위치] 학성동은 시청에서 서북방으로 0.28km 떨어져 있다. 법원, 검찰청, 원주문화방송국 등이 소재하고 원주역 앞 인근 야산을 중심으로 동쪽으로는 학성2동, 북쪽으로는 단계동과 우산동, 남쪽 방향으로는 일산동이 접해 있다. 학성 2동은 시청에서 동북방으로 3.3km 떨어져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원주역 앞 상가와 원일로, 평원로변 및 정지마을을 중심으로 형성된 지역이며, 학성 1동, 중앙평원동, 태장 1,2동과 경계를 이루며 전철을 중심으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정지마을)으로 나누어져 있고 동쪽으로는 원주천이 남북으로 흐른다. [유래] 학성동(鶴城洞)은 조선시대에 원주의 옛 이름인 학성현(鶴城縣)의 명칭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 외에 특별한 유래는 찾을 수 없다. [연혁] 원래 원주군 본부면의 지역으로서 원주읍 아래쪽이 되므로 하동리(下洞里)라 하였다. 1938년 본부면이 원주읍으로 승격함으로써 원주읍 영정(榮町)이라 하다가 1945년 정(町)을 동(洞)으로 개정하여 학성1, 2동이라 하였다. 1955년 원주시 승격으로 학성1동이 설치되었다가 1961년 연합동제 실시로 학성1, 2동을 학성동으로 연합하였고 1987년 인구증가로 학성동을 다시 학성 1동, 학성 2동으로 나누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90년 우산동 일부지역을 학성1동으로 편입하여 행정구역을 조정하였다. [특이사항] 동 전체가 도시계획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주로 주거지역 및 상가지역으로 용도지정되어 있다. 중앙선 철도가 동의 중심을 관통하여 도시와 농촌으로 양분되어 있고 특히 정지뜰에 군지사가 있어 개발에 제한을 받고 있다. 학성2동의 경우는 그 형성과정이 자연발생적이어서 원주역 앞을 중심으로 대중음식점, 숙박업등이 밀집되어 있는데 정지 및 문화촌은 영세상인과 농민이 대부분이고 저소득 밀집지역의 거주형태를 이루고 있다. 근래 영진로얄맨션과 영진로얄타운 및 삼천리아파트가 들어섬으로써 아파트 거주자와 일반주택거주자가 대등하게 거주하고 있다. [지명] ▲가톨릭병원 [병원] [위치] 학성동 1023번지, 법원과 중앙초등학교 사이에 있다. [유래] 빈민구제 사업과 저소득층의 건강에 관심이 많았던 지학순 주교와 한국을 사랑하고 가난하고 병든 이들과 함께 하고자 한 독일인 하이디 수녀의 노력으로 결핵퇴치 사업을 시작으로 하여, 1982년 1월 카톨릭 의원이 설립되었다. 1990년 3월 종합병원으로 승격하였다. ▲갈두(葛頭) → 갈머리 ▲갈머리 [마을] [위치] 현재 시청에서 연세대 원주의대에 걸친 언덕부근의 마을이다. 갈두라고도 한다. [유래] 길이 갈라진 머리부분에 마을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풀이] 갈머리는 갈+머리>갈머리로 갈라진 곳의 머리 부분이라는 뜻이다. '갈'은 '가래, 가루'등과 같이 갈라진 곳에 붙는 이름이다. ▲강변교 [다리] [위치] 태장2동과 학성2동을 잇는 다리이다. [내용] 길이 20m, 너비 25m로 1989년에 건립하였다. 강변로 한배미 앞에 있다. ▲교보생명보험 원주지점 [금융] [위치] 교보생명빌딩 안에 있다. ▲교보생명빌딩 [건물] [위치] 학성2동 207-1번지, 지하상가 북쪽에 있다. ▲과부골 [마을] → 청산골 ▲광명마을(光明-) [마을] → 희망촌 ▲남산로(南山路) [도로] [위치] 원주역에서 법원, 중앙초등학교를 지나 국제아파트 앞 사거리까지의 도로를 말한다. ▲노인복지회관 [복지] [위치] 축협 서쪽 골목 안에 있다. ▲누문(樓門) [마을] → 유문 ▲누문터(樓門-) [터] [위치] 학성동 304번지 앞에 있는 누문의 터라고 하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유래] 조선시대 누문이 있었다고 한다. ▲단계교회 [교회] [위치] 학성1동 1085번지에 있는 감리교 교회를 말한다. ▲대광교회 [교회] [위치] 학성1동 1061번지에 있는 침례교 교회를 말한다. ▲대성예식장 [회관] [위치] 학성2동 329-12번지로 문화극장 옆에 있는 예식장을 말한다. ▲동진골 [마을] → 일산동 동진골 [위치] 사직당 남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현재 일산초등학교와 북원초등학교 사이의 마을로 동짓골, 동진동이라고도 한다. ▲동진동(東辰洞) [마을] → 동진골 ▲동짓골 [마을] → 동진골 ▲땀띠물 [샘] [위치] 청산골 서쪽에 있는 우물을 말한다. 청산물이라고도 한다. [유래] 물이 몹시 차서 목욕을 하면 땀띠가 스러졌다고 한다. 지금은 없어졌다. ▲막골산 [산] [위치] 학성동 서쪽에 있는 산으로 지금은 거의 개간되었다. ▲매화촌(梅花村) [마을] [위치] 유문 옆에 있는 마을로 법원과 검찰청 밑에 있다. [유래] 6.25전쟁 후 원주역전 고지대에 윤락여성들이 집단으로 주거하면서 생긴 마을로 지금까지도 마을이름으로 쓰여지고 있으나 주민들은 이러한 이름을 꺼리고 있다. ▲문숙공김제갑충렬탑(文肅公金悌甲忠烈塔) [탑] [위치] 원주역 앞 광장에 있는 탑을 말한다. [유래] 1966년에 강원도 애국애족부활위원회에서 세운 것이다. 비는 화강암을 벽돌처럼 만들어 19단으로 쌓아 올렸는데 높이는 140㎝이고 폭은 30㎝이다. 옆은 한쪽은 수직으로, 다른 쪽은 계단처럼 줄이며 올린 모습이다. 가운데 '문숙공김제갑충렬비(文肅公金悌甲忠烈碑)'라고 세로로 새겨 놓았다. 비문은 박종화 선생이 짓고 글씨는 김기승이 쓴 것이다. 그 옆에는 공의 사적비도 함께 서있다. 귀부와 비갓을 갖춘 이 비는 본래 원주역 뒤 송림에 있었던 것을 충렬비를 세울 때 이리로 옮긴 것이다. [내용] → [인물] ▲문화극장 [극장] [위치] 원주역에서 평원로를 따라 남쪽에 있다. ▲민사부 앞 [마을] [위치] 1950년 6.25때 이 지방이 공산 치하가 되었다가 수복되어 민사부(民事府)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현 문화극장 남서쪽 남경막국수 부근을 말한다. 발개들 [들] [위치] 정지 밑에 있는 들을 말한다. 봉천물을 이용하였다. ▲백합유치원 [유치원] [위치] 학성1동 972번지, 학성동 성당 안에 있다. [내용] 1976년에 설립하였다. 현재 약 120명의 원생이 있다. ▲법웅사 [절] [위치] 학성1동 1016번지에 있는 조계종 절이다. [내용] 1971년 1군사령부의 법당으로 창건하였다. 70평의 법당과 500관의 범종이 있고 천왕사터에서 출토된 석탑재가 있다. ▲봉학교 [다리] [위치] 학성2동 신흥공업사와 태장동 쑥디버덩을 잇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12m, 너비 9.5m로 1957년에 가설하였다. ▲봉학로(鳳鶴路) [길] [위치] 학성중학교에서 사회종합복지관까지에 이르는 1.7km의 도로를 말한다. [유래] 태장1동과 학성동을 연결하므로 봉학로라 하였다. 북문거리(北門-) [길] [위치] 학성동과 평원동 경계에 있는 길을 말한다. [유래] 조선시대 강원감영의 북문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비석거리(碑石-) [길] [위치] 누문터 북서쪽에 있는 길이다. [유래] 선정비(善政碑)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비는 6.25사변 후 없어졌다. ▲사직당(社稷當) [마을] [위치] 학성동에 있는 마을이다. [유래2]에 따르면 현재 학성1동 노인복지회관 부근이다. [유래1] 조선시대 원주 사직단(社稷壇)이 있었다고 한다. [유래2] 1928년 원주면 당시 김석보외 22명의 무후자(無後者) 재산을 희사받아 학성1동 103-8번지에 목조와가(木造瓦家) 2평정도의 사직당(社稷堂)을 건립하고 위패를 모시어 매년 음력 10월 15일에 희사재산 소작료 등으로 주민과 친지들이 모여 무우제(無虞祭)를 지내오면서 유래된 마을 이름이다. 6.25 전쟁 때 피난민들이 거처하다 소실되어 사직당이 없어졌다고 한다. 그 동안 무우제는 학성1동 신철승씨의 선친 신광선씨가 소실되기 전까지 60여년간 지내왔으며 또한 희사재산도 시에서 매각하여 제사가 중단된 상태였었다가 1985년 학성1동 노인회의 건의로 매년 시비(市費)에서 제사비용을 지원하여 학성1동 경로당에서 제사를 올렸다고 한다. ▲삼천리3차아파트 [아파트] [위치] 학성동 1031번지에 있다. [내용] 238세대로 1997년에 건립되었다. ▲삼천리2차아파트 [아파트] [위치] 학성동 1032-9번지에 있다. [내용] 198세대로 1993년에 건립하였다. ▲삼천리1차아파트 [아파트] [위치] 학성동 1032-6번지, 원주MBC 서쪽에 있다. [내용] 291세대로 1989년에 건립하였다. ▲새말 [마을] [위치] 새로 생긴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나 위치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신촌이라고도 한다. ▲신촌(新村) → 새말 ▲송계촌(松溪村) [마을] [위치] 학성동성당 부근으로 단계동, 우산동과 인접한 마을을 말한다. [유래] 학성동성당 주변 하천변에 큰 소나무가 있어서 송계촌이라 불려졌으나 현재는 그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송림(松林) [숲] [위치] 원주역 북쪽, 정지뜰 주변에 있던 소나무 숲을 말한다. ▲여제단터( 祭壇-) [터] [위치] 사직단 북동쪽에 있었던 조선시대 원주 여제단이 있었던 터이다. ▲역전광장 [광장] [위치] 원주역 앞에 있는 광장을 말한다. 도로가 넓어지면서 좁아졌다. ▲역전시장 [장] [위치] 원주역 앞에 있는 시장을 말한다. [유래] 원주역 앞에 있는 시장으로 약 30여년 전에 세웠다고 한다. ▲역전파출소 [경찰서] [위치] 학성2동 329-15번지, 원주역 앞에 있다. ▲영정(榮町) [마을] → 학성동 ▲영진로얄맨션 [아파트] [위치] 학성동 1056-1번지, 원주시청 북서쪽에 있다. [내용] 141세대로 1991년에 건립하였다. ▲영진로얄타운아파트 [아파트] [위치] 학성동 1053-1번지에 있다. [내용] 239세대로 1994년에 건립하였다. ▲예기당이 [마을] [위치] 학성동에 있었던 마을로 서낭당이 있었다고 한다.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오시아니앞 [마을] [위치] 현재 학성동성당 부근 마을을 말한다. 천주교옆이라고도 한다. ▲원주공설운동장 [시설] [위치] 원주시청 북쪽 아래에 있던 운동장을 말한다. 현재는 주택지가 되어 있다. ▲원주문화방송 [언론] [위치] 학성1동 1023-70번지, 법원 남쪽에 있다. [내용] 천주교 원주교구와 5.16 장학회 공동으로 원주문화방송주식회사를 설립하고 1970년 9월 19일에 W.B.C로 개국하였다. 가톨릭센타 2-3층을 사용하다가 1977년 중앙동으로 옮겼으며 1988년에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원주시 여성회관 [회관] [위치] 학성1동 223-73번지, 동사무소 남서쪽에 있다. [내용] 1994년에 건립한 지하1층, 지상3층 건물이다. ▲원주역(原州驛) [역] [위치] 학성동에 있는 중앙선의 기차역이다. [유래] 1937년에 설치되었다. ▲원주중앙그리스도교회 [교회] [위치] 학성2동 348번지에 있는 그리스도교 교회를 말한다. ▲유문 [마을] [위치] 원주역 남서쪽에 있었던 마을을 말한다. [유래] 조선시대에 유문(樓門)이 있었던 마을로 안유문, 바깥유문이 있었다고 한다. 유문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고 안유문 마을에는 사직당이 있었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당시 유문 부락민들은 유문을 통과하는 주민들이 많아 자연발생적으로 상업이 성행하였던 것으로 전하며 현 역전시장이 중심이 된 것으로 보인다. ▲유문보 [보] [위치] 유문 앞에 있었던 보를 말한다. [유래] 봉천(鳳川)의 물을 끌어 정지들에 대었다고 한다. ▲이은찬추모비 [비] [위치] 현재 문화극장 앞 작은 공원에 있는 추모비를 말한다. [유래] 한말 의병장 이은찬의 충의와 애국심을 추모하기 위하여 원주애국유족회에서 건립하였다. [내용] → 인물 ▲정거장뒤 [마을] → 정지 ▲정지(艇址) [마을] [위치] 원주역 북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서쪽으로 우산동, 동쪽으로는 봉천 사이에 있다. [유래] 봉천을 거슬러 봉산동 배말에서 소금을 싣고 가던 배가 이곳 나루에서 잠시 쉬어가던 곳으로, 이곳에는 많은 거룻배를 매어두었던 곳이라 하여 배'艇'자에 터'址'자를 써서 정지(艇址)라고 부르고 있다. [특이사항] 정지마을은 1군지사가 많은 터를 차지하고 있고 특산품으로는 정지뜰 고추장이 유명하다. ▲정지뜰(艇址-) [들] [위치] 원주역 뒤쪽에 있는 넓은 들을 말한다. [내용] 원주역 뒤쪽에 넓은 옥답과 맑은 봉천의 냇물, 그리고 냇물 양쪽으로 송림이 우거져 있었는데 특히 고추장이 유명하였다. ▲정지보 [보] [위치] 정지 앞에 있었던 보를 말한다. [유래] 봉천물을 막아 정지들에 대었다고 한다. 중앙연립 [연립] [위치] 학성동 902번지에 있다. [내용] 72세대로 1978년에 건립하였다. ▲중앙초등학교 [학교] [위치] 학성1동 산 17번지, 법원 남쪽에 있다. [내용] 1969년에 설립하였다. 현재 26학급에 약 920명의 학생이 있다. ▲중앙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유치원] [위치] 중앙초등학교 내에 있다. [내용] 1981년에 설립하였다. 현재 원생 약 60명이 있다. ▲천주교 옆 [마을] → 오시아니앞 ▲천왕사지출토 석탑재 [유물] [위치] 학성 1동 법웅사 입구의 돌축대에 있는 석탑의 부재를 말한다. [유래] 봉산동에 있는 천왕사지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나 출토의 사실여부는 확인할 수 없으며 1971년에 법웅사를 창건하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현재 남아있는 석탑의 부재는 탑신석 1석과 옥개석 2석 뿐이다. 조성연대는 고려시대 전반으로 추정된다. ▲청산물 [샘] → 땀띠물 ▲춘천지방검찰청원주지청 [행정] [위치] 학성동 1008-91번지, 원주역에서 남쪽 고개에 있다. ▲춘천지방법원원주지원 [행정] [위치] 학성동 1008-91번지, 원주역에서 남쪽 고개에 있다. ▲충렬탑 [탑] → 문숙공김제갑충렬탑 ▲코렉스마트 [유통] [위치] 원주역에서 서쪽으로 법웅사 가는 길 사이에 있다. ▲하동(下洞) [마을] → 하동리 ▲하동리(下洞里) [마을] [내용] 본래 원주읍내 아래쪽이 되므로 하동(下洞)이라 하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본부면(本部面)의 본읍리(本邑里)와 삼리(三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하동리(下洞里)라 하였으며 1938년 원주읍제 실시에 의하여 영정(榮町), 욱정(旭町)과 금정(錦町) 일부 본정 이정목(本町二丁目) 일부로 나뉘었다가 1946년 일본식 동명을 고치면서 영정을 학성동으로, 욱정을 평원동으로, 금정을 일산동으로 본정 이정목을 중앙동으로 고쳤다고 한다. ▲학성동성당 [성당] [위치] 구 통일아파트 부지 동쪽에 있다. [유래] 박토마스 신부에 의해 1957년에 준공되었으나 1978년 화재로 전소하고 1979년에 재건축하였다. 본당 관내인 단계동에는 '프란치스코 전교봉사수녀회' 본원(本院)과 이 수녀회에서 운영하는 노인요양원 '사랑의 집'이 있다. ▲학성동 사무소 [행정] [위치] 학성동 223-29번지로 여성회관 옆에 있다. [내용] 1993년에 건립한 지하1층, 지상2층 건물이다. ▲학성동 소방파출소 [소방서] [위치] 1동 사무소 동쪽에 있다. ▲학성초등학교 [학교] [위치] 학성2동 152번지, 신흥공업사 남쪽에 있다. [내용] 1942년에 설립되었다. 현재 23학급에 약 800명의 학생이 있다. ▲학성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유치원] [위치] 학성초등학교 내에 있다. [내용] 1981년에 설립하였고 원생 약 30명이 있다. ▲KT 원주지사 [시설] [위치] 학성동 902-2번지에 있다. ▲희망촌(希望村) [마을] [위치] 현 광명새마을금고 부근, 법웅사 북쪽 길건너를 말한다. [유래] 1945년 해방 후 이재춘이라는 지역유지가 월남한 피난민들을 위하여 임시거처를 마련하여 주고 피난민들에게 새로운 희망으로 출발하라는 뜻에서 희망촌으로 불리다가 1973년 3월경 광명마을금고 설립시 주민들의 총의로 마을이름을 광명마을로 개칭하여 현재까지 쓰여지고 있다. ▲희매촌 [마을] [위치] 학성1동에 있는 윤락여성 마을을 말한다. [유래] 1950년 6. 25 직후 희망촌과 매화촌을 합쳐서 희매촌이 되었다. [인물] [김제갑] 김제갑(1525-1592) 목사는 본관이 안동이며 자는 순초(順初), 호는 의재(毅齋)로 중종 20년에 태어났다. 고려말의 명장의 김방경(金方慶)의 후손으로 퇴계 이황의 문인인데 명종 8년(1553)에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홍문관 정자(正字)와 병조좌랑·정언(正言)을 거쳐 선조 14년(1581)에 충청도 관찰사, 16년에 우승지가 되었다. 선조 25년(1592)임진 8월에 영원산성에서 왜병을 무찔러 큰 공을 세웠으나, 마침내 중과부적으로 장렬한 죽음을 당하고 그 아내 이씨는 남편을 따라 순절하고, 그 아들 시백(時伯)이 또한 부모를 위하여 왜적과 싸우다가 죽었으므로 선조(先祖)가 크게 칭찬하여 충효렬(忠孝烈)의 세 정문과 친필로 '일우고성만고삼감(일우孤城萬古三綱)'쌓고, 앞면에 '일우고성만고삼감(일우孤城萬古三綱)'의 8자를 양각하고 좌우에 '문숙공김제갑충렬탑(文肅公金悌甲忠烈塔)'이라 새기고 왼편 밑쪽에 탑명(塔名)을 새기었다. 선조 20년(1592)에 이조판사 겸 경연·홍문관 예문관 대제학·지의금사·성균관 춘추관사에 추증되었다. 숙종 37년(1711)에 영의정이 추증되고 시호 문숙(文肅)이 내려졌다. 원주의 충렬사(忠烈寺)와 괴산의 화암서원에 제향되었다. [이은찬] 이은찬(李殷瓚)(1878-1909)은 한말의 의병장으로, 본관은 전주이며 일명 언찬(諺瓚)·헌찬(憲瓚)이다. 어려서부터 기골이 장대하고 활발하며 지략이 뛰어나 불의를 참지 못 하는 성품을 가지고 있었다. 원주 출신으로 1907년 고종의 퇴위와 군대해산을 계기로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자 이해 9월 이구재(李九載)와 함께 원주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해산된 군인 80명을 포함한 500명의 의병을 모아 문경으로 이인영(李麟榮)을 찾아가 대장으로 추대한 뒤 사방으로 격문을 보내 의병모집에 전력하였다. 그 뒤 원주를 떠나 횡성·지평·춘천 등지를 돌며 의병규합에 전력하면서 평안·함경도를 제외한 전국 각지에 격문을 보내 양주로 집결할 것을 촉구하였다. 이에 호응하여 양주에 집결한 의병들이 13도 의병연합부대를 편성하고 이인영을 원사부삼십도총대장(元師府十三道總大將)으로 선출할 때 그의 중장군이 되었다. 의병연합부대는 곧 진격을 개시하여 서울을 공략할 계획이었으나 총대장 이인영의 부친상으로 서울침공작전은 실패로 돌아갔다. 의병연합부대는 1907년 12월에 소속부대를 거느리고 양근·포천 방면으로 이동하여 임진강 유역에서 허위(許蔿)와 손을 잡고 재차 임진강의병연합부대를 편성한 뒤, 허위를 총대장으로 추대하고 이 지역에서 크게 위세를 떨쳤다. 1908년 말 허위와 김수민이 일본군에게 잡혀 순국하자 이들 의병부대는 의병수가 적은 곳은 수십명, 많은 곳은 200명 내외의 집단으로 양주·포천·영평·연천·금천·배천·연안을 잇는 선내 및 해상도서에서 유격전술로 전과를 거두었다. 이후 간도로 들어가 정병을 양성한 뒤 보다 적극적인 항전을 계획하였으나, 이 때 서울에 있던 박노천과 신좌균이 이 계획을 탐지하고 군자금을 제공하겠다는 미끼로 그를 서울로 유인하였다. 그들의 말을 믿고 3월 31일 서울에 잠입하여 용산역에 나타났다가 잠복하고 있던 일본경찰에 잡혀 1909년 5월 10일 경성지방법원에서 교수형을 선고받고 순국하였다. 33세로 생애를 마친 공의 유해는 심복부하였던 박찬문이 거두어 원주 봉산동에 안장하였다가 국립묘지로 이장되었다. 1962년 건국 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원주애국유족회에서 이은찬의 충의와 애국심 을 추모하기 위하여 학성동 문화극장 앞에 추모비를 건립하였다. [특산물] [정지 고추장] 정지뜰에서 나는 고추장은 워낙 맛이 좋아 궁중에도 진상되었고 강원감영의 원님들은 이것을 원주의 큰 자랑으로 삼았다 한다. 그리고 원주사람들도 먼 곳에서 온 손님에게는 토산물로 정지고추장을 선사하곤 했는데 이는 정지고추장이 그 특유의 그윽한 향기와 감치는 맛 때문이었다. 정지고추장이 유명하니까 한 때는 정지 사는 솜씨 있는 아낙네들을 초청해다가 고추장을 담그는 대가집도 있었으나 결국 그 맛이 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정지물이 좋아서 그럴 것이라고 정지물에 정지아낙네 손으로 담가 보았으나 역시 제 맛이 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런 후엔 아예 정지에 사는 사람에게 부탁을 해서 제맛이 다 나온 연후에야 가졌갔었다고 한다. 오직 여기에서 담아야 제맛이 나는 까닭은 이곳이 넓은 뜰 한가운데로 봉천이 흐르고 서쪽에는 남북으로 흘러내린 백운산맥, 동쪽에는 치악산맥이 역시 남북으로 흘렀는데 태양광선과 토질의 영향 그리고 우거진 송림에서 풍기는 냄새와 송화가루의 영향 등이 원인이 되어 그토록 독특한 고추장맛이 생기기 때문이라고 한다. |
'원주해설사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주시 문막읍 (0) | 2011.04.05 |
---|---|
원주시 행구동(杏邱洞) (0) | 2011.04.03 |
원주시 태장동(台庄洞) - 2 (0) | 2011.03.31 |
원주시 태장동(台庄洞) - 1 (0) | 2011.03.31 |
원주시 중앙동(中央洞) 평원동(平原洞) (0) | 2011.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