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해설사 자료실

원주시 태장동(台庄洞) - 1

難勝 2011. 3. 31. 22:09

태장동(台庄洞)1

 

통 : 15 반 : 97
 

인구 : 남자 5,552  여자 5,016  계 : 11,016 세대수 : 3,893<2007.2.1>기준
 

[위치]
태장1동은 원주시청에서 동북방으로 2㎞ 떨어진 거리에 있다. 치악산 국립공원과 횡성이 연결되는 42번 국도와 5번국도(현충로)가 교차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원주천을 경계로 하여 학성동, 동남쪽으로는 봉산동, 북쪽으로는 태장2동과 각각 접해 있다.
태장2동은 시 북단에 위치하고 시청에서 4.4㎞ 떨어져 있으며 1군사령부와 산하부대가 주둔한 야전군의 전략요충지인 동시에 미군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특수지역으로 우산동과 태장1동, 호저면, 소초면과 인접하고 있다.


[유래]
[유래1] 성종의 왕녀 복란(福蘭)공주의 태실(胎室)이 있으므로 "태장(胎藏)"이라 하였는데 일제시대 편의상 태장(台庄)이라 하였다고 한다.
[유래2] 후삼국에서 고려로 넘어가던 시대에 이곳에서 견훤과 왕건의 큰 싸움이 있었는데 왕건이 이곳에서 크게 패했다고 한다. 그 후로 패장(敗將)이라고 부르다 조선시대에 풍수지리상 크게 될 것 같다고 태장(台庄)이라고 바꾸었다고도 한다.
[유래3] 예로부터 북극에 위치한 북두칠성과 인접한 대능좌(大能座)의 삼태성(三台星) 즉, 상태성(上台星), 중태성(中台星), 하태성(下台星)을 합하여 삼태성이라고 하고 삼태성은 영의정(領議政), 좌의정(左議政), 우의정(右議政)과도 비유하여 삼공의 지위를 삼태성(三台星)이라고도 경칭하여 왔다. 그런 의미로 볼 때 태장동(台庄洞)은 원주시 북방에 위치하였으며 원래는 상태장(上台庄), 중태장(中台庄), 하태장(下台庄)등 3개 부락이 삼태성 모양으로 형성되었다 하여 태장이라 칭하였다고 한다. 특히 원주는 오백년간(1395-1895) 강원감영을 설치하였던 고장으로 태장동은 원주의 관문이어서 관할지역에서 공사업무를 주마(走馬)와 보행(步行)으로 왕래하며 음식점과 여인숙, 마방(馬房) 등 편의시설을 갖춘 번화가였었는데 6. 25 한국전쟁으로 상태장, 중태장은 초토화되어 현재 군용기지로 사용되고 있다. 옛 상태장은 고속버스 정류장 앞 일대이며, 중태장은 학다리 앞 군용기지 일대, 하태장은 현재 한일주유소 앞 일대라고 한다.

[연혁]
태장동(台庄洞) 본래 원주군 본부면(원주읍)의 지역으로서, 태봉(胎峯)이 있으므로 태장(胎藏)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이리(二里)와 삼리(三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태장리라 하였고 1938년 원주읍제 실시에 의하여 태장정이 되었다. 1955년 원주가 시로 승격함에 따라 태장동 1,2구로 불리웠고 1961년 연합동제에 따라 태장동으로 통합 운영되었으며 1970년 인구의 증가로 1,2동으로 나누어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특이사항]
태장동은 원주에서 횡성으로 넘어가는 경계에 있으며 1군사령부와 미군부대가 위치하고 있어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80년대 말까지 주로 논농사와 특용작물에 의존하는 전형적인 농촌지역이었으나 90년대에 들어와서 군부대가 이전하기 시작하고 대규모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급격하게 도시화되고 있다.

[지명]
▲가마기 [마을] → 가매기

▲가마이(加馬耳) [마을] → 가매기

▲가마이교(加馬耳橋) [다리]
[위치] 가매기 앞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국도5호선 현충로에 있다.

▲가마지(加馬只) [마을] → 가매기

▲가매기 [마을]
[위치] 태장동 한배미 남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가마이, 가마기, 가마지로도 부른다. 현재 영천사가 있는 골짜기이다.
[유래] 옛날에 강원감영에 올 때, 이곳에서부터 가마에서 내려 말을 갈아탔다고 하는데 그 때마다 말의 수효가 늘었다 줄었다 해서 가마지(加馬只), 가매기라 불렀다고 한다.
[풀이] 가매기는 '가+매기'로, '가'는 '가(邊)'이고 '매기'는 '막이(障)'가 역행동화한 것으로 '가장자리의 막힌 곳'이란 뜻이다. 가+막이>가막이>가마이>가매기가 되었다.

▲가매기골 [마을] → 가매기

▲가매기공동묘지 [묘]
[위치] 육판바위 북쪽에 있는 공동묘지를 말한다.
가매기천 [내]
[위치] 웃가매기골, 번재골에서 시작하여 원주천으로 합류하는 내를 말한다.

▲가매지절 [절] → 영천사

▲감로사(甘露寺) [절]
[위치] 태장2동 1069번지에 있는 태고종 절을 말한다.

▲강변교 [다리]
[위치] 태장2동과 학성2동을 잇는 다리이다. 강변로 한배미 앞에 있다.
[내용] 길이 20m, 너비 25m로 1989년에 건립하였다.

▲강원과학고등학교 [학교]
[위치] 태장동 산 101번지, 하우고개 북쪽에 있다.
[내용] 1992년에 설립하였다. 현재 6학급에 약 150명의 학생이 있다.

▲거래들 [들]
[위치] 우성1차 아파트 남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거리대(巨里垈) [마을] → 거릿대

▲거리터들 [들]
[위치] 태장 2동 주공아파트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거릿대 [마을]
[위치] 태장2동 동사무소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주공아파트 일대를 말한다. 거리대, 고리대라고도 한다.
[유래] '큰 잉어의 터'라는 뜻으로 마을 형태가 금닭(金鷄)이 알을 품고 있는 형, 오목한 형태로 생겼고 또 한편으로 큰 잉어의 모양과 비슷하다 하여 거릿대라고 부른다고 한다. 부자가 될 수 있는 곳이라고 하며 현재 태장 주공아파트가 자리하고 있다.

▲거릿대 제방뚝 [둑]
[위치] 거릿대 앞에 있는 긴 뚝을 말한다. 석우천(石隅川) 유역을 막았다고 한다.

▲건너담 [마을]
[위치] 절골 위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고리대 [마을] → 거릿대

▲고추골 [골]
[위치] 쉰마지기들과 도락골 사이에 위치한 집성촌을 말한다.

▲공덕사(供德寺) [절]
[위치] 태장1동 145-1번지, 태장1동사무소 북쪽에 있는 태고종 절을 말한다.
[내용] 1971년 주지 김성언이 창건하였다. 법당 동북쪽 80m 지점에 형제바위가 있다.

▲관음사(觀音寺) [절]
[위치] 태장1동 산 157-4번지, 가매기골에 있는 태고종 절을 말한다.
[내용] 1960년 박보살이 창건한 절이며 대웅전이 있다.
광덕사(廣德寺) [절]
[위치] 태장1동 741번지에 있는 태고종 절을 말한다.
[내용] 원래 무진암이었던 것을 1991년에 광덕사로 고쳤다.

▲광희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동 1156-2번지에 있다.
[내용] 30세대로 1991년에 건립하였다.

▲구룡곡(九龍谷) [골] [마을] → 구룡골

▲구룡골 [골]
[위치] 거리터들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현재 무지개아파트 부근을 말한다.
[유래1] 지형이 구렁이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유래2] 옛날 이 지역에 용바위라는 바위 앞 커다란 연못에 아홉 마리 용이 살고 있었는데 아홉 마리 용 중 여덟마리는 하늘로 승천하였으나 한 마리는 사람의 눈에 띄어 승천하지 못하였다고 한다. 아홉 마리 용이 살았다 하여 구룡골이라 불려졌다고 한다.
[유래3] 이곳이 소의 여물을 먹이는 구유(먹이통)와 비슷하여 구룡골이라고 불려지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구룡골 [마을]
[위치] 구룡골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구룡골 서낭댕이 [당]
[위치] 구룡골에 있는 서낭당을 말한다.
[내용] 음력 정월보름에 마을 사람들이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현재는 없어졌으나 자리는 아직 남아 있다.

▲구룡골 약물 [샘]
[위치] 구룡골에 있는 샘을 말한다.
[내용] 옻이 오른 사람이 이 물을 먹고 몸을 씻으면 잘 낫는다고 한다.

▲구룡골 연못 [못]
[위치] 무지개아파트 서쪽 골짜기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구룡맨션 [아파트]

▲긴밭골 [마을] → 진밭골

▲나영유치원 [유치원]
[위치] 태장2동 966-3번지에 있다.
[내용] 1998년에 설립하였고 현재 원생 약 10여명이 있다.

▲노루고개 [고개]
[위치] 절골 동쪽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노루골 [골] → 노루골 [마을]

▲노루골 [마을]
[위치] 태장동 상록아파트 뒤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예전에는 이곳에 노루가 많이 있었다고 한다.

▲노루목고개 [고개]
[위치] 1군사령부와 캠프롱 사이의 장양리로 가는 고개를 말한다.
[유래] 옛날에 포수나 몰이꾼이 노루를 사냥할 때 몰이꾼들이 이곳으로 몰아 노루를 사냥한 고개라 하여 노루목 고개라 불리고 있다.

▲노하(路下) [마을]
[위치] 원주 톨게이트 부근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길 아래쪽에 있다고 하여 노하라고 부른다.

▲능골1 [골]
[위치] 육판바위골 동북쪽의 골짜기를 말한다.

▲능골2 [골]
[위치] 작두골과 송문산 사이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대각사 [절]
[위치] 태장1동 산 106번지에 있는 조계종 절을 말한다.

▲대흥2차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2동 1040번지 등에 있다.
[내용] 696세대로 1995년에 건립되었다.

▲데이콤강원지사 [산업]
[위치] 태장동 북원교 북쪽에 있다.
[내용] 1985년에 원주지사를 설립하여 1993년에 강원지사로 개칭하였다.

▲도락골 [마을]
[위치] 열여섯마지기들 남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동보렉스7-8차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동 128번지에 있다.
[내용] 626세대로 1995-97에 건립하였다.

▲동성교회 [교회]
[위치] 태장1동 753-1번지에 있는 감리교 교회를 말한다.

▲된봉 [산]
[위치] 구룡골 동쪽에 있는 산을 말한다.
[유래] 산이 가파라서 올라가기가 매우 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두지바우 [바위]
[위치] 태장동 소일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유래] 뒤주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현재는 없어졌다고 한다.

▲두진백로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2동 546번지, 구룡골 입구에 있다.
[내용] 563세대로 1999년에 건립하였다.

▲두집이골 [골]
[위치] 소일소류지 남쪽 골짜기를 말한다.

▲뒷골 [마을]
[위치] 방강골 뒤쪽 현재의 태장초등학교 동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방강골의 뒤쪽에 있는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마섬머리골 [골]
[위치] 절골 건너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마지기골 [골]
[위치] 못마구니들 서쪽에 있다.

▲맹곡 [마을] → 맹골

▲맹골 [골]
[위치] 구룡골 서쪽 골짜기를 말한다. 맹곡이라고도 한다.

▲맹골 [마을]
[위치] 구룡골 안, 소일 북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맹골골짜기 [골]
[위치] 맹골 뒤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맹골 공동묘지 [묘]
[위치] 맹골에 있는 공동묘지를 말한다.

▲메골 [골]
[위치] 강원과학고등학교 뒤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메라는 식물이 많이 난다고 한다.

▲못골 [마을]
[위치] 노하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택동, 못마구니라고도 한다.
[유래] 연못이 있었기에 못골, 못을 막았다고 못마구니라고도 한다.

▲못마구니 [마을] → 못골

▲못마구니들 [들]
[위치] 못마구니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무지개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동 548번지, 구룡골 입구에 있다.
[내용] 280세대로 1988년에 건립하였다.

▲무진암(無盡庵) [절] → 광덕사

▲미륵사(彌勒寺) [절]
[위치] 태장2동 897번지에 있는 태고종 절로 옛 서낭당터에 지었다고 한다.

▲반야유치원 [유치원]
[위치] 태장1동 산 15번지에 있다.

▲방강골(方江-) [마을]
[위치] 태장동 동쪽에 있는 마을로 현재 대흥아파트 동쪽 마을이다.

▲방강골 느티나무 [나무]
[위치] 현충로와 강변도로가 갈라지는 곳에 있는 나무이다.
[내용] 방강골 앞에 있는 느티나무로 수령이 약 300여년 되었다 한다.

▲백운2차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동 2252번지에 있다.
[내용] 231세대로 1996년에 건립하였다.

▲번재골 [골]
[위치] 동보렉스아파트 동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봉재골이라고도 한다.

▲보석골 [마을]
[위치] 현대아파트 북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보석골 공동묘지[묘]
[위치] 보석골 남서쪽에 있는 공동묘지를 말한다.

▲보제존자사리탑 [탑] → 보제존자삼층석탑

▲보제존자삼층석탑(普濟尊者三層石塔) [고적]
[위치] 영전사(令傳寺) 터에 있던 고려말의 고승(高僧) 나옹(懶翁) 곧 보제존자(普濟尊者)의 사리탑을 말한다.
[내용] 보제존자의 사리탑으로 고려 우왕(禑王)13년(1387)에 세웠는데, 1915년에 서울 경복궁에 옮겼다고 한다.

▲보현사(普賢寺) [절]
[위치] 태장1동 산 191번지에 있는 여래종 절을 말한다.
[내용] 1956년에 이재순이 창건하고 1969년에 대웅전을 신축하였다. 하반신이 파손된 높이 110cm의 석조 미륵불이 있는데 이는 학봉정 앞에 있던 것이라고 한다.

▲보현사 약수 [샘]
[위치] 보현사에 있는 샘을 말한다.

▲봉둑골 [골]
[위치] 쇠쟁이들에서 42번 도로 건너 동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봉사골 [골]
[위치] 원주톨게이트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봉사골들 [들]
[위치] 봉사골에 있는 들을 말한다.

▲봉재골 [골] →번재골

▲봉학교 [다리]
[위치] 태장동 쑥디버덩과 학성2동 신흥공업사를 잇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12m, 너비 9.5m로 1957년에 가설하였고 199년에 확장하였다.

▲부채바위 [바위]
[위치] 하우골 남쪽 하단부에 위치한다.

▲북원교(北原橋) [다리]
[위치] 우산동과 태장동을 연결하는 봉천 위에 건설된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15m, 너비 20m로 1977년에 가설하였다. 학다리라고도 한다.
[유래] 다리 양편에 학의 형상을 세워서 학다리라고도 한다.

▲북원로(北原路) [길]
[위치] 우산철교에서 소초면 장양리에 이르는 4km의 도로를 말한다.
[유래] 신라시대 원주의 옛 지명인 북원에서 따왔다.

▲북원상가 [유통]
[위치] 태장동 1379-4번지, 북원상가 복합건물에 있다.

▲북원상가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동 1379-4번지, 북원상가 복합건물에 있다.
[내용] 76세대로 1993년에 건립하였다.

▲북원여자중학교 [학교]
[위치] 태장2동 1359번지에 있다.
[내용] 1971년에 설립하였다. 현재 33학급에 약 1470명의 학생이 있다.

▲분터골 [골]
[위치] 장양초등학교 동쪽 골짜기를 말한다.

▲분터골못 [못]
[위치] 분터골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불근덕고개 [고개]
[위치] 소리개골 동쪽, 맹골산과 하우고개 중간에 있다.

▲비득재골 [골]
[위치] 우곡소류지 동남쪽, 진골 북동쪽의 골짜기를 말한다.

▲사당골 [골]
[위치] 진골 아랫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예전에 사당이 있었다고 한다.

▲사리고개 [고개]
[위치] 거릿대에서 소초면 갓바우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유래] 논밭의 사래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풀이] 사래고개>사리고개로 변천되었다.

▲사장골 [골]
[위치] 두집이골 동쪽 골짜기를 말한다.

▲사직당 [당]
[위치] 가매기 앞에 있던 당을 말한다.

▲상록2차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동 971번지, 일야미 마을 동쪽에 있다.
[내용] 390세대로 1992년에 건립하였다.

▲상록1차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동 549번지 구룡골 입구에 있다.
[내용] 50세대로 1989년에 건립하였다.

▲상보(上湺) [보]
[위치] 거릿대 앞에 있었으나 현재는 없어졌다.

▲삼복골 [골]
[위치] 능골 동북쪽에 위치한 골짜기를 말한다.

▲상태장(上台庄) [마을]
[위치] 고속버스 정류장 앞 일대로 추정된다.
[유래] 태장동 위쪽에 있는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새보 [보]
[위치] 방강골 앞에 있었던 보이다. 학성동 들에 물을 대었다고 한다.

▲샘말 [마을]
[위치] 우곡저수지 서쪽에 위치한 집성촌을 말한다.

▲샘말들 [들]
[위치] 우곡저수지 서쪽으로 나 있는 들을 말한다.

▲선성암 [절]
[위치] 태장1동 산 195번지에 있는 태고종 절을 말한다.
[내용] 1985년에 정정숙이 옛 절터에 복원한 절이다.

▲섬구렁골 [골]
[위치] 하우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강원과학고 남쪽이다.

▲성호임대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1동 산 149-1번지에 있다.
[내용] 593세대로 1998년에 건립하였다.

▲소리개골 [골]
[위치] 구룡골 소류지 남동쪽으로 나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소새바우 [바위]
[위치] 소새바우 마을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소새바우 [마을]
[위치] 현 영진아파트 동쪽 집성촌을 말한다. 현충탑 북쪽에 있다. 진암, 지암이라고도 한다.
[유래] 옛날 원전(元震)이란 부자가 살았는데 손님이 그칠 사이 없이 찾아오므로, 인색한 그의 부인이 탁발(托鉢)하러 온 노승에게 손님이 찾아들지 않도록 해 주면 후하게 대접하겠다 하니 그 스님이 소새바위를 가리키면서 저 바위를 깨버리라 하므로 그 말대로 하였더니 과연 손님이 오지 않고 그 집도 망하였다 한다. 현재 영진2차 아파트 부근이라고 한다.

▲소일 [마을]
[위치] 태장 남동쪽, 강원과학고 건너편이며 우곡소류지 북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우곡이라고도 한다.
[유래] 소가 누워 있는 모양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소초면 흥양리와 접해 있다.
[풀이] 소골짜기를 뜻하는 소실>소 >소일로 변한 것이다. 한자로는 우곡(牛谷)이라고 쓴다.

▲소일로 [도로]
[위치] 사회종합복지관에서 가매기천을 따라 원주과학고를 지나 안흥방면 시계에 이르는 3.3km의 도로를 말한다.
[유래] 태장1동 소일을 지나므로 소일로라 하였다.

▲소일저수지 [못]
[위치] 소일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언니, 우곡저수지라고도 한다.

▲솔문이골 [골]
[위치] 작두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쇠쟁이들 [들]
[위치] 열여섯마지기 동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래] 들의 모양이 소의 쟁기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송문산 [산]
[위치] 작두골과 소초면 흥양리 유새 사이에 있는 높이 268m의 산을 말한다.

▲수암교 [다리]
[위치] 갓바우 앞, 신애원 동쪽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4.4m, 너비 8.4m로 1969년에 건립하였다.

▲숯골 [골]
[위치] 태장리에 있었던 골짜기로 현재는 소초면 흥양리에 편입되어 있다.
[유래] 예전에 숯을 구웠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쉰마지기들 [들]
[위치] 노루골 남쪽, 열여섯마지기들 동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래] 논이 쉰 마지기가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신애원 [복지]
[위치] 태장2동 395번지에 있는 육아시설을 말한다.
[내용] 1964년에 설립되엇다. 현재 약 70명의 어린이가 있다.

▲신촌 [마을]
[위치] 원주톨게이트 빠져나가기 전 현재 신촌 감리교회가 위치해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새로 만들어진 마을이라고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신촌감리교회 [교회]
[위치] 태장2동 2159번지에 있는 감리교 교회를 말한다.

▲쑥뒤 [마을] → 쑥디버덩

▲쑥디골 [골]
[위치] 현 현대아파트 서쪽, 태일골프연습장 지역을 말한다.
[유래] 쑥이 많았던 골이어서 쑥디골이라 한다.
[풀이] 쑥대골>쑥디골로 변한 것이다.

▲쑥디버덩 [마을]
[위치] 소일 남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현재 태장1동 사무소 부근마을이다.
[풀이] 버덩은 '뜰, 층계, 계단'의 뜻에서 '들, 벌판, 坪, 野'의 뜻으로 의미가 확대된 말이다. 쑥이 많이 있었다 하며 '쑥이 무성한 작은 들'이란 뜻이다. 어원은 쑥대버덩>쑥디버덩으로 볼 수 있다. 이 때 디를 지(地)로 보기도 한다.

▲약사암 [절]
[위치] 태장1동 150번지에 있는 미타종 절을 말한다.

▲양지말 [마을]
[위치] 한배미 부근의 마을을 말한다.
[유래] 한배미 양지 쪽에 있는 마을이어서 양지말이라고 한다.

▲양지촌(陽地村) [마을] → 양지말

▲언니 [저수지] → 소일저수지

▲언둔(堰屯) [마을] → 언뚠지

▲언뚠지 [마을]
[위치] 태장동에 있는 마을이다.

▲엄나무골 [골]
[위치] 태장동 통제고개 남쪽, 샘말들의 북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엄나무가 많이 난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엄나무골 [마을]
[위치] 엄나무골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열여섯마지기들 [들]
[위치] 쉰마지기들 동쪽, 쇠쟁이들 서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래] 논이 열여섯마지기가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영전사터(令傳寺-) [터]
[위치] 가매기골에 있는 절터를 말한다. 현 영천사 자리이다.
[내용] 고려말 공민왕의 국사였던 나옹스님이 창건하였다고 하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고 한다. 삼층석 2기가 있었는데 1915년에 서울 경복궁에 옮겨갔다.

▲영진2차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동 897-1번지, 현충탑 북쪽에 있다.
[내용] 291세대로 1993년에 건립하였다.

▲영천사(靈泉寺) [절]
[위치] 태장 1동 가매기골에 있는 조계종 절을 말한다.
[유래1] 전하는 바에 의하면 고려 중엽에 창건되었다고 하나, 현재 그 당시에 조성된 유적·유물은 남아 있지 않다. 현재 대웅전과 산실각, 요사체 등의 건물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1968년경에 새로 세워진 것이다.
[유래2] 옛날에는 영전사라고 하였는데 법당과 요사채는 1963년에 새로 지었다. 1969년에 김대성이 중건하고 10평의 대웅전을 지어 월정사의 말사가 되었다가 박거사가 약수의 위치와 사찰 건립의 현몽을 받고 새로 건립하였는데 1987년, 약수를 연유하여 영천사(靈泉寺)라고 이름을 고쳤다.
[내용] 이곳에서 1915년 영천사지 보제존자사리탑 2기가 서울로 옮겨져 현재 경복궁 경내에 보존되고 있다고 하나 이들의 원위치는 확인할 수 없다. 절에 딸린 연못은 주변상황으로 보아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옻물 [샘] → 구룡골약물

▲왕녀복란태실비(王女福蘭胎室碑) [비] → 태봉비

▲우곡(牛谷) [마을] → 소일

▲우곡교(牛谷橋) [다리]
[위치] 소일 앞에 있는 다리로 강릉으로 통한다.

▲우곡소류지 [못] → 소일저수지

▲우성2차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동 1266-6번지에 있다.
[내용] 367세대로 1992us에 건립하였다.

▲우성1차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동 2210번지, 원주톨게이트 남동쪽에 있다.
[내용] 208세대로 1990년에 건립하였다.

▲웃가매기골 [골]
[위치] 원주화장장 남쪽, 번재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가매기골 위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웃가매기골이라 부른다.

▲웃가매기골 [마을]
[위치] 웃가매기골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웃골 [골]
[위치] 태장초등학교 동쪽, 노루골 북쪽 골짜기를 말한다.

▲웃골 [마을]
[위치] 웃골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원주종합사회복지관 [복지]
[위치] 태장1동 729-3번지에 있다.
[내용] 1992년에 설립하였다. 홈패션교실, 물리치료실, 장수식당, 독서실 등이 있고 이미용서비스를 하고 있다. 부설기관으로 재가복지봉사센타, 소망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다.

▲원주톨게이트 [길]
[위치] 장양초등학교 서쪽에 있다.
[내용] 서울과 강릉으로 통하는 영동고속도로와 연결한다.

▲원주화장장 [시설]
[위치] 태장1동 산 150번지에 있는 화장터이다. 웃가매기골, 번재골 북쪽이며 동보렉스아파트 북동쪽에 있다.
[내용] 1964년에 설치하였고 1996년에 현대화하였다.

▲유새고개 [고개]
[위치] 작두골에서 소초면 흥양리 유새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육판바위 [바위]
[위치] 육판바위골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윷판바위라고도 한다.
[유래1] 원주에 강원감영이 있을 때 전, 현직 판서 여섯명이 모여서 마을에 있는 넓적한 바위에서 바둑을 두고 윷놀이를 하며 풍류를 즐겼다고 해서 육판바위, 윷판바위라 한다.
[유래2] 모양이 윷판처럼 생겼다고 해서 윷판바위> 육판바위라 한다.

▲육판바위 [마을]
[위치] 육판바위골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육판바위골 [골]
[위치] 태장1동 사무소 동쪽 계곡, 능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봉산동 무진골로 통한다.

▲윷판바위 [바위] → 육판바위

▲음달말1 [마을]
[위치] 태장동 한배미 부근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한배미 음지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음달말2 [마을]
[위치] 태장동 구룡골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음지라고도 한다.
[유래] 구룡골 음지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음지 [마을] → 음달말2

▲이무니골 [골]
[위치] 담배인삼공사 남쪽에 붙어있는 골짜기로 소초면 장양리와 경계에 있다.

▲일광사(日光寺) [절]
[위치] 태장 1동 사무소 동편에 있는 태고종 절을 말한다.
[내용] 1966년 조채선이 창건하였다.

▲일문이골 [골]
[위치] 번재소류지에서 서쪽으로 난 골짜기를 말한다. 솔문이골 남쪽에 있다.

▲일야미(一夜味) [마을] → 한배미

▲일야미교 [다리]
[위치] 한배미 앞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8.8m, 너비 8.4m로 1961년에 가설하였다.

▲자신보육원 [복지]
[위치] 태장1동 729-3번지에 있는 육아시설을 말한다.
[내용] 1952년에 설립하였다. 현재 약 50명의 어린이가 있다.

▲자월구렁골 [마을]
[위치] 보석골 북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작두골 [골]
[위치] 유새고개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작두골 [마을]
[위치] 유새고개 남쪽, 작두골 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작은 육판바위들 [들]
[위치] 무진암 북동쪽, 육판바위골 입구에 있는 들이다.

▲장양초등학교 [학교]
[위치] 태장2동 1983번지에 있다.
[내용] 1947년에 설립하였다. 현재 14학급에 약 470명의 학생이 있다.

▲장양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유치원]
[위치] 장양초등학교 내에 있다.
[내용] 1996년에 설립하였다. 현재 원생 약 20명이 있다.

▲장전(長田) [마을] → 긴밭골

▲장전동 [마을] → 긴밭골

▲재건촌(再建村) [마을]
[위치] 태장동에 위치한 마을이라고 하나 현재는 어디를 이르는지 알 수가 없다.
[유래] 해방 후에 생긴 마을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적동 [마을]
[위치] 우성1차 아파트 남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적동저수지 [못]
[위치] 적동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절골 [골]
[위치] 긴밭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현재 우성1차아파트 동쪽이다.
[유래] 절이 있었다고 하여 절골로 부른다.

▲절골 [마을]
[위치] 절골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절골못 [못]
[위치] 절골 아래, 거래들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정각사(正覺寺) [절]
[위치] 관음사 북동쪽에 있는 절이다.
[유래] 1971년에 김윤일이 창건하였다. 당시 옆의 산기슭에서 높이 1m의 석조 미륵불을 발굴하여 대웅전 앞마당에 안치하였다고 한다.

▲제일교회 [교회]
[위치] 태장2동 1645번지에 있는 침례교 교회를 말한다.

▲중보(中洑) [보]
[위치] 거릿대 앞에 있던 보를 말한다. 현재는 없어졌다.

▲지남약수 [샘]
[위치] 태장2동 산 896번지에 있는 샘을 말한다.

▲지암 [마을] → 소새바우

▲지울너메 [들]
[위치] 소일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소일저수지 물을 이용한다고 한다.

▲진골 [골]
[위치] 소일 저수지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유래] 골짜기가 길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긴골>진골로 되었다.

▲진밭골 [마을]
[위치] 하도곡 남쪽, 장양초등학교 북쪽에 있다. 긴밭골, 장전이라고도 한다.
[유래] 사래가 긴 밭이 있다고 하여 그렇게 부른다.
[풀이] 긴밭골>진밭골로 되었다.

▲진암 [마을] → 소새바우

▲진암(珍岩) [바위]
[위치] 현 변전소 서쪽 산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진우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동 1037-2번지, 태장초교 북서쪽에 있다.
[내용] 230세대로 1990년에 건립하였다.

▲집넘어골 [골]
[위치] 장양초등학교 북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집넘어소류지 [못]
[위치] 집넘어골에 있다.

▲집승당(集勝堂) [정자]
[위치] 태장동 현 변전소자리에 있었다고 추정되는 정자를 말한다.
[유래] 강원도지에는 군 북쪽 1리에 있었다고 되어 있고 원주군읍지에는 원주 북쪽 7리에 있었다고 되어 있다. 창건기나 중수기가 없어 그 연혁은 전혀 알 수 없다. 이 당 뒤에 珍岩이라고 부르는 기이하게 생긴 바위는 지금도 있다. 吳 , 李明漢, 李正臣, 尹重三의 시가 남아 있는데 이 시들을 살펴보면, 그 옛날 집승당이 있을 때는 숲이 우거져 세속과 절연된 느낌이 있고 맑은 물도 흘렀던 경치 좋은 곳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청량사(淸凉寺) [절]
[위치] 태장2동 570-2번지, 방강골에 있는 여래종 절을 말한다.
[유래] 본래 절터였던 곳인데 1967년에 이봉택 주지가 절터 위에 중창한 것이다.

▲청량사 약수 [샘]
[위치] 태장2동 701번지 청량사에 있는 약수를 말한다.

▲청한사( 翰寺) [절]
[위치] 태장2동 현충사 북서쪽에 있는 천태종 절을 말한다.
[유래] 1969년에 한창호가 창건했다가 현재 위치에 이전하고 대웅전을 지었다.

▲충견비(忠犬碑) [비]
[위치] 장양초등학교 교정에 있다.
[유래] 원래는 현 우성아파트 부근 적동 입구 길가에 방치되어 있던 것을 1970년대 말 현 위치로 옮겼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전형적인 개전설로, 술이 취해 쓰러진 주인을 구하고 죽는다는 내용이나 비면에는 '孝子元氏'라고 되어 있어서 연유를 알 수 없고 건립시기도 알 수 없다.

▲치악산자동차운전학원 [학원]
[위치] 학다리 북쪽에 있는 자동차 운전학원을 말한다.

▲큰나무유치원 [유치원]
[위치] 태장2동 1369-3번지, 태장주공아파트 맞은 편에 있다.
[내용] 1992년에 설립하였다. 현재 원생 약 130명이 있다.

▲태묘비(胎墓碑) [비] → 태봉비

▲태봉교 [다리]
[위치] 거릿대와 태장2동 사무소 사이에 있다.
[내용] 길이 15.2m, 너비 20m로 1993년에 가설하였다.

▲태봉비 [비]
[위치] 태장 2동 우성아파트 2차 아파트 자리에 있었다가 아파트가 건립되면서 옮겨졌다.
[유래] 조선시대에는 왕자나 공주가 태어나면 장수를 기원하는 뜻에서 명산을 찾아 그곳에 태를 묻었는데 이를 태봉이라 한다. 태실비는 앞면에 '왕녀복란태실비'(王女福蘭胎室碑)라 쓰고 뒷면에는 '성화이십이년십이월이십구일입(成化貳拾貳年貳月貳拾玖日立)' 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어, 조선 성종의 딸인 복란공주의 태실비임과 성종 17년(1486) 12월 29일에 세워졌음을 알려주고 있다. 복란은 숙의 홍씨가 두 번째로 낳은 정순옹주이다. 전하는 전설에 의하면 옛날 공주 보기가 소원인 임금이 공주를 낳게 되자 크게 기뻐하며 이곳에 태를 묻게 되어 마을 이름이 태장이 되었다고 한다.

▲태장(台庄) [마을] → 태장동

▲태장감리교회 [교회]
[위치] 태장2동 1388-6번지에 있는 감리교 교회를 말한다.

▲태장교(台庄橋) [다리]
[위치] 태장 2동 원주천에 있는 다리이다. 우산동, 학성동과 태장동을 잇는 다리이다.
[내용] 길이 21m, 너비 20m로 1977년에 가설하였다.

▲태장동 성당 [성당]
[위치] 가현동 동쪽 북원로에서 북원여중고로 들어가는 곳에 있다.
[유래] 한국천주교 선교 200주년 기념으로 1983년에 준공하였다.

▲태장동 육교 [다리]
[위치] 태장동 북원로에 있는 육교를 말한다. 태장동과 가현동을 잇는 다리이다.

▲태장동파출소 [경찰서]
[위치] 태장2동 1099-1번지에 있다. 우성2차아파트 서쪽에 있다.

▲태장리(台庄里) [마을] → 태장동

▲태장삼정백조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2동 553번지, 구룡골, 맹골 앞에 있다.
[내용] 479세대로 1997년에 건립하였다.

▲태장시장 (台庄市場) [장]
[위치] 태장동에 있었던 시장으로 현재는 북원상가가 들어서 있다.

▲태장2동사무소 [행정]
[위치] 태장동 1364-12번지에 있다.
[내용] 1989년에 건립한 지상 2층 건물이다.

▲태장1동사무소 [행정]
[위치] 태장동 756-2번지로 봉학교 서쪽 인근에 위치한다.
[내용] 1994년에 건립한 지하1층, 지상2층 건물이다.

▲태장주공아파트 1,2,3단지 [아파트]
[위치] 태장동 2705, 2708번지에 있다.
[내용] 총 1230세대로 1997년에 건립하였다.

▲태장초등학교 [학교]
[위치] 태장2동 1001번지에 있다.
[내용] 1953년에 설립하였다. 현재 51학급에 약 1980명의 학생이 있다.

▲태장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유치원]
[위치] 태장초등학교 내에 있다.
[내용] 1981년에 설립하였다 현재 원생 약 60명이 있다.

▲태장특별농공단지 [산업]
[위치] 영동고속도로 원주인터체인지 서쪽, 담배인삼공사 남쪽에 있는 공업단지를 말한다.

▲통재 [마을]
[위치] 현재의 캠프롱(KMAG) 사령부 자리에 있던 마을을 말한다. 통현이라고도 한다.

▲통현(通峴) [마을] → 통재

▲하보(下湺) [보]
[위치] 거릿대에 앞에 있었던 보를 말한다. 지금은 없어졌다.

▲하우고개 [고개]
[위치] 하우골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강원과학고교 남쪽이다.

▲하우골 [마을]
[위치] 우곡저수지 북동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하태장(下台庄) [마을]
[위치] 현재 한일주유소 앞 일대를 말한다.
[유래] 태장동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라고 붙여진 이름이다.

▲학다리 [다리] → 북원교

▲한국도로공사 강원지역본부 [행정]
[위치] 태장2동 1889번지, 영동고속도로 원주톨게이트 동쪽에 있다.
한배미 [마을]
[위치] 태장동 남쪽, 현 상록아파트 부근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한자로는 一夜味로 적는다.
[유래1] 이곳에 큰 논 한 배미가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유래2] 어느 고을 원님이 하룻밤을 묵어 가서 일야미(一夜尾)라고 한다는 주장도 있다.
[풀이] 전국적으로 '한'이 들어간 지명이 많고 한배미란 이름도 많다. '한밭'이 대전으로, '한내'가 대천으로 된 것은 좋은 예이다. 논배미의 준말은 '배미'인데 여기에 크다는 뜻의 '한'이 첨가되어 '한배미'가 되었다. 이를 표기한 것을 보면 한+배미(바미) > 大+夜味, 한+바미(밤)으로 보아 大栗로 쓰는 곳도 있다. 즉 '배미'를 '밤'으로 보고 '夜' 또는 '栗'로 적은 것이다. 특히 여기에서는 '한'을 다른 지역과 달리 '大'로 보지 않고 하나를 뜻하는 '一'로 표기하고 있다. '큰밭'을 뜻하는 '한배미'가 '하룻밤맛'이 되었다. 귀래면 운남리에도 한배미들이 있다.

▲현대산업 1,2차아파트 [아파트]
[위치] 태장동 682번지, KBS송신소 북동쪽에 있다.
[내용] 총 612세대로 1차 1995년, 2차 1996년에 건립하였다.

▲현충로(顯忠路) [길]
[위치] 쌍다리에서 태장파출소에 이르는 3.2km의 5번 국도를 말한다.
[유래] 현충탑을 경유하므로 현충로라고 하였다.

▲현충탑(顯忠塔) [탑]
[위치] 태장동 현충로에 위치해 있는 탑이다.
[유래] 6. 25 당시 순국한 군인, 경찰, 청년 등 순국충혼 680위의 영령을 위로하기 위해 건립한 탑이다. 1966년 학성동의 심기연씨가 대지 1만여평을 희사하여 이해 6월 6일에 제막과 동시에 전사자 680위의 영령을 봉안하고 유족을 위로하게 되었다.

▲현충탑 약수 [샘]
[위치] 현충탑 서쪽에 있는 샘을 말한다.

▲형제바위 [바위]
[위치] 공덕사 동북쪽 80m 지점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흥양로(興陽路) [길]
[위치] 태장2동에서 36사단에 이르는 1.6.km의 도로를 말한다.
[유래] 흥양천과 나란히 있으므로 흥양로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