拈華茶室

조선시대 차의 종류

難勝 2011. 4. 10. 05:15

 

 

 

조선시대 차의 종류

 

1. 작설차(雀舌茶)

㉠ 차의 어린잎이 새의 혀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 산지 - 전국의 차 산지에서 생산

㉢ 명칭 - 통일된 이름, 조선시대에 차의 대명사 처럼 됨

㉣ 역사 - 고려 - 대각국사, 이제현, 원천석, 한수

조선 - 태종 2년(1402), 세종9년(1427), 김시습, 서거정, 신숙주, 허준(한글표기), 허균의 도문대작, 산림경제, 임하록(연담)

㉤ 일화 - 일본국 사신에게 선물(조선왕조실록-세종)

*경도잡지(유득공) : 토산차가 없다고 말함(작설)

*선조 - 양호 : 작설차는 육안차만 못하다고 함

* 도문대작(허균) : 순천에서 나는 작설차가 최고

* 보한제집(신숙주) : 수미왕사가 작설차 선물

* 매월당집(김시습) : 작설차를 손수 재배 가공 

 

2. 죽로차(竹露茶)

㉠ 대나무 이슬을 받고 자란 차잎으로 만든차

㉡ 산지 - 지리산 화엄사(지리산대화엄사 사적 - 만우)

김해 백월산(조선불교통사 - 이능화)

전남 곡성(경수당시초 - 신위)

장성 죽로산(해동죽지 - 최영년)

㉢ 명칭 - 작설차와 함께 조선시대 우리나라 차의 대명사

㉣ 역사 - 조선시대에 생겨난 차이름

중국에는 없는 차이름

가장 한국적 차이름

㉤ 일화 - 허왕후가 가져온 차 종자(조선불교통사)

* 신위에게 시와 그림을 요구하며 죽로차 보냄(경수당시초)

* 화엄사 창건주 연기조사가 심은 차가 죽로차(화엄사 사적기)

* 김건중이 죽로차를 선물하고 시를 받음(해동죽지) 

 

3. 보림차(寶林茶)

㉠ 장흥 보림사에서 스님들이 만든차

㉡ 산지 - 장흥 보림사 일대

㉢ 명칭 - 보림백모차(寶林白茅茶)

* 초의선사가 만든 떡차

* 신위의 시구 - 초의선사 선물(스님 비문 청탁)

㉣ 일화

* 음청사(김윤식) - 이홍장에게 김윤식이 선물

* 경수당시초(신위) - 초의선사가 선물 

 

4. 황차(黃茶)

㉠ 중국에서 유래된 차를 보고 조선에서도 생산

㉡ 산지 - 전라도

㉢ 명칭 - 황매차(黃梅茶)

* 아구차(兒求茶)라고도 함

㉣ 역사 - 세종 5년(1423)에 이름 등장

세종 5년(1423)에 일본사신에 선물

㉤ 일화

* 세종왕조실록 - 세종대왕이 일본사신에게 황차 20근을 하사, 또 11월에 5근 하사

* 동다기(전의이) - 중국에서 수입한 황차는 창이 없음

   

5. 황금차(黃金茶)

㉠ 황금과 같은 차

㉡ 산지 - 미상

㉢ 일화 - 매월당집(김시습) 

 

6. 뇌소차(雷笑茶) 

㉠ 초의선사가 만든 차

㉡ 산지 - 해남 대흥사 일지암

㉢ 명칭 - 경뇌소(驚雷笑)

㉣ 유래 - 동다송 제 11 송

*당 각림원의 지숭스님이 만든 경뇌협(驚雷莢)차를 동다송에 소개 하면서 잘못된 문헌을 인용

㉤ 일화 * 신헌구 시구 - 동다송 발문

* 일지암 시고(초의) 석천전다, 경뇌소 

 

7. 선차(仙茶)

㉠ 신선이 즐겨 마신다는 차, 중국에도 선차가 있음

㉡ 산지 - 미상

㉢ 역사 - 고려 동국이상국집(이규보)

㉣ 일화 - 사가정집(서거정) : 전다(前茶) 

 

8. 노아차(露芽茶)

㉠ 이슬을 머금은 차잎으로 만든차

㉡ 산지 - 대흥사 일지암

* 초의선사가 만든차

㉢ 일화 - 산천도인 김명희의 시구 

 

9. 소차(小茶)

㉠ 차가 작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 산지 - 미상

㉢ 일화 - 사가정집(서거정)

㉣ 역사 - 고려시대 대차(大茶)가 있었음.

그리고 소차(小茶)도 있음.

중국에서 대각국사가 선물 받음 

 

10. 용척다병(龍脊茶餠)

㉠ 용의 척추를 닮았다고 해서 생긴 이름

㉡ 산지 - 미상

㉢ 일화 - 경수당시초(신위)

* 이천사람이 돌솥 선물

'拈華茶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텅 비어 있으면  (0) 2011.04.11
지혜는 인내하는 것  (0) 2011.04.11
최고의 다이어트  (0) 2011.04.10
앞으로 간다고 앞만 보는가  (0) 2011.04.09
물빛 맑은 날  (0) 2011.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