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의 상징- 용
부처님과 불법을 외호하는 수호신…극락세계로 인도
사찰의 법당 기둥과 천장을 비롯해 처마와 추녀 밑, 닫집, 벽체, 계단 소멧돌 등에 장식된 용은 사찰 장엄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용의 외형을 살펴보면 머리는 소, 뿔은 사슴, 배는 뱀, 꼬리는 물고기를 닮았고, 수염, 여의주, 발톱을 갖춘 신체적 특징을 갖고 있어 중국 전래의 용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성격적으로는 많은 차이가 있다.
불교의 발상지인 고대 인도에서는 이미 뱀을 신격화한 용신(龍神)이 등장했다. 인도의 용신 개념은 원래 코브라 중 가장 큰 킹코브라에서부터 유래되었다. 아난다라는 용신을 그린 힌두교의 채색 그림을 보면 한 몸체에 일곱 개의 머리를 가진 뱀이 머리를 부챗살처럼 펴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뱀이 신격화된 인도 전래의 용신은 불교의 성립과 함께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신으로 수용되었다. 그 후 불교가 인도로부터 중국에 전래되어 정착하는 과정에서 용신은 인도 용신의 모습을 벗고 중국 전통 용의 도상(圖像)을 따르게 되었고, 중국불교의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는 중국 용에 약간의 변형을 가하여 수용하였다.
사찰에서 볼 수 있는 용 가운데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불전 어칸(御間, 전면 중앙의 칸) 양쪽 기둥머리에 조각해 놓은 용과 추녀 밑에서 얼굴을 내밀고 있는 용이다. 어칸 용의 경우에 머리는 바깥에, 꼬리는 실내에 두고 있는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것이 많고, 추녀의 경우 구례 천은사 대웅전에서 볼 수 있듯이 법당 앞쪽 추녀에는 용두, 뒤쪽 추녀에는 용꼬리를 조각한 경우도 있다. 이 용은 법당을 극락세계를 향해 가는 반야용선(般若龍船)으로 상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불교에서 ‘반야(般若)’라고 하는 것은 ‘진리를 깨달은 지혜’를 말하며, ‘바라밀다(波羅蜜多)’라고 하는 것은 ‘피안의 세계로 간다’는 뜻이다. 그런데, 피안의 세계에 가기 위해서는 탈것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반야용선이다. 법당 앞에서 얼굴을 내밀고 있는 용두는 극락정토로 향해가는 반야용선의 뱃머리가 되고, 법당은 부처님과 불자들이 타고 있는 선실, 그리고 법당 뒤의 용의 꼬리는 선미(船尾)가 된다. 반야용선을 그린 벽화가 양산 통도사 극락전 외벽에 있다. 극락세계를 향해 배를 타고 가는 중생들의 환희에 찬 모습이 잘 표현되어 있다.
어간 양쪽기둥과 범종 종뉴 부도비 등에 주로 장식
법당 추녀밑의 용두는 극락세계로 이끄는 ‘반야용선’상징
절에 있는 용두 조각상 중에는 훌륭한 것이 많지만 군산 상주사 대웅전 추녀 밑의 용두가 볼만하다. 투박하기는 하나 어느 한 구석 모자람이 없어 보이는 이 작품에서 한국적 미감을 느낄 수 있다. 화려함과 안정감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단청 색깔은 보는 이의 눈과 마음을 편하게 즐겁게 해준다. 단청은 물론이고 몸체 각 부분의 선의 흐름과 굵기, 그리고 움직임의 방향 등이 건물의 서까래, 추녀와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중국의 용은 지나치게 사실적이어서 괴기스러운 느낌을 주고, 채색의 화려함이 도를 넘어 이질감을 느끼게 한다. 이에 비해 한국의 용두 장식은 개념적인 표현 속에 여유로움을 간직하고 있으며, 건물 전체의 조화를 깨뜨리지 않는 균형의 미를 보여주고 있다.
범종을 매달기 위해 종 위쪽에 만들어 놓은 장치를 종뉴(鐘紐)라고 한다. 중국이나 일본 등 우리 주변국 경우에는 대개 단순한 고리형태로 되어 있으나 우리나라 범종의 종뉴는 용의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어 특별히 용뉴(龍紐)라고 부른다. 범종의 용은 보통의 용이 아니라 포뢰(蒲牢)라고 하는 용이다. 포뢰는 전래의 용생구자전설(龍生九子傳說)에 나오는 아홉 용 가운데 하나로, 용의 또 다른 화신이다. 전설에 의하면 포뢰는 바다에 사는 고래[鯨魚]를 특히 무서워하여 그것을 보기만 해도 놀라 비명을 크게 지른다고 한다. 포뢰와 종과 고래에 관해 〈삼국유사〉는 “(종은) 모두 각(閣)과 포뢰가 있고 고래로 당(撞)을 삼았다(皆有閣有蒲牢 鯨魚爲撞)”(권3 〈탑상〉 사불산.굴불산.만불산 조)라고 적고 있다. 옛 사람들은 포뢰 형상을 만들어 종 위에 앉히고 고래 모양의 당(鯨撞)으로 종을 쳤다. 그렇게 하면 고래를 만난 포뢰가 놀라 큰 소리를 지를 것이고, 그에 따라 종소리도 크고 우렁차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 범종 소리를 일명 경음(鯨音)이라고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찰에서는 둥근 통나무 형태의 당으로 종을 치고 있지만. 승주 선암사에서는 비늘 문양이 뚜렷한 물고기 형태의 당을 사용하고 있다. 근세에 만든 것이긴 하지만, 형태에서 경어 모양의 당으로 종을 쳤던 옛 전통의 흔적을 감지할 수 있다.
포뢰 조각 중에서 볼만한 것으로는 공주 갑사 동종, 부안 내소사 동종, 양양 낙산사 동종 등을 꼽을 수 있다. 갑사 동종의 용뉴를 소개하자면, 포뢰 두 마리가 몸을 뒤로 맞대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는데, 법당 어칸이나 처마 밑에 있는 용과 달리 여의주를 물고 있지 않다. 이런 모습으로 표현한 것은 갑작스런 경당(鯨撞)의 공격에 놀라 입을 크게 벌리는 포뢰 용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인지도 모른다. 갑사 동종의 용뉴는 단순히 종을 매다는 장치라고만 하기에는 너무나 아름답고 예술적이다.
용은 부처님의 설법을 듣는 청중이기도 하면서 한편으로는 부처님과 불국토를 외호하는 수호신이기도 하다. 용은 사찰 경내 도처에서 불국 도량을 수호하는 임무를 맡고 있는데, 사찰 초입의 돌다리 밑에 숨은 듯이 거꾸로 매달려 있는 용이 그 중 하나다. 산지 사찰 경우에는 대개 절 입구에 계곡이 있고, 그 위를 건너지르는 극락교, 승선교, 능허교 등의 이름을 가진 돌다리가 놓여 있다. 승주 선암사 일주문을 지나 개천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아치형의 아름다운 돌다리를 만나게 된다. 이 다리 이름이 승선교(乘仙橋)인데, 다리 밑 천장에 용두를 거꾸로 매달아 놓았다.
그런데, 이 용은 다리를 건너는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이런 위치에 용두를 조각해 놓은 것은 당초부터 그 목적이 다리를 치장하는 데 있었던 것이 아니라 계류를 통해 침입해 올지도 모를 사악한 무리를 막으려는 데 있었기 때문이다.
불국 세계와 부처님을 수호하는 용은 법당 안에도 있다. 법당 내의 닫집이나 대들보, 천장 등에 장식되어 있는 용도 같은 기능을 하고 있는 용이다. 닫집의 용은 대개 조각품으로 되어 있으며, 천장이나 대들보, 기둥 등의 용은 그림으로 표현되어 있다. 법당은 부처님이 계시는 장소이자 설법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이 곳에 있는 용들은 부처님이 임하고 계시는 법당을 지키고, 부처님이 설하신 불법을 수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용은 열반한 선사들의 부도비에서도 볼 수 있다. 등에 비신(碑身)을 지고 있는 거북 형상의 돌을 귀부(龜趺)라고 하는데, 이것은 일종의 대석(臺石)이다. 귀부라고 하는 것은 그 모양이 거북을 닮았기 때문인데, 현존 유적들을 살펴보면 대개 ‘용머리에 거북 몸’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처럼 귀부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음에도 왜 용의 형상을 하고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해답은 앞서 말한 용생구자설에서 찾아진다. 용이 낳은 아홉 아들 가운데 비희라는 이름을 가진 용이 있다. 비는 거대한 거북(일설에는 암자라)을 말하는 것이고, 희는 몹시 세찬 모양을 표현하는 말이다. 거북이 몸을 가지고 있지만 용이라고 하는 것은 “깃털과 털, 비늘과 딱딱한 껍질을 가진 모든 것은 전부 용을 조상으로 하고 있다(萬物羽毛鱗介皆祖於龍)”(회남자)는 용에 관한 동양 전래의 관념과도 연관되어 있다.
비희는 성품이 세차고 강하여 비석 같은 무거운 것을 지기 좋아한다고 하는데, 비석을 등에 지고 있는 부도비의 귀부가 바로 비희 용인 것이다. 금산사혜덕왕사탑비, 법천사지광국사탑비, 고달사원종대사탑비, 쌍봉사철감선사탑비, 봉림사진경대사탑비 등의 귀부가 걸작에 속한다.
'尋劍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찰의 美 - 비천(飛天) (0) | 2011.05.03 |
---|---|
야부도천(冶父道川) - 빈 배에 달빛만 가득 싣고 (0) | 2011.04.30 |
아이를 낳고 싶은가 - 광용스님 법문 (0) | 2011.04.29 |
스님의 봄바람 - 광용스님 법문 (0) | 2011.04.27 |
진정한 불자는 부처님 닮아가는 사람 - 법륜스님 (0) | 2011.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