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7회 포교사 자격고시 문제지 [제1교시]
1. 불교에는 석가모니 부처님뿐만 아니라 비로자나 부처님, 아미타 부처님, 약사 부처님 등의 많은 부처님이 등장한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불교는 우주 만물에 신성이 깃들어 있다는 다신교를 주장한다.
② 석가모니 부처님은 오직 육사외도만 성불할 수 있다고 설명해 주셨다.
③ 불교에서는 여러 부처님 중 석가모니 부처님이 진정한 부처님이라고 본다.
④ 불교적 관점에서는 누구나 성불할 수 있으므로 여러 부처님이 있다고 본다
* 불교에는 여러 신들이 있지만, 신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이 없으므로 다신교가 아니다.
2. 다음 중 신(神)에 대한 불교의 관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
① 불교에서는 신들의 무리를 외도(外道)라고 한다.
② 불교에서의 신은 아직 윤회를 못 벗어난 존재이다.
③ 모든 부처님이 나중에 최고의 신인 창조주가 된다.
④ 사천왕은 아수라신 등을 수호하는 천신(天神)이다.
3. 다음 중 반배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해우소나 공중목욕탕에서 스님을 뵈었을 경우
② 야외 법회 시 바닥이 젖었을 경우
③ 일주문이나 천왕문, 그리고 탑 등을 지날 경우
④ 법당에 들어가거나 나올 경우
4. 다음의 법당 예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법당을 출입할 때는 정면의 중앙에 있는 어간문을 이용해서는 안 된다.
② 법당 안에서 예배하는 순서는 상단으로부터, 신중단, 영단의 차례로 한다.
③ 불단에 초와 향이 켜져 있으면 자신이 준비해 간 공양물은 불전에 올려놓고 3배만 올린다.
④ 법당을 나올 때는 아무도 없더라도 다른 사람이 참배할 것을 대비하여 촛불은 켜 둔 채로 나온다.
*법당건물은 주로 목조건물인 경우가 많으므로, 화재의 염려가 있으니 나올때 사람이 없으면 꼭 촛불을 꺼야한다.
5. 불교에서 말하는 공양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불전에 올리는 공양물은 전통적으로 향, 초, 꽃, 떡, 과일, 현금을 육법공양이라 하여 중요시해 왔다.
② 공양은 시물(施物)을 부처님께 바쳐 목마르고 배고픈 중생에게 회향하고, 중생의 고통을 여의게 해주는 것이다.
③ 공양이란 원래 스님들에게 수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물건이나 음식을 드려 깨달음의 텃밭을 일구게 한다는 의미이다.
④ 부처님께서는 당시 수행 풍습대로 한 끼 공양을 하셨는데, 우리나라 사찰에서 올리는 사시 불공은 여기에서 유래한 것 이다.
*육법공양은 향, 초(등), 꽃, 쌀, 과일, 차의 6가지이다.
6. 다음 중 ‘개차법’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임진왜란 때 승병을 일으켜 더 큰 살생을 막은 것이 개차법의 예라 할 수 있다.
② 개차법은 지범개차(持犯開遮)라고도 하며 작은 계를 버려 더 큰 계를 지키는 원리이다.
③ 계는 자유롭게 지키는 것이기 때문에 항상 자신의 주관적 판단을 따르면 된다.
④ 재가 신도들은 최소한 6재일만이라도 오계를 지키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좋다.
*계가 만들어진 본래의 의미를 생각하여, 고지식하게 지키려다 오히려 의미를 저버려서 서는 안된다는 것이지 내 마음대로 판단하라는 것이 아니다.
7. 사찰의 전각은 안에 모셔진 불상에 따라 그 이름이 다르다. 다음 중 건물과 모셔진 부처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대웅전(大雄殿)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모신 법당으로 절의 중심이 되는 건물인데, 법력(法力)으로 세상을 밝히는 영웅을 모신 집이라는 뜻이다.
② 적멸보궁(寂滅寶宮)에는 불상을 따로 봉안하지 않고 불단만 있는데, 이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탑이 있으므로 형상을 따로 모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③ 대적광전(大寂光殿)의 본존은 비로자나불로서 연화장 세계의 교주이시며, 연화장세계는 진리의 빛이 가득한 대적정의 세계이므로 대적광전이라 부른다.
④ 원통전(圓通殿)은 극락세계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모신 법당이며, 아미타불은 수명이 한량없기에 무량수전이라고도 하고 미타전이라고도 한다.
*원통전은 관세음보살을 모신 전각으로 달리 관음전이라고도 한다.
8. 부처님의 덕을 나타내기 위하여 열 손가락으로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들어 표현하는 것을 수인(手印)이라고 한다. 다음 중 수인(手印)의 명칭과 모양이 바르지 않은 것은?
① 항마촉지인 |
② 지권인 |
③ 전법륜인 |
④ 선정인 |
|
|
|
|
*1번은 시무외인과 여원인을 합친 것으로 모든 부처님이 할수 있다고 하여 통인이라고 한다.
9. 다음의 법구의 명칭과 쓰임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목탁 - 의식을 집전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법구로, 대중을 모을 때 신호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② 죽비 - 선방에서 수행자를 지도할 때 사용하는데, 입선과 방선, 그리고 공양할 때 신호하는 도구로 쓴다.
③ 요령 - 본래 밀교 계통에서 사용했으며, 우리나라 사찰에서는 제사지낼 때에만 사용하고 부처님께 기도할 때는 사용하지 않는다.
④ 염주 - 염불하거나 절을 하면서 그 수를 세기 위하여 사용하는데, 보통 108염주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10. 불기 2556년은 어디에 근거를 둔 것인가?
① 출가일 ② 열반일 ③ 성도일 ④ 우란분절
*불기는 부처님 열반을 기준으로 하여 년수를 따진다.
11. 다음 경전의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사실이 아닌 것은?
위대하셔라 세존이시여, 위대하셔라 세존이시여, 마치 넘어진 사람을 일으키심과 같이, 덮인 것을 나타내심과 같이, 헤매는 이에게 길을 가리키심과 같이, 어둠 속에 등불을 들고 와서 눈 있는 이는 보라고 말씀하심과 같이, 세존께서는 온갖 방편으로 법을 설하여 밝히셨나이다.
저는 이제 세존께 귀의합니다. 그리고 그 가르침과 승가에 귀의합니다. 원컨대 오늘부터 시작하여 목숨을 마칠 때까지 세존께 귀의하는 불자로서 저를 받아주시옵소서.
《숫타니파타》 <사품>
① 초기 불교교단에서 부처님은 반드시 삼귀의를 설하신 후에 법을 설하셨다.
② 이 경전은 모든 불교의식 때 빠짐없이 행하는 의례인 삼귀의례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③ 불교의 삼귀의는 진리를 깨닫고 가르쳐 주시는 부처님과 깨달음의 내용에 대한 확신에 기반을 두고 있다.
④ 부처님께 귀의한 불자들은 목숨이 다할 때까지 깊은 믿음을 잃지 않고, 지극한 마음으로 삼보를 공경해야 하고, 모든 일에 모범이 되어야 한다.
*삼귀의는 부처님이 설하시는 것이 아니라, 제자들이 부처님을 뵙고 기쁨을 표현하던 것이다.
12. 다음 중 부처님의 성도 과정을 설명한 것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부처님은 바라나시의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으셨다.
② 부처님은 35세 되던 해 음력 12월 8일 새벽에 깨달음을 얻으셨다.
③ 부처님은 깨달은 직후 보리수 아래에서 49일간은 법열을 만끽하시었다.
④ 부처님은 6년 간의 치열한 고행 끝에 중도의 수행법으로 깨달음을 얻으셨다.
*탄생 가비라, 성도 부다가야, 초전 녹야원, 열반 쿠시나가라
13. 다음은 《잡아함경》에 나오는 전도선언문이다. 전도선언에 나타난 부처님의 전법 정신으로 볼 수 없는 것은?
비구들이여, 전도를 떠나라. 많은 사람들의 이익과 안락과 행복을 위하여, 세상을 불쌍히 여기고 인간과 신들의 이익과 행복과 안락을 위하여 전도를 떠나되 두 사람이 한 길을 가지 말라. 비구들이여,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으며, 조리와 표현을 갖춘 법(진리)을 설하라. 사람 중에는 마음이 더러움이 적은이도 있거니와, 법을 듣지 못한다면 그들도 악에 떨어지고 말리라. 들으면 법을 깨달을 것이 아닌가. 비구들이여, 나 또한 법을 설하기 위해 우루벨라로 가리라.《잡아함경》 제39권
① 전도의 목적, 즉 불교를 전파하는 목적은 세상의 이익과 안락과 행복을 위한 것이다.
② 전도를 할 때에는 진리의 내용을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설명해 주어야 한다.
③ 전도를 할 때 여럿이 모여 다니면 이교도들에게 발각되기 쉬우므로 혼자서 다녀야 한다.
④ 전도는 교단의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누구나 열심히 실천해야 한다.
14. 다음 중 삼법인(三法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제행무상 ② 제법무아 ③ 열반적정 ④ 견성성불
15. 다음 중 삼독심(三毒心)과 삼학(三學)의 관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탐욕은 청빈하고 맑고 깨끗한 생활인 계(戒)로 다스린다.
② 화는 급히 올라오는 마음을 잠재우는 지혜(智慧)로 다스린다.
③ 어리석음은 자신은 텅 빈 무아로 보는 선정(禪定)으로 다스린다.
④ 탐욕, 화, 어리석음을 흔히 깨달음을 방해하는 삼학이라고 한다.
*삼독은 탐욕, 화, 어리석음(탐, 진, 치)이로 이를 다스리는 것은 순서대로 계, 정, 혜 이다.
16. 다음 중 불교의 수행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수행은 혹독한 시련으로 자신을 단련하는 고행과는 다른 것이다.
② 수행은 내면의 힘을 키워 무위자연의 도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③ 수행은 철저히 나를 버리고 비워 진정한 자아를 찾는 과정이다.
④ 수행을 통해 우리가 간직해야하는 것은 무명을 없애는 지혜이다.
*무위자연의 도를 얻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깨달음을 얻고, 중생을 구제한다는 발원을 가지는 것이 보살도의 핵심이다.
17. 다음 중 불자의 신행 생활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불교는 ‘수행의 종교’,‘깨달음의 종교’이기에 믿음을 통한 안심입명(安心立命)은 불교적 가르침에 위배되는 미신적 행동이다.
② 불교의 기도는 업장을 소멸하여 부처님의 가피를 얻는 것이므로 스스로 노력하여 깨달음을 얻는 수행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③ 불교의 수행방법으로는 조사선, 간화선, 묵조선, 염불선 등이 있으며, 위빠사나 수행법은 소승불교의 수행법이므로 대한불교조계종에서는 금지하고 있다.
④ 불교의 참회는 과거의 죄를 뉘우쳐 다시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는 것인데, 죄의 본성이 본래 없고 고정 불변하는 실체도 아니라고 본다.
18. 다음 중 10재일의 명칭과 날짜가 바르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① 약사재일 - 음력 8일 ② 지장재일 - 음력 18일
③ 관음재일 - 음력 24일 ④ 미타재일 - 음력 30일
*미타재일은 15일, 30일은 석가재일
19. 대한불교조계종의 뿌리와 전통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조(宗祖)는 우리나라에 선법을 최초로 들여온 도의국사(道義國師)이다.
② 대한불교조계종의 소의경전은 금강경과 반야경, 화엄경, 법화경이다.
③ 보조지눌 국사와 태고 보우국사는 조계종을 다시 천명한 중천조이며, 중흥조이다.
④ 현재의 조계종은 1954년 정화운동을 거쳐 1962년 통합종단 ‘대한불교조계종’으로 출범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조계종의 소의경정은 금강경과 전등법어이다.
20. 부처님께서‘부모가 자식에게 해야 할 일’이라 일러주신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자식이 악행을 멀리하고 착한 일을 하게 해야 한다.
② 결혼시기가 되면 가정을 꾸리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③ 적절한 교육을 시키고 많은 재산을 물려주어야 한다.
④ 부모는 지극한 마음으로 자식을 사랑해야한다.
21. 부처님의 생애에 있어서 네 가지 중요한 사건들이 갖는 의미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부처님의 탄생게는 신 중심의 인간관과 세계관을 부정하고 인간의 진정한 자아회복을 불교의 핵심으로 선언한 것이다.
② 부처님의 깨달음은 고행과 쾌락의 양 극단을 떠난 중도주의 수행의 결과였다.
③ 초전법륜에서 가르치신 팔정도는 괴로움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실천방법이다.
④ 부처님의 열반에 즈음하여 모인 제자들에 의해서 불교의 승가가 처음 형성되었다.
*초전법륜에 의해 탄생한 5비구로 인하여 비구승단이 탄생한 것이며, 야사의 부모가 부처님께 귀의하여 우바새와 우비이가 되었고, 부처님의 양모였던 마하파자파티가 출가함으로 비구니 승단이 탄생하여 4부대중이 되었다.
22. 팔정도에 대한 설명으로 그 연결이 바르지 못한 것은?
① 정견(正見)-생각할 바와 생각해서는 안 될 바를 잘 분간하여 마음을 쓰는 것
② 정어(正語)-말의 흐름을 잘 관찰하여 잘못된 구업을 짓지 않는 것
③ 정명(正命)-올바른 직업윤리를 지니고 정당한 직업을 통해 생활하는 것
④ 정념(正念)-찰나 찰나 몸과 마음의 움직임을 깨어있는 마음으로 관찰하는 것
*정견은 올바른 견해이니 곧 중도로서, 연기법으로 세상을 본다는 말이다.
23. 수행은 처음부터 일상사가 그대로 수행이 되어야 한다. 연기의 원리를 일상사에 그대로 적용했을 경우에 나오는 수행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 공경하고 감사하는 생활을 추구한다.
② 더불어 어우러지는 기쁨 가득한 생활을 한다.
③ 자신에게 도움이 될 것과 되지 않는 것을 잘 관찰하여 구분한다.
④ 화를 내는 순간 연쇄적으로 일어날 상황을 미리 간파하여 몸과 입과 뜻을 조절한다.
24. 다음은 공(空)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공(空)’이란 말은 쑤냐(Śūnya)라는 범어를 한자로 번역한 것이다.
② 쑤냐(Śūnya)는 텅 비어있음을 뜻한다.
③‘공(空)’은 이 세상도 부정하고 부처님의 가르침도 부정하는 것이다.
④ 반야심경은 공 의 경지에 5온도, 12처도, 18계도 없다고 설한다.
25. 다음 보기는 유식사상에서 보살도를 다섯 단계로 구분한 것이다. 처음부터 수행의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 보 기 ] |
||
가) 자량위 나) 수습위 다) 통달위 라) 가행위 마) 구경위 |
① 가-나-다-라-마 ② 가-라-다-나-마 ③ 가-나-다-마-나 ④ 나-가-라-다-마
26. 다음은 화엄의 사법계설(四法界說)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사법계(事法界)는 모든 현상적이고 차별적인 세계를 말한다.
② 이법계(理法界)는 사법계를 성립시키는 본체적이고 평등한 세계이다.
③ 이사무애법계(理事無碍法界)는 본체와 현상을 둘로 구분하여 바라본 세계이다.
④ 사사무애법계(事事無碍法界)는 현상계가 그대로 절대적인 진리의 세계라는 것이다.
27. 원시불교의 주요한 선정설(禪定說) 중에 사념처관(四念處觀)이 있다. 그 중에서 괴로움과 즐거움, 곧 고락(苦樂)등 모든 감각 작용을 고(苦)라고 관하는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신념처관(身念處觀) ② 수념처관(受念處觀)
③ 심념처관(心念處觀) ④ 법념처관(法念處觀)
28. 다음은 선종(禪宗)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
① 인도의 선과 전혀 관계없이 중국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수행법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② 선종 중 북종선은 점수선(漸修禪)을, 남종선은 돈오선(頓悟禪)을 각각 선양하였다.
③ 선종은 종지로‘교외별전(敎外別傳), 불립문자(不立文字),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을 표방한다.
④ 인간의 참성품을 보게 되면 바로 부처가 된다는 의미로, 견성이 곧 성불이라고 강조한다.
29. 대승불교는 발원을 수행의 첫걸음으로 삼고 있다. 발원과 욕심의 차이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는 것은?
① 욕심은 개인의 이기적 바람이지만, 발원은 공통적 바람을 염두에 두고 있다.
② 욕심은 현재에 중점을 둔 것이고, 발원은 미래에 중점이 두어져 있다.
③ 욕심은 본능적이지만, 발원은 능동적인 것이다.
④ 욕심은 결과를 중시하지만, 발원은 과정을 중시한다.
*발원은 현실을 바로보고, 바른 생활 속에서 좋은 결과를 찾는 것이며, 욕심은 현실이나 과정과 상관없이 무조건 미래의 결과만 잘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30.‘부모가 장수하고 조상이 천상에 태어난다’는 효사상의 영향으로, 특히 우리나라에서 선망부모와 일가친척, 그리고 제반 천도의식을 봉행할 때 많이 사용되는 기도의식은?
① 약사기도 ② 관음기도 ③ 지장기도 ④ 칠성기도
31. 다음 보기의 내용은 여러 가지 수행법 중의 하나를 설명한 것이다. 어떤 수행법인가?
[ 보 기 ] |
||
묘지로 가서 시체(해골)의 모습을 보고 돌아와서 발을 씻고 편안히 앉아 마음과 몸을 유연하게 가지고, 모든 번뇌를 떠나 그 시체와 나의 몸을 비교하며 관한다. 이 수행법은 탐욕과 애정이 많은 사람들에게 인생이 무상함을 깨우쳐 탐욕과 애욕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
① 부정관 ② 수식관 ③ 사마타관 ④ 염불관
32. 다음은 부처님이 나투신 형상인 불신(佛身)에 대한 관점인 삼신설(三身說)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이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법신(法身)을 독립시켜 인격화해서 부를 때는 흔히 청정법신 비로자나불이라고 한다.
② 법신(法身)을 원인으로 삼아 그 과보로 나타난 몸을 보신이라고 한다.
③ 보신(報身)은 법장비구였을 때의 48대원을 성취하여 나타난 아미타불과 같은 몸이다.
④ 응신(應身)은 부처님의 자성(自性)인 진여(眞如) 그 자체를 가리키는 것이다.
33. 현재 한국불교전통을 대표하는 수행법인 간화선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간화선은 화두(話頭)라고 부르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공부해나가는 참선법이다.
② 화두는 공안(公案) 또는 고칙(古則)이라고도 한다.
③ 임제종의 대혜종고 선사에 의해 제창된 것이다.
④ 화두는 문자만을 통해서 전승된다.
34. 조계종의 포교법에서 밝힌 포교의 원칙과 방침이 아닌 것은?
① 수행정진(修行精進) ② 사교입선(捨敎入禪)
③ 정토구현(淨土具顯) ④ 수계청정(受戒淸淨)
35. 대한불교조계종을 구성하는 4부 대중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② 선원, 강원, 율원, 염불원 대중
③ 비구, 사미, 청신사, 행자 ④ 사미, 사미니, 비구, 비구니
36. 2011년, 대한불교조계종 13대 종정에 진제대종사가 추대되었다. 조계종의 종정을 추대할 수 있는 자격과 거리가 먼 종단의 직책은?
① 원로회의 의원 ② 총무원장 ③ 교육원장과 포교원장 ④ 호계원장과 중앙종회의장
37. 다음은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장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포교원장은 총무원장의 추천으로 중앙종회에서 선출한다.
② 포교원장은 중앙종회의원을 겸직할 수 없다.
③ 포교원장은 승납 30년, 년령 50세, 법계 종사급 이상의 비구, 비구니로 한다.
④ 포교원장의 임기는 5년으로 하며, 1차에 한하여 중임할 수 있다.
*포교원장은 비구로 하도록 되어 있다.
38. 사찰신도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사찰신도회장이 되기 위해서는 연령이 30세 이상으로 보살계를 수지해야 한다.
② 사찰신도회장은 주지스님이 덕망있는 신도중에서 직접 선출하여 임명한다.
③ 사찰신도회는 그 활동에 있어서 당해 사찰 주지스님의 지도를 받는다.
④ 사찰신도회의 임원은 종단에서 실시하는 연1회 이상의 재교육을 이수하여야 한다.
*신도회장은 사찰신도희의 회칙에 의하여 선출하고 주지가 임명한다.
39. 조계종이 우리사회 각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불자지도자들의 역량을 한 곳에 모으기 위해 불자지도자 네트워크 결성을 추진한 결과, 2012년 1월 31일 불교정신을 바탕으로 대안마련과 갈등 해소를 위해 발족된 불교지도자 네트워크의 공식 명칭은?
① 불교발전기구 ② 불교포럼 ③ 재가연대 ④ 수행결사
40. 2011년 7월 5일 제정 공포된 신도품계 시행령에 의하면 발심(發心), 행도(行道), 부동(不動), 선혜(善慧)의 4단계로 구분하며, 각 단계의 자격요건을 제시하고 있는데, 신도전문교육 이수자 또는 종단에서 정한 재교육 이수 및 신행 경력자에게 주어지는 품계는 무엇인가?
① 발심(發心) ② 행도(行道) ③ 부동(不動) ④ 선혜(善慧)
*삼귀의 오계를 받고 신도등록을 한자는 발심품계, 기본교육과정을 이수한 자는 행도품계, 신도전문교육(불교교양대학) 이수자나 재교육이수 및 신행 경력자는 부동품계, 전문포교사 이상의 과정을 이수한 지도자는 선혜품계를 준다.
41. 다음의 ( )속에 알맞은 말을 세 글자로 쓰시오[4점]
부처님 당시 육사외도들의 공통점은 베다의 권위를 부정하고, 만물이 브라만 신으로부터 나왔다는 바라문교의 전변설(轉變說)로 일컬어지는 입장에 반대하여, 만물과 인간을 지, 수, 화, 풍 등 실재하는 요소로 구성된다는 ( 적취설 )을 주장하였다.
( )
42. 다음은 오분향 예불문의 일부분이다. 빈 칸에 들어갈 말을 각각 쓰시오.[각 2점]
지심귀명례 대지문수사리보살 ( ㉠ )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 지장보살 마하살.
지심귀명례 영산당시 수불부촉 ( ㉡ ) 오백성 독수성
내지 천이백 제대아라한 무량자비성중.
㉠ ( 대행 보현보살 ) ㉡ ( 십대 제자 십육성 )
43. 유식사상(唯識思想)에서는 일체의 현상을 세 가지 성격으로 조망하였다. 이를 삼성(三性)이라고 하는데, 다음 막대 기의 비유를 읽고 그 성격의 이름을 각각 쓰시오.
- 긴 막대가 실재 있다고 주장한다. -( ㉠ )‘
- 긴 막대가 있다는 생각은 짧은 막대와의 대비를 통해 발생한 것이다.
- 의타기성
- 길이란 이렇게 상대적인 것이기에 그 막대에 본래적 길이가 없다는 것이 진실이다. - ( ㉡ )
㉠ ( 변계소집성 ) ㉡ ( 원성실성 )
44. 부처님은 질문 자체가 중생의 고통을 제거하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존재의 본질에 관한 질문과 같은 것에 대해 침묵으로 그 답을 대신하였다. 이 가르침을 무엇이라고 하는지 쓰시오.[4점]
( 무기설 )
45. 대한불교조계종 종헌 112조에 의하면, 사찰에는 당해 사찰의 신도회, 교구에는 교구신도회를 둘 수 있는데, 총무원 장의 관할하에 중앙에 구성되는 신도회의 명칭은 무엇인지 다섯 자로 쓰시오.[4점]
( 중앙 신도회 )
제17회 포교사 자격고시 문제지 [제2교시]
1. 부처님의 덕을 나타내기 위하여 손으로 여러 모양을 만들어 표현한 것을 수인(手印)이라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마왕 파순의 항복을 받기 위해 자신의 수행을 지신(地神)에게 증명해 보라고 말하면서 지은 수인은?
① 선정인(禪定印) ②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
③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④ 지권인(智拳印)
2. 다음 중 지장보살을 모신 법당과 관련 있는 것은??
① 용화전 ② 명부전 ③ 약사전 ④ 팔상전
3. 미륵불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메시아로서 널리 알려진 미래불이다.
② 석가여래 열반 후 56억 7천만년 후에 나타난다.
③ 중생들의 질병을 치료하고 현세적 소망을 성취케 한다.
④ 금산사와 법주사는 미륵도량으로 유명하다.
4. 부처님이 설법하실 때 여러 성중과 함께 불법을 외호하는 호법신을 신중(神衆)이라 하는데, 다음 중 신중상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나한상 ② 사천왕상 ③ 인왕상 ④ 팔부중상
5. 다음 중 목탑의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삼국시대에는 석탑뿐만 아니라 목탑도 많이 조성되었다.
② 법주사 팔상전은 조선시대 이전에 조성된 유일하게 현존하는 목탑이다.
③ 인도에서 많이 조성되었으며,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에 전해졌다.
④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목탑을 형식을 지닌 석탑이다.
6. 통일신라시대(844년)에 세워진 것으로 현재 남아 있는 우리나라의 부도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①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② 전 흥법사 염거화상탑
③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④ 신륵사 보제존자 사리탑
7. 석등(石燈)은 원래 집안의 정원을 밝히는 등화구였는데, 사찰의 석등(石燈)이 배치되는 곳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불탑 앞 ② 부도 앞 ③ 불당(佛堂) 앞 ④ 당간지주 앞
8. 불화는 부처님을 비롯한 여러 존상을 형상화한 것이다. 다음 중, 존상과 불화의 명칭이 잘못연결된 것은?
① 석가여래-영산회상도 ② 아미타여래-극락회상도
③ 비로자나여래-관경변상도 ④ 미륵여래-미륵하생경변상도
*비로자나불을 모신 전각의 불화는 화엄경변상도 혹은 칠처구회도라고 하며, 관경변상도는 아미타불을 모신 전각에 모시는 불화로 관무량수경에 근거를 둔다.
9. 북두칠성을 불교화한 그림으로 본존은 북극성을 불교식으로 여래화한 치성광여래이다. 이 불화의 명칭은 무엇인가?
① 감로왕도(甘露王圖) ② 칠성도(七星圖) ③ 사천왕도(四天王圖) ④ 산신도(山神圖)
10. 사찰에서 중요시 하는 네 종류의 법구인 사물(四物)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범종・쇠북(금고)・발우・목어 ② 범종・법고(북)・운판・목어
③ 범종・운판・발우・풍경 ④ 범종・쇠북(금고)・운판・바라
11. 다음은 사리(舍利) 장엄구를 설명한 것이다. 거리가 먼 것은?
① 믿음의 상징이자 신앙심의 표상이다.
② 겹겹으로 차림새를 갖추어 최대한 장엄하였다.
③ 사리 이외에 불상과 탑, 경전과 경문 등은 넣지 않았다.
④ 공예품으로 뛰어난 예술적 가치를 갖고 있다.
12. 범패는 좁은 의미로는 전문적 의식스님들에 의해 불리는 염불만을 말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범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아니리 ② 안채비 ③ 화청 ④ 바깥채비
13. 종합 수행도량인 총림에서 대중을 지도, 감독하고 선원에서 기강을 담당하는 스님을 지칭하는 말은 다음 중 무엇인 가?
① 방장(方丈) ② 조실(祖室) ③ 찰중(察衆) ④ 유나(維那)
14. 부처님 당시부터 내려오던 승가 고유의 의결구조이며, 크 고 작은 모든 일을 결정할 때 전원이 참여하는 제도를 무 엇이라고 하는가?
① 안거 ② 대중공사 ③ 포살 ④ 참회
15. 과거 일곱 부처님의 공통계율이라 불리는 ‘칠불통계(七佛 通戒)’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
②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
③ 제악막작 중선봉행 자정기의 시제불교(諸惡莫作 衆善奉行 自淨其意 是諸佛敎)
④ 법등명 자등명 법귀의 자귀의(法燈明 自燈明 法歸依 自歸依)
16. 부처님께서는 성도 후 범천의 간청을 받고 포교전략을 세웠다. 최초로 법을 설한 대상은 누구인가?
① 알라라 칼라마 ② 웃다카 라마풋다 ③ 교진여 등 5비구 ④ 야사
17. 다음은 부처님이 마하가섭 존자에게 법을 전한 것을 설명한 것이다. 거리가 먼 것은?
① 다자탑전 분반좌 ② 녹야원 초전법륜 ③ 영산회상 염화시중 ④ 사라쌍수 곽씨쌍부
18. 부처님의 십대제자 중, 출가 사문들에게 논리적이고 학문적 해설을 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 논의제일(論義第 一)의 제자는 누구인가?
① 가전연 존자 ② 사리불 존자 ③ 부루나 존자 ④ 우팔리 존자
19. 다음은 불교의 세계적 전파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인도 전역으로 급속하게 확산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은 아쇼카 왕이다.
② 불교의 보호자로 자처하며 대승불교를 일으키는 데 앞장선 사람은 카니슈카 왕이다.
③ 상좌부불교는 스리랑카를 거점으로 하여 미얀마 등 동남아시아 일대로 전해졌다.
④ 티베트의 송첸캄포 왕은 태국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이고 문자를 제정하였다.
*송첸감포왕은 티벳을 통일한후 당나라의 문성공주와 결혼하며 불교를 받아들였다.
20. 오늘 날 남방불교계의 가장 권위 있는 논서로 꼽히는 『청정도론』을 저술한 사람은 누구인가?
① 나가르주나 ② 붓다고사 ③ 마힌다 ④ 암베드카르
21. 신라 시대 원효스님의 업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부처님께서 평생 동안 가르치신 경전을 다섯 단계로 분류하였다.
② ‘해동의 석가’로 알려진 스님으로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③ 일심(一心)의 관점에서 불교의 모든 내용을 회통시켰다.
④ 일체 모든 것에 거리낌이 없는 행동으로 무애행(無碍行)을 실천하였다.
*교판의 작업을 중국에서 일어난 것이다.
22. 『화엄경』의 골자를 간추린 7언 30구의 〈법계도송〉과 〈법성게도〉라는 그림으로 널리 알려진 신라의 스님은?
① 원광(圓光, 555~638) ② 자장(慈藏, 590~658)
③ 원효(元曉, 617~686) ④ 의상(義湘, 625~702)
23. 다음 중 『화엄경』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경전의 주인공은 지혜와 덕행을 상징하는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다.
② 중생의 근기에 따라 삼승(三乘)의 수행을 통해서 일승(一乘)의 가르침에 이르도록 설법하고 있다.
③ 〈입법계품〉에서는 선재동자의 구법기를 바탕으로 세간과 출세간의 깨달음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④ 〈보현행원품〉에서는 보현보살의 수행법으로 열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2번의 일불승 사상은 법화경의 내용이다.
24. 다음 중 경전 상에 나타난 부처님의 교화사례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누구나 근기에 맞는 가르침만 주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② 먼저 수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서 상대방이 스스로 마음의 문을 열게 하였다.
③ 모든 문제의 원인이 자신의 외부에서 비롯됨을 스스로 통찰하게 하였다.
④ 어떤 경우에도 선입견을 갖지 않고, 그의 본성인 불성(佛性)을 신뢰하였다.
25. 부처님은 당시 그릇된 정치적 관행, 불합리한 경제체제나 사회제도 등에 대해서 정확한 이해와 근본적인 대안을 제시하며 비판적 설법을 하셨는데, 당시 유행하였던 인도사회의 극단적인 사상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신의론(神意論) ② 숙명론(宿命論) ③ 우연론(偶然論) ④ 연기론(緣起論)
26. 다음 중 종단의 신도가 되기 위한 의무교육 과정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입교교육 ② 기본교육 ③ 전문교육 ④ 재교육
27. 최근에는 뉴미디어 포교의 매체로 인터넷 포교가 중시되고 있다. 인터넷 포교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포교의 대상을 확장할 수 있다.
② 쌍방향적 의사소통을 통해 실시간으로 새로운 정보를 생산 ․ 수정할 수 있다.
③ 특정 관심사를 기반으로 세분화된 계층에 대한 정보전달이 용이하다.
④ 저급문화의 양산 ․ 보급을 사전에 차단하여 불교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28. 부처님 시대의 인도 사회에는 네 가지 신분 제도가 있었다. 부처님은 어디에 속했는가?
① 왕족 신분 ② 노동자 신분 ③ 상인 신분 ④ 노예 신분
29. 불교사에서 처음으로 경장을 결집하였을 때 이를 주도했던 지도자의 이름은 누구인가?
① 우팔리 ② 달라이 라마 ③ 수보리 ④ 마하 가섭
30. 중국의 현장은 인도에서 제4차 결집이 불멸 후 400년경에 카슈미르 환림사에서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제4차 결집에서 파르슈와 존자가 카니슈카 왕의 후원을 받아서 편집했던 대주석서는 무엇인가?
① 아비달마대비바사론 ② 구사론 ③ 이부종륜론 ④ 법화경
31. 인도 대승불교의 성립과 관련한 학설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부파불교의 발전 양상에서 등장하게 된 운동이라는 설로서, 대중부와 경량부 등 여러 부파의 교리 및 활동이 대승불교의 성립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② 힌두교와의 습합과정에서 발생했다는 설로서, 힌두교 의례를 불교에서 채용함에 따라 다라니 의식 등의 불교의례가 정착되면서 성립되었다고 한다.
③ 불탑신앙의 전개와 더불어서 발전한 것이라는 설로서, 불탑을 중심으로 모인 재가자들에게 붓다의 전기를 이야기해 주는 법사들을 지도자로 하여 발흥했다고 한다.
④ 대승경전을 비롯한 불전문학의 등장과 함께 한다는 설로서, 붓다의 덕을 찬탄하는 새로운 경전이 작성되면서 성립되었다고 한다.
32. ‘일불승’(一佛乘)의 교의가 특징이며, 중국 불교사상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평가되는 경전은?
① 『화엄경』 ② 『유마경』 ③ 『반야심경』 ④ 『묘법연화경』
33. 중국 선종의 오가(五家)를 열거한 것이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위앙종 ② 임제종 ③ 조계종 ④ 법안종
오가(五家)- 조동종.운문종.법안종(석두문하) 위앙종.임제종(마조문화)= 임제종에서분파-황룡종.양기종를 더해 =오가칠종
34. 중국의 수․당 시대의 찬란한 불교문화는 송나라 이후 쇠퇴하기 시작했다. 그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① 지식인 계층이 승려가 된 예가 드물었고 이로 인해 교단의 지위가 하락하였다.
② 신유학이 등장하면서 중국 고대 전통으로 복귀하려는 경향이 고조되었다.
③ 인도와 중앙아시아 불교의 소멸로 인해 외국 전법사의 활동이 종식을 고하였다.
④ 불교계의 종파 싸움은 국가적인 탄압의 빌미를 주었다.
35. 신라의 불교 전래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떤 것인가?
① 신라의 불교 공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은 자장 스님의 순교 사건이었다.
② 신라에 불교를 처음 전해 준 것은 고구려에서 온 스님들이었다.
③ 국경 지대였던 경북 선산 지역을 중심으로 불교가 전파되기 시작했다.
④ 공식적으로 불교가 수용된 후에 흥륜사가 세워졌다.
*신라불교의 공인을 위해 순교한 사람은 이차돈(염촉)이다.
36. 불교가 한반도에 수용된 이래 불교의 정치이론을 현실의 정치이념으로 사용한 대표적인 예로서 전륜성왕 이념을 들 수 있다. 다음 중 전륜성왕 이념을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한 신라 국왕은 누구인가?
① 법흥왕 ② 광개토왕 ③ 진흥왕 ④ 진평왕
*진흥왕은 아들 이름을 전륜성왕의 이름에서 따서 동륜과 금륜이라고 하였고, 황룡사 불상도 아쇼카왕이 보낸 철과 금을 사용했다고 한다.
37. 다음은 삼국시대 불교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고구려 출신의 승랑은 5세기 후반 중국에 유학하여 강남지방에 있는 섭산의 서하사에 머물면서 중국 섭론학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② 백제 출신의 혜총과 관륵은 삼론학을 깊이 연구했으며 6세기 말 이후 일본에 건너가 쇼오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③ 신라 불교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원광은 중국에 유학하고 귀국하여 점찰법을 통해 대중을 교화하였으며 화랑도에게 세속오계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④ 자장은 중국에 유학하여 계율학과 섭론학을 수학하고 대장경 1부를 가지고 귀국하였으며, 황룡사 9층탑 건립을 주도하였다.
*승랑은 구마라습 아래서 공부하고 중국 삼론종의 3조가 되었다. 섭론학은 현장스님이 신유식을 전파하기 이전의 구유식을 말하는 것이다.
38. 고려 말 원나라에 유학하여 임제종의 간화선풍을 전래한 스님이 아닌 분을 고르시오.
① 백운 경한 ② 나옹 혜근 ③ 태고 보우 ④ 보조 지눌
*보조지눌스님은 조계종 중창주로서 다른 스님들보다 약 200년 앞선 분이다.
39. 다음은 조선 전기 불교에 대해 설명한 글이다. 틀린 것은?
① 태종은 불교계가 보유하고 있던 사원전 3~4만결과 노비 8만 명 정도를 몰수하였다.
② 세종 30년에 최초의 한글 불서인 석보상절이 간행되었다.
③ 세조는 교장도감을 설치하여 법화경, 금강경, 능엄경경 등의 불서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하여 간행하였다.
④ 왕실에서 자주 수륙재를 설행하였고, 상례와 장례 등은 여전히 불교적으로 거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세조때 만든 기구는 간경도감이라고 하며, 교장도감은 고려의 대각국사 의천이 속장경을 만들때 기구이다.
40. 1908년 전국 사찰 대표자 60여 명이 원흥사에 모여 불교종단을 재건하면서 선정한 종단 명칭은 무엇인가?
① 원종 ② 임제종 ③ 천태종 ④ 조계종
41.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불교문화축제로 가장 오래되고 지금도 행해지고 있으며, 2012년 1월말 문화재청으로 부터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불교전통문화축제의 이름을 쓰시오.[4점]
( 연등축제 )
42. 선원의 큰방에는 결제 때나 큰일을 치를 때에 소임과 그 소임을 맡은 스님의 법명을 적은 방(榜)을 붙여두는데, 이것을 일컫는 용어를 세 자로 쓰시오.[4점]
( 용상방 )
43. 요 ․ 송 ․ 일본 등에서 수집한 불교서적 4천여 권과 국내의 고서를 모아 《신편제종교장총록》3권의 간행 목록을 편집하고, 이 목록에 따라 《고려속장경》을 간행한 고려 전기의 대표적은 스님은 누구인가?[4점]
( 대각국사 의천 )
44. 부처님의 가르침을 내용, 길이, 형식, 법수 등으로 엮어 놓은 경전으로 부처님 당시의 사회적 상황과 가르침의 원래 모습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경전의 이름을 쓰시오.[4점]
( 아함부경전 )
45. 인도불교 최종 발전 단계로서 대승불교의 인도적 변용이라고 볼 수 있으며 비공개적인 교의와 의례를 사자상승(師資相承)에 의해 전수하는 불교이다. 현교(顯敎)의 상대적인 의미로 일컬어진 불교를 일컫는 말을 두 자로 쓰시오.[4점]
( 밀교 )
'尋劍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8회 포교사고시 문제 및 정답 (0) | 2014.01.14 |
---|---|
[스크랩] 제16회 포교사 자격고시 문제 및 정답 (0) | 2014.01.14 |
불조(佛祖)는 내 원수요 대중은 내 친구다 - 효봉스님 (0) | 2012.04.21 |
자연은 문명의 해독제 (0) | 2012.04.10 |
스님의 삭발(削髮)과 부처님의 나발(螺髮) (0) | 2012.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