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대승불교의 흥기배경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부파불교에 대한 비판
② 불전문학 및 찬불승(讚佛乘) 계통의 확립
③ 불탑 신앙
④ 외도들의 영향
초기 대승불교의 특징
대승불교운동의 기운은 대체로 B.C 1세기 경부터 점차 무르익어 갔다.
초기 대승불교의 특징으로는
1) 새로운 보살의 개념,
2) 6바라밀의 실천을 중시,
3) 보리심의 자각(누구든지 깨달을 수 있음),
4) 새로운 불타관(報身佛사상),
5) 공(空)사상,
6) 주객을 초월한 반야의 지혜,
7) 利他주의(서원과 중생구제),
8) 재가불교
등을 들 수 있다.
부파불교 시대의 불타한 원칙적으로 석가모니만을 말했다. 그러나 대승불교에 이르러 다수의 불.보살이 출현하여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 마이트레야(미륵)는 메시아적 성격이 강조되고, 아미타불의 서방정토 신앙, 문수보살. 관음보살 등이 신앙의 대상으로 등장한다.
특히 관음신앙은 현세이익적 공덕이 강조되어 각지의 민간신앙을 흡수하여 불교화 시켜 갔으며 인도뿐 아니라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도 대단한 신앙을 얻게 되었다. 세간. 출세간 양 차원에 있어서의 불타와 보살의 대두, 그리고 예배의식의 확립은 대승불교의 특징을 이루면서 당시의 힌두교 신앙형태에 접근해 갔다.
초기의 대승경전
대승불교가 사상적으로 성숙해가고 있던 기원 전 1세기에서 후 3세기까지의 사이에 수많은 대승경전이 나타났다. 초기 대승경전의 주요한 것은 반야경, 유마경, 법화경, 아미타경, 십지경 등이다.
초기의 대승경전은 처음에 속어로 전해지다가 대승운동이 각지에 퍼지면서 산스크리트어로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그 시대의 사회적 추세에 따라간 것으로 그 결과 경전의 권위가 높아지게 되고, 그리하여 불교는 브라만교의 제종파와 철학적 종교적으로 대항하는 자세를 갖추게 되었다.
이러한 불교경전의 출현은 새로운 신앙운동에 발맞추어 대승불교의 위치를 확고히 했고 전대의 상좌부불교(소승불교)의 모순을 극복하였다.
특히 공(空)사상에 입각한 새로운 불교해석은 대승불교의 기본적 교리로서 이후 불교사상을 새로운 차원으로 이끌었다.
'尋劍堂' 카테고리의 다른 글
49재·예수재·천도재란 (0) | 2008.12.12 |
---|---|
무재칠시(無財七施) (0) | 2008.12.12 |
방생은 왜 해야 하는가 (0) | 2008.12.11 |
참된 불자(佛子)의 길 (0) | 2008.12.11 |
연리지 (連理枝) (0) | 2008.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