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과 함께 노니는 무릉도원 길
위치 : 강원 영월군 수주면 무릉리 산 139
서강 줄기를 따라가며 만나는 선돌
서울의 젖줄인 남한강 상류하면 흔히 아름다운 절경의 ‘동강’을 떠올리고 곧이어 정선 영월을 연상시킨다. 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영월 화력발전소 부근 합수점을 기준으로 동쪽인 정선 쪽에서 흘러드는 강이 ‘동강’이요, 서쪽인 수주 주천 쪽에서 흘러드는 강이 ‘서강’이다. 잘 알려진 동강에 비해 그 아름다움이 결코 떨어지지 않고 사람의 손을 적게 탄 비경이 살아있는 곳이 서강이다. 서강 자락의 수주면은 영월 읍내에서 1시간 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水(물수)자에 周(두루 주)자를 쓰니 물이 마을을 감고 있다는 뜻이다.
서강 줄기를 따라가면 만나는 한반도 지형 선암마을
신선을 맞이하는 정자와 바위
서강의 지류와 이야기를 나누며 걷는 길은 수주면 무릉리에 자리한 요선정 쯤에서 시작한다. 수주면은 행정구역상 무릉리와 도원리로 이루어져 있다. 대한민국 땅에 무릉이라는 지명이 많고 도원이라는 지명도 있지만 이리 딱 붙어있는 곳은 이곳이 유일하다. 안동의 하회마을 버금가도록 태극으로 돌아 흐르는 물은 무릉리와 도원리를 감싼다.
흰 수염 휘날리며 버드나무 아래에서 장기를 두는 노인들이 살던 마을 무릉도원, 바로 그곳이니 이 마을은 신선마을이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신선을 맞이하는 정자, 요선정(邀仙亭)이 있다. 맞을 요(邀), 신선선(仙)자를 쓰니 정말로 신선을 맞이하는 곳이다. 정면 1칸 측면 1칸의 아담한 정자는 구불구불 흐르는 물줄기와 우아한 산세를 바라보며 신선처럼 앉아 있다. 요선정에는 조선 19대 임금인 숙종의 어제시를 보관하고 있다.
계곡을 따라 눈을 덮어쓰고 둥글게 누운 암석들을 내려다보며 숙종이 읊은 것을 영조가 친필로 썼다. 한 나라의 임금이 정취에 감탄해 시를 남길 정도니 요선정의 경관은 실로 멋지다. 정자 옆에는 3.5m의 마애여래상과 작은 석탑 한 기가 남아 있으며 요선정 발치에는 조선 중기 풍류가인 봉래 양사언이 글자를 새긴 ‘요선암(邀仙岩)’이 모양을 뽐낸다. 올록볼록 동그란 웅덩이가 신비한 요선암은 신선들이 족탁(足濯)를 즐기며 담소하던 자리다.
신선을 맞이하는 정자 요선정 신선들의 놀이터 요선암
아기자기 이어지는 시골동네의 정겨움
요선정에 오르기 전이나 후에는 호야지리 박물관에 들려보자. 호야지리박물관은 지리 교육에 평생을 바친 호야 양재룡 선생님이 사재를 털어 설립한 국내최초의 지리 테마 사설 박물관이다. 영월은 카르스트 지형과 석회암 동굴, 물이 돌아드는 사행천 등 우리나라 천연광물과 자연현상의 표본실과 같은 지역이라 일부러 이곳에 지리박물관을 세웠다. 다양한 전시물과 더불어 관장의 구수한 설명이 곁들어져 아이들이 신나하는 공간으로 영월과 국내 자료만 있는 것이 아니라 동양과 서양의 다양한 세계관, 지리를 해석하는 관점, 독도에 대한 세계인의 시선, 광개토대왕비의 중요성 등 박물관을 돌아보는 것만으로도 공부가 된다.
이제 본격적인 도보코스가 이어진다. 오른편으로 혹은 왼편으로 구불구불 물줄기를 따라 가노라면 아기자기 시골동네가 펼쳐진다. 구덩이를 파고 김장독을 묻어 둔 집이 있고, 화로를 품에 낀 촌로(村老)가 보이고 새로 지은 그림 같은 펜션이 있으며, 한식 중식 분식이 모두 가능한 시골 식당도 있다. 법흥사까지 이어지는 길은 11km 남짓, 도보로 세 시간 정도 걸리니 가끔씩 걸음을 멈추고 얼음장을 밟아보거나 돌돌돌 흐르는 물밑에 숨어있을 물고기와의 숨바꼭질을 해보자.
호야지리박물관의 전시품들 호야지리박물관 내부
따끈따끈 겨울 찐빵과 법흥사 이야기
도보코스의 끝자락엔 천년고찰 법흥사가 있다. 643년(선덕여왕 12년) 당나라에서 돌아오던 자장율사가 오대산 상원사, 태백산 정암사, 영취산 통도사, 설악산 봉정암 등에 부처의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마지막으로 이곳에 진신사리를 봉안했으며 흥녕사라고 이름 붙였다. 이후 소실되고 중건되기를 여러 번 반복해 오늘의 법흥사에 이르렀다. 진신사리를 모시기 때문에 법흥사 적멸보궁에는 불상을 모시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진신사리를 봉안했다는 부도(강원유형문화재 73), 당나라에서 사리를 넣어 사자 등에 싣고 왔다는 석분(石墳:강원유형문화재 109)이 눈여겨볼 만하며 적멸보궁으로 오르는 좁은 산길과 3단으로 이의 진 불각(水閣)이 매력포인트다.
돌아오는 길에는 주천시내와 황둔찐빵마을에 들려보자. 주천에는 상놈이 가면 탁주가 나오고 양반이 가면 청주가 나왔다는 술샘이 있다. 돈을 많이 벌어 족보를 산 상놈이 양반 옷을 입고 갔으나 탁주가 나와 샘을 부셔버린 후로는 맹물만 나온다는 이야기 때문에 이곳의 명칭이 주천(酒泉)이다. 술샘 뒤쪽 계단을 따라 빙허루에 오르면 주천마을과 그림 같은 풍경이 시원하다.
주천강에는 겨울철이면 섶다리가 놓인다. 참나무로 다리목을 세우고, 낙엽송 장대를 이어서 솔가지를 깔고 흙으로 덮어 만든다. 섶다리에 올라 발을 떼면 부드러우면서도 출렁거리는 감촉이 견고한 아스팔트 다리와 달리 포근하고 색다른 느낌이다. 주천강 뿐 아니라 지척인 평창강에도 겨울이면 섶다리가 놓인다.
서강 줄기에 놓이니 정겨운 섶다리 황둔의 유명한 먹거리 찐빵
주천에서 서강을 따라 중앙고속도로 방향으로 나가는 길에 자리한 황둔 찐빵마을에는 좌우 100여 미터의 짧은 거리에 10여 호가 넘는 찐빵집이 자리한다. 시골방식 그대로 1,2차 발효를 거쳐 만든 찐빵들은 폭신폭신한 식감(食感)을 자랑한다. 재료에 따라 종류가 다양해 검은 깨 찐빵, 잡곡 찐빵, 옥수수 찐빵, 흑미 찐빵, 고구마 찐빵, 솔잎 찐빵, 미나리 찐빵, 쑥 찐빵, 단호박 찐빵 등 무지개처럼 색이 아름답다. 또한 밀가루가 아닌 쌀가루로 만든 쌀찐빵도 선보여 웰빙식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생로병사가 없는 신선마을 무릉도원 길을 걷고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만난 후 웰빙 찐빵을 먹는 길이 즐겁다. 또한 동강과 만나러 가는 서강의 물줄기를 따라 영월로 향하면 선돌, 선암마을 등의 진풍경을 만날 수 있다.
<여행정보>
○ 관련 웹사이트 주소
- 영월군청 www.yw.go.kr
- 수주면사무소 http://sjm.yw.go.kr
- 법흥사 www.bubheungsa.or.kr
- 하문호 황둔 쌀 찐빵 www.ssal-bbang.com
○ 문의전화
- 영월군청 1577-0545
- 수주면사무소 033-372-8001
- 법흥사 033-374-9177
- 하문호 황둔 쌀 찐빵 033-766-6966
○ 대중교통 정보
[ 버스 ] 동서울 터미널→영월 : 1일 12회 운행, 첫차 오전 7시 막차 10시 2시간
서울 센트럴시티터미널→영월 : 1일 67회 운행, 첫차 8시, 막차 7시 2시간 소요.
영월시내버스정류소-주천방향 승차 후 주천에서 법흥사 행으로 갈아타고 요선정에서 하차한다. 영월-주천 40분 소요, 주천-요선정 10분 소요
○ 자가운전 정보
[서울-영월] 중앙고속도로- 신림IC-88지방도-황둔-주천-수주면 무릉리
[대구, 부산-영월] 중앙고속도로-단양-제천IC-영월방면-82번 지방도-주천-수주면 무릉리
○ 숙박정보
- 동양원목집펜션 : 수주면 무릉리, 033-372-7875 www.dylove.co.kr
- 가자 화이트 펜션 : 수주면 도원리 033-374-9466
- 금방아민박/야영장 : 수주면 법흥1리 033-372-7912 www.kumbanga.com
- 구봉산장 : 수주면 법흥2리 033-374-7177
○ 식당정보
- 다하누촌, 영월군 주천리, 한우 1577-5330 www.dahanoo.com
- 주천묵집: 영월군 주천리, 도토리묵 밥과 메밀묵밥, 033-372-3800
- 신일식당: 영월군 주천리, 꼴두국수, 033-372-7743
- 무릉도원식당 : 수주면 무릉리, 양푼등갈비 033-372-3177
- 무릉식당 : 수주면 무릉리, 한식, 033-372-0565
- 사재식당 : 수주면 법흥리, 자장면, 033-374-9109
- 황둔 공순희 찐빵: 원주시 신림면 황둔1리, 찐빵 033-765-0408
- 황둔송계원조 찐빵: 원주시 신림면 황둔1리, 찐빵 033-764-1247
○ 축제 및 행사정보
수주면계곡축제 : 매년 8월 첫째주 www.sujulove.co.kr
○ 이색체험 정보 : 법흥사 템플스테이
대한민국 5대 적멸보궁 중 하나인 법흥사에서 템플스테이를 할 수 있다.
걷기명상, 차담, 꿈낭 만들어 걸기, 108 염주꿰기, 만다라만들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다. www.bubheungsa.or.kr
○ 주변 볼거리 : 선돌, 선암마을, 청령포, 장릉, 동강사진박물관
'원주해설사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항리 석조불두 - 원주의 문화재 자료 (0) | 2010.10.14 |
---|---|
불정심다라니경 - 원주의 문화재자료 (0) | 2010.10.14 |
부론면 서원마을과 느티나무 (0) | 2010.10.12 |
원주시 부론면 지역의 숨은 문화재 답사 (0) | 2010.10.11 |
법천사지 (0) | 2010.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