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동(牛山洞) |
통 : 21 반 : 117 |
인구 : 남자 6,262 여자 5,909계 : 12,171 세대수 : 4,857<2005년도>기준 |
[위치] 우산동은 원주시청에서 서북쪽으로 2㎞ 떨어져 있으며 남쪽으로는 원주시 단계동, 동쪽으로는 태장 2동과 서쪽으로는 호저면 주산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유래]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우두산(牛頭山)의 이름을 따서 우산리(牛山里)라 하여 호저면(好楮面)에 편입되었다가 1955년 9월 1일 원주시 구역 확장에 의하여 원주시에 편입되어 우산동이 되었다. [연혁] 원래 원주군 저전동면(楮田洞面)의 지역으로서, 이리(二里)라 하였는데, 1914년 우산리라 하여 호저면에 편입되었다가 1955년 원주가 시로 승격할 때 원성군 호저면 우산리가 시로 편입되면서 우산동을 설치하였다. [특이사항] 예전에 우산동은 유난히 비가 많이 내렸다고 한다. 진흙밭이었던 우산동은 '마누라 없이는 살아도 장화 없이는 못 살고 남편 없이는 살아도 장화 없이는 못산다'는 말이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현재는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그런 말도 없어지게 되었다. 외부유입인구와 유동인구가 많고 터미널과 상지대학교가 있어서 식당과 숙박업소 등이 많고 상가와 인구가 밀집되어 있다. [지명] ▲가래울들 [들] [위치] 윗골 남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래] 고개가 갈라지는 곳에 있어서 가래울들이라고 한다. ▲덤바우 [바위] [위치] 현재 상지대 뒤쪽 영동고속도로 건너편 산에 있다. [유래] 바위가 병풍처럼 생겼다고 한다. ▲돌터거리 [마을] [위치] 현재의 우산아파트와 상지대 사거리 사이의 마을을 말한다. 석대라고도 한다. [유래] 마을 앞에 큰 반석이 있어서 돌터거리라 했다고 한다. ▲모세거리보 [보] [위치] 현재 우산동 동사무소 앞에 있었던 보를 말한다. [유래] 모래가 많고 터가 넓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현재는 없어졌다. ▲봉바우산 [산] [위치] 덤부우산 앞에 있는 돌산을 말한다. [유래] 봉바우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북원로(北原路) [도로] [위치] 우산철교에서 시계에 이르는 4km의 도로를 말한다. [유래] 신라시대 원주의 옛 지명인 북원에서 따왔다. ▲산골고개 [고개] [위치] 우산동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유래] 산골이 나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상봉(上峰) [산] [위치] 현재 진광중고등학교 뒷산을 말한다. [유래] 봉우리가 높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새마을 [마을] [위치] 현재 우산아파트와 상지 경로당 사이의 마을을 말한다. [유래] 새로 생긴 마을이라고 붙여진 이름이다. 돌터거리 마을과 겹친다. ▲역들 [들] [위치] 유원 앞에 있던 들을 말한다. [유래] 역 앞에 있는 들이라고 붙여진 이름이다. ▲ 옻물 [샘] [유래] 옻오른 사람에게 효험이 있다는 우물이다. ▲우두산(牛頭山) [산] [위치] 우산공단 서쪽에 있는 높이 172m의 산을 말한다. [유래1] 소의 머리 모양을 닮았다 하여 우두산(牛頭山)이라고 한다. [유래2] 또한 옛날 어느 농부가 잃어버린 소를 이 산 아래에서 찾았다고 우두산으로 불리워졌다고도 한다. ▲우두산골 [골] [위치] 우두산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우무개 [마을] [위치] 상지대학교 남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음무현, 음현, 암현, 으무개, 음무개라고도 한다. [유래] 원주목사가 서울서 원주로 부임해 올 때는 앞에다 삼현육각을 잡히고 오는데 역말이 있는 우무개서부터 삼현육각을 울렸다고 한다. 삼현육각이란 거문고, 가야금, 비파를 삼현(三鉉)이라 하고 북, 장고, 해금, 대평소 한 쌍, 피리를 육각(六角)이라 한다. 이 아홉 개의 악기가 합주하는 뒤로 목사가 따라 들어선다. 또 고관대작들을 환송하거나 전송할 때도 역말이 있는 이곳까지 와서 멎곤 했는데 이런 연유로 고개 이름을 음무현(音舞峴)으로 부르다가 음현(音峴) 또는 음무개, 으무개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중앙선 전철변에 있는 농촌부락이다. [풀이] 우무개는 땅의 지형이 우묵한 곳에 붙는 지명이다. 호저면 옥산리에도 우무개가 있는데 고개 밑에 우묵하게 들어간 곳에 있으며 이곳도 지형이 상지대가 있는 산 아래로서 우묵한 곳이다. ▲우산동 로터리 [길] [위치] 우산철교 앞 사거리를 말한다. [유래] 가운데 화원을 만든 회전식 교차로였으나 지금은 철거되고 신호등 체계로 바뀌었다. ▲우산들 [들] [위치] 우두산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래] 우두산 앞에 있는 들이라고 붙여진 이름이다. ▲유문(由門) [터] [위치] 상지대학교옆 영동고속도로변 산림 및 농경지일대를 말한다. [유래] 조선시대 유원역(由原驛)이 있어 이곳에서 말을 갈아 탄 곳이라고 한다. ▲유원(由原) [마을] [위치] 상지대 북서쪽에 있던 마을을 말한다. [유래] 조선시대 유원역(由原驛)이 있었다고 한다. ▲은질마배기 [골] [위치] 장자골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옛날 장자골 어느 부자가 은질마(말안장)를 묻었다고 한다. 우두산 앞에 있는 마을이나 현재는 주택이 많이 들어서서 정확한 위치를 찾을 수 없다. ▲잣나무골 [골] [위치] 고방터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유래] 잣나무가 많이 있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 잣나무는 없다. ▲장자골(長者-) [마을] [위치] 우두산 앞에 있는 마을이다. 현재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유래] 부자가 살았던 마을이라고 한다. ▲진골 [골] [위치] 산골고개 밑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풀이] 긴 골짜기이다. '진, 질, 길'은 모두 '길다 長'의 뜻으로 관형사형 어미 'ㄴ,ㄹ'이 연결된 말이며, '진, 질'은 '긴, 길'이 구개음화한 것이다. ▲철도연변 [마을] [위치] 현재 동우아파트 부근 마을을 말한다. [유래] 6.25사변 후 군인들이 주둔하면서 생긴 마을로 중앙선 철도 연변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풀무골 [골] [위치] 현재 우산초등학교 부근을 말한다. [유래] 골짜기가 풀무질하는 모양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
'원주해설사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주시 일산동(一山洞) (0) | 2011.03.28 |
---|---|
원주시 원인동(園仁洞) (0) | 2011.03.27 |
원주시 봉산동(鳳山洞) (0) | 2011.03.24 |
원주시 반곡동 관설동(盤谷,觀雪洞) (0) | 2011.03.23 |
원주시 명륜2동(明倫洞) (0) | 2011.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