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거운 짐지고 고달프게 살아온 삶
등 따숩고 배부르면 만족해야 할 것을
산해진미 욕심내고 부귀광명 탐욕내도
정작으로 빈곤한 삶 이제사 알았건만
상전벽해 사바세상 돌아갈 길 멀구나
승무(僧舞)
승무는 조선 중엽 포교수단으로 승무를 추었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황진이가 지족선사를 유혹하려고 춤 춘데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다. 춤사위가 다양하고 춤이 독특하며 춤의 구성 또한 체계적인 품위와 격조가 높은 예술형식을 지니고 있는 승무는 절에서 추어지는 의식무가 아니라 살풀이와 함께 민속춤으로 분류된다. 장삼에다 어깨에 붉은 가사를 두르고 고깔을 눌러 쓴 불교적인 색채가 짙은 승무의 세찬 장삼놀음과 빼어난 발디딤새, 장관을 이루는 북의 울림이 가히 한국 춤의 정수라 할 수 있다.
승무는 흔히 중춤이라고도 하지만 불교의식에서 승려가 추는 춤을 말하는 것이 아닌 민간연향(民間宴享)에서 무원(舞員)이 흰 장삼을 입고 흰 한삼을 끼고 붉은 띠 모양의 가사를 매고 흰 고깔을 쓰고 추는 춤을 가리킨다.
재(齋)와 같은 큰 불교의식에는 승려들이 법고춤, 바라춤, 나비춤 등을 추는데 이것은 승무라고 하지 않고 작법(作法) 또는 법무(法舞)라고 부르는데, 현행 작법은 승무와 춤이 다르다.
승무는 탈춤에서의 노장춤, 상좌(上佐)춤, 목중춤, 법고춤과 같은 중춤과 한량무(閑良舞)에서의 중춤과 농악에서의 조리중춤과 같은 여러 민속적인 중춤을 토대로 하여 민간연향에서 판놀음을 벌이던 창우(倡優)들 가운데 뛰어난 무원들이 판놀음의 중춤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승무는 창우들의 판놀음에서 발전하여 민간연향에서 두루 연행되었는데, 조선 말기에는 신갑두(申甲斗), 백설채(白雪彩), 한성준(韓成俊)과 같은 승무 명인들이 나왔다. 1900년대에는 협률사(協律社), 광무대(光武臺), 원각사(圓覺社)와 같은 극장무대에서 승무가 공연되었고 특히 승무의 무대공연에는 한성준의 활약이 컸다.
승무는 지역마다 약간씩 특징이 다르게 전승되어 왔는데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한성준에 의하여 발전된 경기, 충청 승무와 이대조(李大祚)에 의해 발전된 호남지방의 승무이다. 한성준의 춤은 한영숙에게, 이대조의 춤은 이매방에게 전승되었는데, 한영숙은 이미 작고했다.
승무는 해금, 젓대, 목피리, 곁피리, 장고, 북으로 편성된 삼현육각(三絃六角)의 반주로 춘다. 먼저 매우 느린 6박자인 긴염불의 반주로 춤을 추는데 매우 느리게 움직일 듯 말 듯 어르다가 돌연히 한삼을 날려 교묘한 곡선을 그려가며 춘다. 이윽고 좀 빠른 6박자인 반염불의 장단에 세워 놓은 북을 몇 차례 어르며 치고 나서, 씩씩하고 구성진 4박 장단인 타령에 까치걸음으로 발을 딛고 완자걸이로 한삼을 뿌리고 연풍대로 돌면서 활달하고 유연하게 춤을 추다가, 흥겨운 4박 장단인 굿거리에 발을 벌리고 몸을 굽혀 무릎을 꿇고 한삼을 꼬리치며 뿌리고 한삼을 걸치며 일어서서 여러 가지 교묘한 사위로 흥겹게 춤을 추다가, 오금을 굽히고 손을 소매에서 꺼내어 북채를 양손에 쥐고 세워 놓은 북을 어르며 간간이 치다가, 활달하고 구성진 자진모리가락으로 북을 치며 끝 무렵에는 매우 빠르고 격렬한 휘모리 가락으로 북가락을 몰아가다가, 마지막에는 다시 흥겨운 굿거리 장단에 팔을 소매에 넣고 한삼을 뿌리며 춤을 추다 마친다.
승무는 춤에 뛰어난 명인들에 의하여 가꾸어진 춤인 만큼 춤사위가 매우 세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남도민속무가 갖는 달고 어르고 맺고 푸는 리듬의 섬세한 표현과 중춤이 갖는 한삼사위의 오묘함이 조화된 매우 우수한 춤으로 꼽히고 있다.
'사람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化의 신호 (0) | 2011.08.16 |
---|---|
경남 함안 - 두 번 우는 원님 (0) | 2011.08.16 |
입추(立秋)와 세시풍속 (0) | 2011.08.08 |
견우와 직녀 (0) | 2011.08.06 |
칠석(七夕)과 불교 (0) | 201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