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보물 86호) - 강원도의 문화재 요약설명 굴산사 옛터에 있는 당간지주. 절에서 큰 법회 등을 할 때 당(깃발)을 당간(깃대)에 묶고, 지주(돌기둥)에 고정시키는데 이것을 ‘당간지주’라고 한다. 굴산사당간지주는 높이 5.4m의 긴사각돌기둥형태로 우리나라 당간지주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편이다. 보통 당간 높.. 원주해설사 자료실 2011.12.11
한문관(한국문화관광해설사) 운영위원회 회의록 2011년 12월6일 열린 긴급 한문관 회의록입니다. 제1호 의안 전기회의록 승인의건 제2호 의안 워크숍 개최의 건 제3호 의안 2012년도 전국대회 개최지 선정의 건 ※ 통일 유니폼 선정의 건 ※ 스토리텔링대회 시연의 건 ※ 언어권별 투어의 건 111205서울회의록[1][1].hwp 원주해설사 자료실 2011.12.09
강릉 굴산사지 승탑(보물 85호) - 강원도의 문화재 요약설명 고려시대 범일국사(810~889)의 사리탑으로 추정되는 팔각형태의 탑이다. 바닥돌은 각면에 동물상이 장식되었고, 아래 두 기단에는 소용돌이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다. 가운데 기단은 모서리에 소용돌이 무늬가 있고 각 면에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상이 조각되어 있다. 맨 윗.. 원주해설사 자료실 2011.12.09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보물84호) - 강원도의 문화재 요약설명 고려 초기에 세운 것으로 추정되는 석조보살상으로, 신복사지 삼층석탑 앞에 있다. 커다란 원형의 관을 쓰고 한쪽 다리를 삼층석탑을 향해 꿇어앉은 모습으로, 두손은 공손히 모아 무언가를 쥐고 있으나, 무엇을 쥐고 있었는지 흔적만 남아있을 뿐 지금은 알 수 없다. 어.. 원주해설사 자료실 2011.12.06
강릉 수문리 당간지주(보물 83호) - 강원도의 문화재 요약설명 통일신라시대의 당간지주이다. 동쪽에 있는 지주의 남쪽 면에 ‘조선 순조 17년(1817)에 다시 세우다’라는 해서체(楷書體)의 글귀가 새겨져 있어 이 때 중건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주는 한 변의 길이가 각각 75cm, 80cm로 정사각형에 가깝다. 높이는 3.7m. 앞뒤 면과 안팎 면 .. 원주해설사 자료실 2011.12.04
강릉 대창리 당간지주(보물 82호) - 강원도의 문화재 요약설명 통일신라시대의 당간지주. 당간지주가 서있는 주변에 기와조각이 출토되어 절터임을 짐작할 수 있는데 이 일대에 통일신라시대의 ‘용지사’, ‘무진사’라는 사찰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두 지주가 남북으로 1m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있으며, 처음 만들어진 위치에 원.. 원주해설사 자료실 2011.12.02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보물 81호) - 강원도의 문화재 강릉에 있던 한송사가 폐사된 후 명주군 구정면 어단리에 있던 것을 보물로 지정하면서 1992년 강릉시립박물관으로 옮겨 보관하고 있다. 머리와 오른팔이 없어진 불완전한 보살상이지만, 입체감이 풍부하고 매우 활달한 조각수법을 보여주는 희귀한 작품이다. 왼팔은 안으로 꺾어.. 원주해설사 자료실 2011.11.30
강원도 산골 음식 - 평창 도사리 강원도 산골 음식 도사리(평창) 어른들의 소박한 삶이 녹아 들었다 닭고기·두부 섞은 '닭반데기' 감자 갈아 만든 '감자투생이' ▲ 강원도 평창 도사리 뒷산에서 자라는 곤드레 나물을 섞어 만든 곤드레밥. 식량이 부족하던 시절 주민들이 밥에 넣어 먹던 곤드레 나물은 이제 ‘웰.. 원주해설사 자료실 2011.11.28
고려 最古 목불, 강릉 보현사서 확인 고려 最古 목불, 강릉 보현사서 확인 나무 뼈대에 옻칠한 천 겹겹이… 귀족불교의 정수 가장 오래된 고려시대 목불(木佛)이 확인됐다. 강원 강릉시 성산면에 있는 보현사(주지 승원 스님)는 “사찰 내 불상을 일제 조사한 결과 보현당에 있는 보살좌상이 고려 전기인 12세기에 조성.. 원주해설사 자료실 2011.11.26
홍천 희망리 당간지주(보물80호) - 강원도의 문화재 요약설명 고려시대 중기의 당간지주로 이름이 전해지지 않은 희망리 옛 절터에 남겨져있다. 높이 5m인 두 돌기둥은 70cm 정도 떨어진 거리에서 서로 마주 보고 있는데, 두 기둥 위 안쪽에 파여진 작은 구멍은 깃발(당)을 다는 장대(당간)를 꼽아서 고정시켰던 흔적이 남아있다. 특별.. 원주해설사 자료실 2011.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