尋劍堂

원주불교대학 강의노트 - 한국불교사

難勝 2008. 5. 26. 04:30

2007. 6. 23 불교역사(김경집 교수님) 강의 요약입니다. 

한국 불교사

1. 구분

 1) 발전기 : 삼국시대~통일신라 후기(372년 ~ 신라 경덕왕)

 2) 계승과 침체기 : 신라 후기~고려시대

 3) 쇠퇴기 : 조선 건국 ~ 1895년(도성 출입금지 해제)

 4) 회복기 : 1895 ~ 현재

2. 불교의 전래와 수용

 1) 공식적으로는 고구려 소수림왕 때 전진의 왕 부겸이 순도를 사신으로 보내면서 불상과

    불경을 전한 때를 최초 전래로 봄

 * 중국측의 기록(고승전)에서는 지순 도림(지둔이라고도 함. 314~366)이 고구려에 격의불교를

    전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실제 불교의 전래는 더 거슬러 올라갈 것으로 추정

 2) 백제는 384년 동진의 마라난타에 의해 해상으로 전해진 것으로 보이며 <백제 불교 초전지>

    법성포, 영광의 불갑사등의 명칭에서 불교가 전해진 장소로 추정

 * 왕의 영접 형태 및 불교의 수용, 한산으로 가서 1년만에 10여개의 사찰을 건립하고 10명을      득도시켰다는 기록으로 보면 백제 또한 실제 불교의 전래는 더 빠를 것으로 추정

 3) 신라는 죽령, 조령, 추풍령 등으로 둘러싸인 지리적 여건과 각 부족의 전원합의 의결기구인

   화백제도 등의 보수성 때문에 527년 법흥왕 때 이차돈의 죽음으로 비로소 공인

3. 불교 수용의 배경

 1) 고대 부족국가를 통치하던 샤머니즘, 애니미즘, 토테미즘 등의 사상과 제사장의 권력, 장자

    계승사상 등을 대신해서 성장된 국가를 통치할 새로운 이념이 필요

 2) 각 부족을 통합하면서 생긴 힘을 뒷받침하여 각 부족을 통합할 정신력 필요

 3) 각 부족의 고대신앙보다 우수한 사상과 종교성을 보인 불교를 수용

  * 전생의 선업에 의해 왕이 되었다는 배경으로 활용

  * 신라 불교의 발전 배경

  - 이차돈의 희생 덕에 법흥왕이 부족들에게서 벗어나 왕권을 강화하는 계기로 삼음

  - 인도의 아쇼카왕이 불교를 숭상하며 인도를 통일한 것을 모방하여 삼국통일의 염원을 담아

    인도와 인도의 귀족을 숭상하는 진종의식으로 발전

4. 교학

 1) 고구려 : 중국불교를 체계화한 용수보살의 영향으로 중관학 발전

  * 중관사상 : 감각기관이 있으면 느낌이 있는게 당연, 참고 이기는 것을 수행으로 봄

 2) 백제 : 겸익 스님으로 대표되는 계율을 중시함

  * 인도에서 가져온 율장 72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현실과 맞지 않은 것으로 추정

 3) 신라 : 원광법사로 대표되는 개차법(율법의 유연한 적용)의 수용으로 발전의 기틀을 마련함

  * 신라의 교학은 분량이 많으니 다음 시간에 계속 함.              2007. 6. 30  難   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