尋劍堂

공자(孔子)의 구사론(九思論)

難勝 2008. 6. 23. 04:22

공자(孔子)의 구사론(九思論)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孔子曰(공자왈), 君子有九思(군자유구사), 視思明(시사명), 聽思聰(청사총),

色思溫(색사온), 貌思恭(모사공), 言思忠(언사충), 事思敬(사사경),

疑思問(의사문), 忿思難(분사난), 見得思義(견득사의) (論語 季氏篇)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군자(君子)학식(學識)과

덕행(德行)이 높은 사람이요,

유교(儒敎)의 이상적(理想的)인

인간상(人間像)이다.

바람직한 인간(人間)은

다음 아홉 가지의 자질(資質)을 갖추어야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첫째로, 시사명(視思明)이다.

사물을 볼 때는 밝고 분명한 눈으로 보아야 하고,

 

둘째로, 청사총(聽思聰)이다.

사물을 들을 때는 옳고 총명하게 들어야 하고,

  

셋째로,색사온(色思溫)이다.

사람을 접할 때에는 안색과 태도가 부드러워야 하고,

 

넷째로, 모사공(貌思恭)이다.

용모는 공손해야 하고,

 

다섯째로, 언사충(言思忠)이다.

말은 참되고 진실해야 하고,

 

여섯째로, 사사경(事思敬)이다.

일은 삼가고 공손한 마음으로 해야 하고,

 

일곱째로, 의사문(疑思問)이다.

의문스러운 일을 당했을 때는

남에게 겸손(謙遜)하게 물어야 하고,

 

 여덟째로, 분사난(忿思難)이다.

분노를 느꼈을 때에는 흥분 끝에

후난(後難)을 일으키지 않도록 해야 하고,

 

끝으로 견득사의(見得思義)다.

이득(利得)에 직면하였을 때에는

그 일이 올바른 도리에 맞는가

안맞는가를 생각해야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공자의 구사론(九思論)은 자상하고 완벽하다.

수양인(修養人)의 수련덕목(修練德目)을

체계적으로 요약한 생활훈(生活訓)이다.

그 중에 언사충(言思忠)이 있다.

 

우선, 내가 하는 말이 참되고

진실(眞實)한가를 항상 생각해야 한다.

다음은 우리는 말을 삼가야 한다.

 

근신(謹愼)은 언어생활(言語生活)의

기본원칙(基本原則)이다.

 

말은 아무 때 아무에게나 함부로 하는 것이 아니다.

말할 말이 있고, 말할 때가 있고,

말할 사람이 있고, 말할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