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병상련(同病相憐)
풀이 같은 병을 앓는 사람은 서로 동정하고 서로 위로한다는 뜻으로, 자기신상에 비추어 다른 사람의 어려움을 동정하거나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이아야 서로 그 고통을 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이와 같은 우리 속담에는 ‘과부 설움은 과부가 안다’와 ‘홀아비 설움은 동무 홀아비가 안다’ 등이 있다.
유래 : 중국의 춘추시대초나라의 오자서라는 사람은 소부(小傅)인 비무기(費無忌)의 모함으로 갑자기 아버지 와 형을 잃음을 당하는 불행을 겪었다. 그러자 오자서는 복수를 하기 위해 몸을 피하여 오나라로 달아났다. 이 때, 오나라에서는 공자인 광이 왕위를 노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그의 신임을 얻으려고 자객을 보내어 왕을 살해한 다음 광을 왕위에 오르게 했다. 광은 왕위에 오르자 오왕 합려라고 칭하면서 오자서를 크게 등용하여 모든 국사를 의논하였다. 바로 그 해에 백비도 역시 오자서와 마찬가지로 간신 비무기의 모함으로 할아버지가 초왕으로부터 죽음을 당하자 위험을 느끼고 오나라로 도망쳐 왔다.
오왕은 오자서의 부탁도 있고 또 가엾게 여겨 그에게 대부라는 벼슬을 주어서거두자. 이때부터 오자서는 백비를 동정하여 뒤를 돌보아주었다. 그러자 오나라의 대부 피리가 백비의 인물 됨됨에 의심을 품고 오자서에게 이렇게 물었다.
“귀공께서는 왜 백비를 신용합니까?”
그러자 오자서가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초나라에 대한 나의 원한은 백비가 품고 있는 것과 똑같소이다. 그런데 하상가(河上歌)를들은 일이 있나요? 그것은 동병상련(同病相憐; 같은 근심을 가진 사람들은 서로를 가엾게 여긴다) 동우상구(同憂相求; 같은 근심을 가진 사람들은 서로를 도와준다)라는 말이 있지요, 누구나 자기와 비슷한 처지에 놓인 사람은 서로를 동정하고 똑같은 생각에서 서로의 슬픔을 나누는 법이랍니다.”
그 후, 오자서와 백비는 합려 왕을 도와 9년 동안 노력한 끝에 평왕의 아들인 초나라의 소왕을 쳐부수고 점령했다. 오자서는 자기 아버지와 형을 죽인 평왕의 무덤을 파헤치고 시체를 꺼내 매를 3백 대나 쳐서 원한을 풀었다. 이것을 ‘편사시(鞭死屍 ; 시체에 매질함)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도리에 어긋난다고 하여 친구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이에 대해 그는
“날은 저물고 갈 길은 멀다네. 도리에 따라서 행할 이유가 없지 않은가.”라고 대답했다.
'사람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의 새 코드로 부상한 '웰다잉(Well-dying)’ (0) | 2009.11.24 |
---|---|
원광법사와 세속오계 (0) | 2009.11.24 |
당신이 있어 세상은 더욱 빛이 납니다 (0) | 2009.11.24 |
양(梁)무제의 봉불 (0) | 2009.11.23 |
망국지음(亡國之音) - 음악도 나라를 망하게 할 수 있다 (0) | 2009.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