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근현대) 1895년 5월 26일
|
칙령 제98호(1895.5.26. 공포)로 제1조 및 제3조에 의거 전국행정구역을 23부 336군으로 정비함에 따라 원주의 강원감영을 폐하고 강원도는 2부(강릉부-9개군, 춘천부-13개군)로, 원주군외 3개군(영월, 평창, 정선)은 충주부에 이속 | 1896년 8월 4일
|
칙령 제36호(건양원년 1896. 8. 4 공포, 당일 시행) 제5조에 의거 전국 23부를 폐지하고 13도로 개편됨에 따라 강원도가 부활되면서 원주군외 3개군(평창, 영월, 정선)은 강원도로 편입되고 관찰사는 춘천으로 됨. 이 당시 전국군은 5등급 으로 339군중 원주군은 4등급의 군이었으며 21개 면이 있었음(읍내면, 본부면, 저전동면, 사제면촌, 판제면촌, 금물산면, 홀파면, 미내면, 부론면, 강천면, 지내면, 지향곡면, 정지안면, 고모곡면, 호매곡면, 소초면,수주면, 좌변면, 우변면, 가리파면, 사근사면) | 1914년 3월 1일
|
총독부령 제111호(1913. 12. 19 공포)로 강원도를 21개군(이천군, 간성군, 김화군, 철원군, 울진군, 춘천군, 횡성군, 홍천군, 원주군, 평창군, 영월군, 정선군, 삼척군, 강릉군, 양양군, 통천군, 회양군, 평강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으로 조정 |
|
원주군은 원주군 일원으로 함 | 1916년 1월 1일
|
조선총독부 강원도고시 제52호(조선총독부 관보 제1032호. 1916.1.15)에 의거 원주군 10개면 67개리 (본부면-5개리, 금물산면-5개리, 귀래면-5개리, 가리파면-7개리, 판부면-6개리, 소초면-7개리, 호저면-9개리, 지정면 -8개리, 건등면-9개리, 부론면-6개리)로 구역설정됨(1915. 12. 25 공포, 1916. 1. 1시행) | 1938년 10월 1일
|
부령 제197호(1938. 9. 27. 공포, 동년 10. 1 시행)로 원주군 본부면이 원주읍으로 승격함으로써 원주군은 1읍 9개면으로 확정됨 * 원주읍 (14개정) - 본정1.2정목(중앙), 대화정(인동), 금정(일산), 개운정(개운,명륜), 남산정(원동), 영정(학성1.2동), 욱정(평원), 봉산정 1,2,3구, 태장1.2구, 사천리(단계) | 1945년
|
정을 동으로 개정(15개동-평원동, 인동, 중앙동, 일산동, 개운동, 명륜동, 원동, 학성1.2구, 단계동, 태장1.2구, 봉산1.2.3구) | 1955년 9월 1일
|
법률 제372호(원주시설치에관한법률, 1955. 8. 13 공포, 동년 9. 1 시행)로 원주군 중 원주읍 일원, 판부면 단구리, 행구리, 호저면 우산리를 편입하여 행구동, 단구동, 우산동을 증설하여 18개동으로 시 승격하고 나머지 구역을 원성군으로 개정 | 1961년 9월 15일
|
연합동제 실시 (12개동) * 중앙동, 평원동을 중평동으로, 원동·인동을 원인동으로, 학성1·2구는 학성동으로, 태장1·2구는 태장동으로 봉산1·2·3구는 봉산동으로 연합 | 1965년 12월 28일
|
연합동제 실시 (12개동) * 시조례 제207호(1965. 12. 28 공포, 동일 시행)로 14개동(중앙동, 평원동, 원동, 인동, 개운동, 명륜동, 단구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동, 봉산동, 행구동)의 동의 명칭 및 구역 설정 | 1970년 7월 1일
|
인구 증가로 학성동, 태장동, 봉산동을 각각 2개동으로 분동 3개동을 증설하여 15개 연합동제 실시 | 1973년 7월 1일
|
대통령령 제6542호(1973. 3. 12. 공포) 및 시조례 제514호(1973. 5. 23 공포, 동년 7. 1 시행)로 18개동 명칭과 구역 설정(중앙동, 평원동, 원동, 인동, 개운동, 명륜동, 단구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동, 봉산동, 행구동, 원성군 호저면 가현리를 원주시에 편입하여 가현동, 흥업면 무실리 일원을 편입하여 무실동, 판부면 관설리를 편입하여 관설동, 판부면 반곡리를 편입하여 반곡동)하여 법정동 18개동(행정동 18개동)으로 확정 | 1983년 2월 15일
|
대통령령 제11027호(1983. 1. 10. 공포, 동년 2. 15 시행)로 원성군 소초면 장양리 일부를 원주시에, 원주시 관설동 일부를 원성군 판부면에, 강원도 횡성군 서원면의 매호리, 산현리 및 압곡리 일부를 원성군 호저면에 편입함 | 1989년 1월 1일
|
법률 제4050호(1988. 12. 31 공포, 익년 1월 시행)로 원성군을 원주군으로 명칭변경 | 1990년 4월 1일
|
시조례 제1486호(1990. 3. 31 공포, 동년 4. 1 시행)로 18개동(중앙동, 평원동, 원동, 인동, 개운동, 명륜동, 단구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동, 가현동, 봉산동, 무실동, 행구동, 관설동, 반곡동)중 5개중(단계동, 봉산동, 무실동, 행구동, 반곡동)을 제외한 나머지동의 구역을 변경함 * 단구동 일부를 명륜동과 개운동으로, 우산동 일부를 학성동과 태장동으로, 명륜동 일부를 원동으로, 원동 일부를 명륜동으로 조정 | 1992년 9월 29일
|
시조례 제1634호(1992. 9. 29 공포)로 원동 일부가 명륜동으로 단구동 일부가 개운동으로 각각 편입 | 1993년 4월 6일
|
시조례 제1658호(1993. 4. 6 공포)로 무실동 일부가 단계동으로 편입 | 1993년 7월 21일
|
시조례 제1675호(1993. 7. 21 공포)로 개운동 일부가 단구동으로, 명륜동 일부가 원동, 단계동으로 편입 | 1995년 1월 1일
|
법률 제4774호(1994. 8. 3 공포)로 원주시와 원주군을 통합하여 원주시를 설치(9면 18동 - 소초면, 호저면, 지정면, 문막면, 부론면, 귀래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중앙동, 평원동, 원동, 인동, 개운동, 명륜동, 단구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동, 가현동, 봉산동, 무실동, 행구동, 관설동, 반곡동) | 1995년 2월 15일
|
시조례 제39호(1995. 2. 15 공포)로 단계동 일부가 명륜동으로 편입 | 1995년 3월 1일
|
법률 제4802호(1994. 12. 22 공포)로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대둔리 일부가 원주시로 편입 |
|
시조례 제142호(1994. 12. 22 공포)로 행정운영 읍면동 조정으로 명륜동이 명륜1·2동으로 분리(9면 19동 - 소초면, 호저면, 지정면, 문막면, 부론면, 귀래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중앙동, 원인동, 개운동, 명륜1·2동, 단구동, 일산동, 학성1·2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1·2동, 봉산1·2동, 무실동, 행구동, 관설동, 반곡동) | 1995년 3월 2일
|
시조례 제141호(1995. 2. 28 공포)로 문막면이 문막읍으로 승격(1읍 8면 19동) | 1995년 11월 17일
|
시조례 제166호(1995. 11. 17 공포, 동일 시행)로 1읍 8면 18개동중 일부동 구역 조정(종전 일산동중 일부가 원동, 개운동 일부가 명륜동, 일산동 일부가 학성동, 학성동 일부가 단계동으로 편입 | 1999년 1월 1일
|
시조례 제341호(1998. 12. 24 공포)로 행정운영 읍면동 명칭 및 구역조정 - 학성2동과 중앙평원동이 중앙동, 봉산1.2동이 봉산동, 관설동과 반곡동이 반곡관설동, 학성1동이 학성동, 단계동일부를 무실동으로 명칭 및 구역 조정함 (1읍 8면 16동 - 문막읍, 소초면, 호저면, 지정면, 부론면, 귀래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중앙동, 원인동, 개운동, 명륜1.2동, 단구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1.2동, 봉산동, 행구동, 무실동, 반곡관설동)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