拈華茶室

전가 사시(田家四時)

難勝 2011. 4. 2. 06:54

 

 

 

전가 사시(田家四時)

 

김극기(金克己)

세월은 바람 앞에 펄럭이는 촛불 같아 / 歲月風轉燭
농가에서 바쁜 것이 괴로워라 / 田家苦知促
새끼꼬아 지붕 덮은 것 어제 같은데 / 索綯如隔晨
어느 새 봄이 되어 밭 갈기 시작하네 / 春事起耕耨
따비를 메고 동쪽 들로 나가니 / 負耒歸東阜
숲 사이 길은 꼬불꼬불 돌았네 / 林間路詰曲
들새는 농사철을 알려 주는데 / 野鳥記農候
날고 울어 씨 뿌리기 재촉하네 / 飛鳴催播穀
밥 나르는 아낙네 밭 머리에 나오는데 / 饁婦繞田頭
짚신은 헐어서 겨우 발에 걸렸구나 / 芒鞋才受足
어린애는 나물과 고사리 찾아 / 稚子尋筍蕨
바구니 들고 양지쪽 산골로 향하네 / 提筐向暄谷
해는 긴데 살구꽃은 붉었고 / 遲日杏花紅
바람은 따뜻한데 창포 잎은 푸르렀네 / 暖風舊葉綠
단비도 또한 시기 맞추어 / 甘雨亦如期
간밤에는 흐뭇이 고루 적셨네 / 夜來勻霡霂
봄농사일 괴롭다고 꺼리지 말라 / 莫辭東作勤
노력하기는 오직 내 힘에 있네 / 勞力在吾力

붉은 구름은 수정빛을 쏘고 / 彤雲射晶光
붉은 해는 길대로 길어졌네 / 赤日淹晷度
농사집에는 한여름철 가까우니 / 田居近南訛
일하기에 새벽과 밤이 없네 / 榾榾無曉暮
농부들은 다투어 호미를 메고 / 農夫爭荷鋤
온 들에 구름처럼 깔리어 있네 / 徧野已雲布
오직 집을 지키는 늙은 이 있어 / 唯有看屋翁
머리털은 백로보다 더 희네 / 頂絲白於鷺
손이 오자 상을 내어 오는데 / 客來方進饌
구차하니 만난 찬 바랄 수 없거니 / 窮不待珍貝
들과실과 밭의 푸성귀들 / 野果與園蔬
그것은 모두 친히 가꾼 것이네 / 皆由親種樹
손님 떠나자 남은 상을 설거지할 때 / 客去收殘尊
어린애 할멈에게 매달리네 / 嬌兒帶老姥
그릇 덜거덕 소리는 저녁 바람을 타고 / 器聲逐晩風
옆집까지 울리어 오네 / 吹落西家去
이웃 늙은 이 남은 술 생각하고 / 隣翁念餘瀝
오솔길 저녁 안개 뚫으며 오네 / 一徑穿夕霧

어느 새 기러기는 펄펄 날고 / 鴻雁已肅肅
쓰르라미는 이내 쓰르람 울어대고 / 蟪蛄仍啾啾
농부는 시절을 알고 쑥대 베어 / 田夫知時節
비로소 가을 알리네 / 銍艾始報秋
사방 이웃에 차가운 절구 소리 / 四隣動寒杵
그 소리 저녁내 쉴 줄 모르누나 / 通夕聲未休
새벽에 일어나 입쌀로 밥 지으니 / 晨興炊玊粒
구수한 김이 넘치네 / 溢甑氣浮浮
자줏빛 밤은 누른 잎 사이에서 떨어지고 / 紫栗落紅樹
붉은 비늘은 푸른 물에서 낚네 / 朱鱗鉤碧流
흰 병에 술을 따라 / 白瓶酌杜酒
손을 맞아 서로서로 주고 받나니 / 邀客更相酬
겉 모양 비록 추하고 초솔하나 / 外貌雖陋促
마음속의 정은 은근하네 / 中情尙綢繆
술이 다해 일어나 전송하러 나선 / 酒闌起相送
얼굴빛은 도리어 온 시름에 잠기네 / 顔色還百憂
관청 납세 독촉이 성화 같거니 / 官租急星火
집 안 식구 모아 미리 준비하네 / 聚室須預謀
진실로 공납은 바쳐야 하겠거니 / 苟可趁公費
어찌 사삿집에 남겨 둘 것 있으랴 / 私廬安肯留
어느 때에나 탁무 노공(옛날의 수령(守令))을 만나 / 何時得卓魯
도리어 맨 먼저 바쳐볼꼬 / 却作差科頭

대숲 길을 시내 좇아 열렸고 / 竹徑趁溪開
초가집은 언덕을 의지해 섰네 / 茅廬依崦結
한겨울에 북쪽 봉창 흙으로 막는 것은 / 窮冬墐北戶
바람과 눈을 막고자 함이려니 / 意欲防風雪
그래도 추위를 겁내지 않고 / 尙能知傲寒
매와 개를 데리고 사냥 나가네 / 鷹犬出遊獵
여우와 토끼를 쫓아 달릴 때 / 馳騁狐兔場
짧은 옷에는 흐르는 피 묻었네 / 短衣涴流血
집에 돌아오자 온 이웃이 기뻐하고 / 還家四隣喜
모여 앉아 실컷 먹네 / 促坐爭哺啜
날고기 먹는 것 무엇이 이상하랴 / 茹毛何足怪
거처하는 곳이 큰 둥우리와 굴이거니 / 居處壯巢穴
마른 석장이에 불을 붙이니 / 晶熒枯枿火
온 방이 어두었다 밝았다 하네 / 滿室互明滅
두 다리 사이에 온돌방에 깔아 말리는 붉은 팥이 어지러우니 / 兩股亂赬豆
옷깃과 옷자락 그 따라 찢어지네 / 襟裾從破裂
베이불에 뭇 아이들 끼고 누우니 / 布衾擁衆兒
궁하기가 새끼 거느린 오리와도 같아라 / 窮若將雛鴨
한밤이 다하도록 잠 들지 못해 / 竟夜眼不得
농사 이야기로 새벽에 이르렀네 / 農談逮明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