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종 (鐘)
종의 기원은 자세히 나타나 있지 않으나 옛부터 중국에서 인도의 건추에서 본받아 때를 알리는 데, 대중을 모으는 데 필요한 법구이다. 이것은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의 고통을 멈추게 한다는 것이다.
2) 법고 (法鼓)
부처님의 설법을 법고에 비유한 것이다. 북소리가 널리 퍼지는 것과 같이 삼천대천세계에 널리 퍼지는 것에 비유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축생(畜生)의 고통을 쉬게 하는 법구인 것이다.
3) 목어 (木漁)
마치 고기모양으로 나무를 깎아 속을 파고 그것을 조석예불(朝夕禮佛)때 치는 것인데 이것은 수중(水中) 중생의 고통을 쉬게 하는 법구로 쓰여진다는 것이며, 또 일설에는 물고기는 잠을 자지 않기 때문에 정진하는 사람들이 잠에 취해서는 안되는 것을 경책하는 뜻이기도 하다.
4) 운판 (雲板)
청동(靑銅)을 가지고 구름처럼 아로새긴 것을 매달고 조석예불 때 치는 것인데 이것은 허공세계에 사는 중생의 고통을 쉬게 하는 법구라 일러오는 것이다. 그리고 옛날 선방에서는 밥 때를 알리는 신호로도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이상 네가지를 "사물"이라 하는 것인데 사찰의 법구로서는 가장 소중히 생각하는 불구(佛具)로 보통 종루에 갖춰놓고 조석예불시 법식에 맞춰 친다.
5) 목탁
그 뜻은 목어와 같은 것인데 주로 깨우치는데 의미가 있으며 대중을 모으는데 쓰는 신호이기도 한 것이며 모든 의식 집행에 있어 가장 많이 쓰이는 소중한 법구이다. 처음에는 쇠로만들었던 것을 나중에 나무로 만든 것 같으며 이러한 법구들은 거의 전부가 중국에 와서 선종사찰에서부터 비롯된 것이라 생각한다.
6) 죽비
이것도 중국 선원에서부터 만들어 쓴 것인데 앉고 일어서고 입선(入禪)과 방선(放禪)을 알리는 신호로써 쓰는 것이다. 선원은 언제나 정숙한 곳이기에 시끄러운 법구는 될 수 있는 데로 사용하지 않으며 묵언(默言)에 도움이 되는 법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7) 발우(鉢盂)
이것은 부처님때부터 직접 공양하던 그릇인데 그 뒤로 스님들이 밥그릇으로 쓰는 소중한 법구이다. 불기(佛器)와 같이 소중한 그릇이다.
8) 요령(搖鈴)
이것도 남방계통에서는 볼 수 없는 법구로 본래는 밀교에서 쓰던 것이 차츰 널리 퍼져 북방 계통의 사찰에서는 모든 의식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법구이다.
9) 다기(茶器)
이것은 본래 불교에서는 없던 것인데 중국에서부터 정화수를 떠놓던 토속적인 신앙과 합류된 것으로 지금은 북방계통에서는 모두 쓰고 있는 법구이다.
10) 염주(念珠)
수주(數珠)라고도 하며 부처님께 기도하거나 절을 하면서 참회할 때 수를 헤아리기 위해서 만든 구슬꾸러미, 보통 108개(108번뇌를 뜻함)이며 혹 천주 삼천주도 있음. 보리수 열매인 보리자염주 많으며 그 외 여러가지 재료로 다양하게 만들어짐.
손목에 거는 조그만 염주를 단주라고 한다.
'尋劍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반의 종류 (0) | 2007.09.04 |
---|---|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0) | 2007.09.03 |
9월 1일 배포 예정 자료입니다. (0) | 2007.09.01 |
천중(天中) 소개 (0) | 2007.08.30 |
보살상 소개 (0) | 2007.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