尋劍堂

탱화(3) - 아미타 후불탱화

難勝 2008. 3. 19. 05:09

아미타불을 모시는 극락전에 봉안된 탱화로서

아미타불이 서방정토에서 무량한 설법을 하고 있는 장면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아미타후불탱화(阿彌陀後佛幀畵)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모시는 극락전에 봉안된 탱화로서

아미타불이 서방정토에서 무량한 설법을 하고 있는 장면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아미타후불탱화는 주존이 아미타불로 설법인이나 미타정인을 취하고,

좌우 협시보살로서 관음과 대세지, 혹은 관음과 지장보살이 배치되는 것만 다를 뿐 영산회상도와 비슷하다.

이밖에 아미타부처님이 협시보살 등을 거느리고 망자를 극락으로 인도하시는 아미타래영도(阿彌陀來迎圖)와

《관무량수경》에 설해진 내용을 그림으로 옮긴 관경변상도(觀經變相圖)가 있다.


우리나라의 아미타불화는 몇 가지 형식으로 그려지고 있다. 


첫째, 아미타불이 단독으로 그려지는 경우(大德十年 阿彌陀如來圖)로,

아미타불이 연화대좌 위에 9품인의 수인을 하고 앉거나 설법하는 모습이다.

둘째, 아미타불과 좌우 협시보살의 삼존불을 그리는 경우(無爲寺 極樂殿 後佛壁畵 등)로 중앙에 설법하는 아미타불과

좌우로 관음과 대세지보살, 또는 관음과 지장보살을 배치하는 두 가지 경우가 보편적이다.

셋째, 아미타불과 4보살 또는 8대보살을 그리는 5존도와 9존도(延祐七年銘阿彌陀九尊圖)이다.

아미타불의 좌우에 관음, 대세지, 문수, 보현의 네 보살과 미륵, 지장, 제장애, 금강장보살을 더하여 8대보살을 그린다.

넷째, 아미타불과 보살들, 아라한들, 그리고 이들을 외호하는 사천왕 등이 묘사되는

복잡한 형식(동화사 극락전과 장곡사 아미타후불탱, 천은사 아미타극락회상도)이다.

중앙의 아미타불 좌우로 보통 네 명씩 8대보살이 배치되는 것이 통례이고, 여기에는 지장보살이 빠짐없이 보인다.

 이 외에 여러 불(佛)과 제자 아라한들의 성문중이 배치되며, 범천과 제석천, 사천왕 등이 각각 좌우에 배치된다.

다섯째, 서방극락을 2단으로 배치하여 윗부분에는 궁전을, 아랫부분에는 극락의 연못을 그리고,

아미타불과 관음, 대세지의 삼존불을 중심으로 온갖 권속과 극락의 장면을 충실히 묘사한 극락정토변상인 셈이다.


▶ 아미타래영도(阿彌陀來迎圖) :

아미타신앙은 결국 서방극락에 태어나는(往生)에 있다.

그래서 신분의 귀천이나 고하를 막론하고 일심(一心)으로 아미타불을 외우고 염불하면

아미타불이 마중 나와 서방극락으로 인도해 간다고 한다. 아미타래영도도 몇 가지 형식으로 그려진다.


첫째 아미타 단독으로 염불수행자를 맞이해 가는 그림.

둘째, 아미타불과 관음 ·대세지의 삼존불이 와서 맞이해 가는 것으로, 삼존불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셋째, 아미타불과 8대보살이 와서 맞이하는 아미타9존래영도로 아미타불과 8대보살이 구름을 타고 오는 모습이다.

넷째, 아미타불과 성중이 맞이해 가는 그림으로 아미타불과 관음 ·대세지보살에


제자 ·아라한 ·공양비천 ·주악상 등이 따르거나 또는 8대보살과 성중들이 따르는 등 다양하다.

다섯째, 아미타불과 성중이 맞이해 가는 것으로 왕생하는 자들을 배(龍船)에 태워

인로왕보살과 관음보살이 극락의 아미타불에게 인도해 가는 모습이다.


▶ 관경변상도(觀經變相圖) :

《정토삼부경》의 하나인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의 내용을 변상으로 그린 그림이다.

서분변상(序分變相)과 본변상(本變相) 등 두 종류가 있는데,

서변분상은 경을 설하게 된 인연을 그린 그림이고, 본변상은 극락을 16장면으로 나누어 그린 16관경변상도이다.


'尋劍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분(春分)  (0) 2008.03.19
불교 용어집(45) - 사무량심, 사문, 사바세계.....  (0) 2008.03.19
법구경 - 대구(對句) (2)  (0) 2008.03.19
절에 가기 전에......  (0) 2008.03.19
포대화상  (0) 2008.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