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사는 이야기

10.26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 다시보기

難勝 2009. 10. 25. 15:09

 

 

1979년 10월 26일 밤 7시 40분경 궁정동 중앙정보부 안가(安家)에서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이 중앙정보부장인 김재규(金載圭)에 의해 권총으로 시해당한 사건.


배경

1972년 유신체제가 시작된 이후 한국에는 억압적인 비민주적 정치가 지속되어 1970년대 후반으로 넘어오면서 그동안의 정치적·경제적 모순들이 폭발하기 시작했다.

경제적으로는 유신체제가 중점적으로 육성했던 중화학공업에 대한 무리한 투자로 경제상황이 악화되고 있었고 고도성장으로 1인 장기집권의 정당성을 보장받으려 했지만 강압통치로 인해 박정희 정권에 대한 민심은 크게 이반(離反)되어갔다.


또한 저임금을 바탕으로 한 수출주도형 공업화를 기저로 하는 고도성장은 상대적으로 그 희생양이었던 근로자·농민 등의 소외감을 확대시킴으로써 그 생존권 요구는 점차 거세졌다.


대외적으로도 1977년 출범한 미국 J. 카터 행정부와 박정희 대통령과의 불화가 정치적 위기를 가중시켰다.

카터 행정부는 남북교차승인과 미군철수라는 대한(對韓)정책을 이용하여 한국의 인권상황에 대한 개선을 종용함으로써 정치적·경제적·군사적으로 미국에 의존하여 정권을 유지해온 박정희 대통령과의 갈등을 유발했고, 여기에 더하여 박동선(朴東宣) 사건과 핵무기 자체 개발 시도는 미국과의 관계악화를 더욱 심화시켰다.


이러한 상황에서 야당과 재야세력의 반독재민주화운동과 민중의 생존권 투쟁은 광범위하게 전개되었다.

잇단 긴급조치와 재야인사들의 구속에도 불구하고, 1978년에는 동일방직사건과 함평고구마수매사건 등 생존권투쟁이 잇따랐다.

이러한 민심을 반영하듯 같은 해 12월에 실시한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이 31.7%를 득표한 데 비해 신민당은 32.8%를 획득함으로써 집권 여당의 위기감을 증폭시켰다.

1979년에 들어서서 YH노조사건과 신민당총재 김영삼(金泳三) 국회의원직 강제 제명사건 등이 연속되면서 정치적 위기는 극에 달했다.


과정

1979년 10월 16일 부산과 마산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생하자 이를 진압하기 위해 부산과 마산에 각각 계엄령과 위수령이 발동되었다.

이미 유신체제는 반정부 데모를 막기 위해 계엄령을 발동할 수밖에 없는 극단적인 위기에 몰리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이러한 일련의 사태와 김영삼 총재의 국회의원직 강제 제명, 부마사태에 대한 정부의 지나친 강경대응 등은 그동안 진행되어왔던 집권층 내부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즉 10·26사태 직전의 국내외적 상황은 유신체제가 더이상 지속되기 어려운 한계상황이었다.


더욱이 집권층 내부의 갈등은 당시 중앙정보부장이었던 김재규와 대통령 경호실장이었던 차지철(車智澈)의 대립구도로 표면화되었다.

이들의 대립을 결정적으로 증폭시킨 것은 유신체제에 대한 국민의 저항, 특히 부마사태의 처리 문제였다.

여기에서 차지철의 강경노선이 박정희에 의해 채택되자 그동안 차지철의 견제로 불만이 누적되어오다 퇴진위기에까지 몰린 김재규가 10월 26일 궁정동 중앙정보부 안가에서 가진 만찬 도중에 대통령과 차지철을 살해했다.

 

인간의 오욕락이라는게, 먹고살만 하면 명예를 노리는 것이니,

어쩌면 필연의 과정이었을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그래도, 지긋지긋한 가난에서 벗어나게 해 준 대통령임은 틀림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