尋劍堂

수행의 종류

難勝 2011. 5. 22. 04:37

 

 

 

수행의 종류

 

우리나라에 알려진 수행의 종류는 십수 가지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많은 불자들이 활용하는 수행법을 열거하면 , 염불 수행, 주력 수행, 절 수행, 독경, 간경 수행, 사경 수행, 사불 수행, 지관수행법 등이 있다.

 

 

염불수행

부처님을 염함으로써 내 마음 또한 부처님처럼 바뀌게 되기를 바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염불수행은 아미타부처님의 육자 명호를 외우면서 부처님께 귀의하는 것이 요체이다.

 

1)염불 - 부처님을 마음속으로 간절히 생각하며 떠올리는 것. 나무관세음보살, 나무아미타불, 나무석가모니불 등을 부르며 자신의 마음을 부처님 마음과 합치시키는 일.

 

2)염불의 종류 : 칭명염불, 관상염불, 실상염불

칭명염불(稱名念佛)-입으로 불보살의 명호를 부르며 염하는 것

관상염불(觀相念佛)-불보살의 특징이나 모습을 보면서 염하는 것

실상염불(實相念佛)-부처님의 본래 마음이 공의 이치를 염하는 것

 

칭명염불을 하면서 관상염불이나 실상염불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

염불삼매-삼매에 들어 염불하는 것

 

3)정근(精勤) - 염불삼매에 들 정도로 지속적으로 정신하는 것, 선법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을 멀리 여의고 부지런히 쉬지 않고 수행하는 것, 한 마음 한 뜻으로 불보살의 지혜와 공덕을 찬탄하면서 그 명호를 부르며 정진하는 것.

 

 

주력(주력)수행

특정한 문장이나 음절을 입으로 계속 염속하는 수행법을 말한다. 진언이라고 도 하는 주력의 언어는 일반적인 의사소통의 말이 아니라 초월적이고 신성한 의미와 능력을 갖고 있다고 본다. 수행자는 이러한 언어를 반복적으로 염송함 으로써 자신의 업장을 털어내고 극락왕생한다고 믿는다.

 

주력(呪力)이란 진실한 말의 힘이다. 그 진실한 말은 한자로 진언(眞言)이라 한다. 이 진언을 외우는 수행이 주력 수행이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주력의 실천법을 현실생활에서 요청되는 악을 물리치고 복을 구하는 소원성취의 수단으로 삼기도 했으며, 궁극적으로는 수행의 단계로까지 끌어올렸다. 즉 주력 수행을 통해 성불할 수 있는 길은 열어 놓은 것이다.

 

주력 수행은 기도 공덕을 성취하는 것을 물론이요, 기초 수행으로서 집중력을 키우고 산란한 마음을 다스리며 업장을 소멸하는 역할을 한다. 주력의 종류로는 천수대비주, 능엄주, 육자대명왕진언, 광명진언 등이 대표적이다.

 

 

절 수행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수행법이다. 절은 자신의 신체를 낮춰서 상대를 높이는 수행이라고 할 수 있다. 절 수행은 두 무릎과 두 팔꿈치와 이마 등 다섯 부분을 땅에 붙여 온몸으로 예배하면서 양손으로 상대방의 발을 받든다는 의미에서 오체투지

(五體投地)라고도 한다. 절이 수행이 될 수 있는 것은 탐진치 삼독심을 내리면서 아상이 없는 무아를 성취 하기 때문이다.

 

절은 몸을 굽혀 상대에 대해 존경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예법이다. 절은 동양 문화권 어느 곳에나 있지만, 불교에서는 두 무릎과 두 팔꿈치와 이마의 다섯 부분을 땅에 붙이고 양손으로는 상대방의 발을 받든다는 의미에서 오체투지(五體投地)라고 한다. 자신의 이마를 존경하는 대상의 발밑에 대고 양 손으로 공경하는 것은 자기를 낮추는 하심의 표현이다.

 

절이 기도 및 수행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절을 할 때 자신의 마음을 낮추어 탐욕, 화, 어리석음이라는 삼독심(三毒心)을 없애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절이 단순히 몸의 굴신운동으로만 끝나고 자신을 낮추는 하심이 없다면 올바른 수행법이 될 수 없다. 불교 수행에서 중요한 것은 지혜의 개발이다. 삼매의 체험만 있고 지혜가 드러나지 않아 번뇌를 소멸시킬 수 없다면 그것은 불교 수행법이라고 할 수 없다. 한결같은 마음으로 절을 하다 보면 우리 마음 속에 있는 불성이 드러나 지혜가 밝아지고 마음이 순일해져 부처님의 바른 법을 보게 된다.

 

 

독경 간경 수행

말 그대로 ‘경을 읽거나 보는 공부’이다. 이 독경 내지 간경의 대표적 대상으로는 경(經), 율(律), 논(論) 삼장이 이에 해당된다. 부처님 말씀을 수지독송하는 독경, 간경은 승단의 일과 중에 하나로 자리잡혀 있다. 특히 새벽녘의 독경은 부처님 당시에서부터 재가신자들의 일과에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사경(寫經) 수행에서 사(寫)의 의미는 “베끼다, 옮겨놓다, 본뜨다”이다. 즉, 사경은 부처님 말씀을 옮겨 쓰는 것을 의미한다. 사경 또한 경율논 삼장을 중심으로 옮겨 쓴다. 이는 진리를 한자한자 정성스레 베껴쓰면서 부처님의 생을 닮아감으로써 성불에 이르고자 하는 데 근본 목적이 있다. 사경하면서 부처님의 말씀을 떠올리고 이해하면서 그것을 내면화하면 부처님과 같아지는 것이다.

 

 

사불(寫佛) 수행

불상을 그려내거나 새기는 행위를 함으로써 부처님의 말씀과 마음을 온전히 체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사불은 선수행의 일종인 관상법(觀想法)이라고할 수 있다. 사경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깊은 선정에 들어 부처님에 대한 충분한 관상을 한 후 행위에 들어가는 것이 순서이다. 사불은 사경과 함께 어린아이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 불법을 자연스레 체득할 수 있는 쉽고 흥미로운 마음 공부법이기도 하다. 특히, 자칫 딱딱해지기 쉬운 교리 공부가 시각적인 효과로 드러남으로써 흥미유발은 물론 정신적 안정을 이끌어 내는 데에도 큰 효과를 보이고 있다.

 

참선과 지관 수행

즉, 지관(止觀) 수행을 통해서 부처님의 깨달음에 다가갔다고 볼 수 있다. 지관 수행법에서 지(止 )는 선정 바라밀을 뜻한다. 몸과 마음을 그치게 함으로써 번뇌를 가라앉히는 수행법이다. 관(觀)은 자신의 몸과 마음을 늘 관찰함으로써 지혜를 얻어가는 마음공부이다. 말하자면 지관은 선정과 지혜를 얻는 공부로서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통하여 깨달음 에 이르는 것이다. 번뇌의 장애 없는 선정은 지혜의 도움 없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선정의 도움 없는 지혜는 머리로만 하는 수행이 되기 쉽다. 따라서, 지관 수행은 자신에 대한 지극한 자각과 깊은 선정을 함께하는 수행이라고 할 수 있다.

'尋劍堂'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달음의 길  (0) 2011.05.27
사찰의 美 - 태극(太極)  (0) 2011.05.24
사찰의 상징 - 원상(圓像)  (0) 2011.05.20
사찰의 美 - 주악 인물상  (0) 2011.05.17
사찰의 상징 - 가릉빈가  (0) 2011.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