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반·입적·원적의 뜻은
“모든 것은 변하는 것이다. 게을리 하지 말고 노력하라.”
석존께서 마지막으로 이렇게 말씀하셨다. 사라수숲 속의 두 그루 나무 사이에 마련한 침상 위에 누우셔서 사바세계를 떠나셨다. 음력 2월 15일을 우리는 열반기(涅槃忌)라고 한다.
부처님의 죽음을 ‘열반’이라 한다. 열반(涅槃, Nirvana)은 꺼진 상태, 꺼진 것을 의미하며 또한 ‘깨침의 경지’를 가리키기도 한다. 결국 깨침에 도달하게 되면 모든 번뇌는 무너져 꺼진 상태로 변하고 모든 것이 소멸되기 마련이다. 깨침이 오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보리수 아래에서 처음 깨침을 얻었던 것도 열반이라고 해야 하지만 보통은 죽음에 당도한 때를 이른다.
즉 육신을 가지고 깨침에 이르는 것과 죽어서 육신이 멸하는 경우를 모두 열반이라고 한다. 탐욕이 다하여 사라져 버리고, 탐(貪)·진(瞋)·치(癡)의 삼독심(三毒心)을 털어버린다는 것이다. 이것이 니르바나, 곧 깨침인 진리의 경지에 드는 것이다.
입적(入寂)은 바꾸어 말하면 입열반(入涅槃)이라고도 한다. ‘어느 스님이 입적하셨다’는 말을 들어 듣는데, 입적은 이생의 고난을 벗어나서 열반의 증과(證果)에 오름을 말한다. 또한 증과에 들어간 사람의 죽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시적(示寂)은 적멸(寂滅)의 뜻으로 열반을 번역한 말인데 스님의 죽음을 석존의 입멸에 견주어 만들어낸 듯 한다. 원적(圓寂)은 원만한 적정(寂靜)이라고 할 수 있다. 번뇌와 잡념의 세계를 여의고 청정한 열반계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후세에 와서 스님들의 죽음을 귀적(歸寂)이라고도 하며, 입적(入寂)·시적(示寂)이라고도 하게 된 것은 이러한 데서 시작해서 각각 다르게 표현되었을 따름이다. 이생은 하룻밤을 쉬어가는 객사(客舍)라는 비유도 있다.
화장마당에서 다비(茶毘)의 연기가 늦가을 하늘로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그 순간, 우리는 생사의 갈림길을 절감하게 된다. 멀고 험한 인생길, 그 길은 우리 모두 예외 없이 가야 하는 길이다.
'尋劍堂'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범수제(隨犯隨制) - 계율을 정한 뜻 (0) | 2008.12.03 |
---|---|
제3회 포교사고시 문제해설(8) (0) | 2008.12.03 |
천상천하 유아독존의 뜻은 (0) | 2008.12.02 |
제3회 포교사고시 문제해설(7) (0) | 2008.12.02 |
본래 한 물건도 없다(本來無一物) (0) | 2008.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