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상징 - 일원상 둥근 원을 불교에서는 일원상이라고 하는데, 우주만유의 본원 또는 원융무애한 법을 상징한 다. 그래서 선가에서는 일원상을 1천7백 공안(화두)의 하나로 삼고 있다. 시작도 없고 끝도 없는 일원의 근본을 추구하는 것이 ○자 화두다. 예로부터 선방에서는 일원상을 벽에 그려 놓고 참선정진해 오고 있.. 尋劍堂 2007.09.23
불교의 상징 - 금강저 밀교의식에 쓰이는 작법용 불구로 번뇌를 없애는 보리심을 상징한다. 제존존상이 가진 법구 또는 스님들의 수행도구로 사용된다. 원래는 고대 인도의 무기였다. 밀교에서 불구로 채용한 것은 제석천이 금강저를 무기로 삼아 아수라를 쳐부순다는 신화에서 비롯됐다.우리나라의 밀교계 종파에서는 진.. 尋劍堂 2007.09.22
9월 22일 자료입니다. 2007년 9월22일 자료입니다. 지난 주 참회게 계속하겠습니다. 백겁적집죄(百劫積集罪) 백겁을 살면서 쌓인 죄업 일념돈탕진(一念頓蕩盡) 참회하는 일순간에 다 없어져서 여화분고초(如火焚枯草) 불이 마른 풀을 태우듯 멸진무유여(滅盡無有餘) 하나도 없게 하소서 죄무자성종심기(罪無自性從心起) 죄는.. 尋劍堂 2007.09.21
불교의 상징 - 연꽃 연꽃은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다. 부처님은 설법을 하실 때에도 연꽃의 비유를 많이 들었다. 또한 선가에서 '염화시중'의 미소요, 이심전심의 묘법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어느날 영산회상에서 부처님이 설법을 하시지 않고 곁의 연꽃 한 송이를 들어 대중에게 보였는데 제자중에 가섭존자가 홀로 미소.. 尋劍堂 2007.09.21
불교의 상징 - 법륜 부처님의 교법으로 일체 중생의 번뇌를 씻는 것을 법의 수레바퀴로 표현했다. 초기 불교의 교단에서는 부처님의 설법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나 중국에서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분류하는 교상판석에 많이 붙여 사용하였다. 대표적인 주창자로는 축도생.길장.진체.현장등이 있다. 축도생은 부처님.. 尋劍堂 2007.09.20
불교의 상징 - 卍자 범어 Srivatsalksana(수리밧살크사나), 万字, 萬字, 卍字 라고도 한다. 길상해운(吉祥海雲), 길상희선(吉祥喜旋)이라고도 쓴다. 吉祥(길상)과 행운의 표시이다. 삼십이상(三十二相)의 하나로 불타의 가르침에 덕상(德相)이 있고 또 불타의 수족(手足), 두발(頭髮)과 허리에도 있다고 한다. 이에 상당한 범어는.. 尋劍堂 2007.09.19
통일신라의 불교학 - 풍수지리설의 유입 선종의 수용과 함께 새로운 문화사조들도 수용되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풍수지리설이다. 수도를 정할 때라든지 대형 건물을 세울 때에 주변의 산세와 하천의 방향을 고려하는 등의 풍수적 관념은 이미 삼국시대 초기에도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 중국의 풍수지리 이론을 덧붙여서 체계적.. 尋劍堂 2007.09.17
통일신라의 불교학 - 선종의 수용 단계 신라 후기의 불교계의 가장 큰 변화는 선종의 수용이었다. 선종은 8세기 이후에 중국에서 급속하게 발전하며 불교계의 중심사조로 등장하였는데, 중국에 유학한 승려들을 통해 이 새로운 사조가 신라에도 차츰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9세기 중엽에는 선을 배운 다수의 유학승들이 일시에 귀국하면서 .. 尋劍堂 2007.09.15
9월 15일 무상님 자료입니다. 2007년 9월15일 자료입니다. 6. 사방찬(四方讚) 도량찬(道場讚) 사방찬(四方讚) 일쇄동방결도량(一灑東方潔道場) 첫째 동방을 씻어서 도량이 깨끗하고 이쇄남방득청량(二灑南方得淸凉) 둘째 남방을 씻어서 도량이 깨끗하고 삼쇄서방구정토(三灑西方俱淨土) 셋째 서방을 씻으니 정토가 이루어지고 사쇄.. 尋劍堂 2007.09.14
9월 15일 자료입니다. 2007. 9. 8 불교문화(심효섭 교수님) 강의 요약입니다. 불교 공예 - 사찰에서 쓰이는 물건 중 의식에 쓰이는 불교 의식구 - 1990년대 중반부터 관심이 점증하고 있음 - 불교 의식의 공통 특징 : 절제의 미 - 의식에는 염불, 사경등을 수행하는 自行 의식과 천도재 등의 他行 의식이 있음 <천도재 의식구> 1.. 尋劍堂 2007.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