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포교사고시 문제해설(4) 7. 다음 설명은 팔정도의 덕목 중 어떤 내용을 설명한 것인가? "바른 생활이다. 옳은 일에 종사하고 몸과 말과 마음의 신구의(身口意) 삼업을 청정히 하면서 바로 사는 것을 말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바른 직업관을 가지고 생명에 임해야 한다." ① 정정(正定) ② 정명(正命) ③ 정정진(正精進) .. 尋劍堂 2008.11.28
석존의 마지막 설법, 그리고 입멸은 석존의 마지막 설법, 그리고 입멸은 49년에 걸친 석존의 교화는 중인도, 북인도 전역에 걸쳐 발길이 안닿는 곳이 없었다. 국왕, 크샤트리아, 브라만, 장자, 천민 등 제자들이 불길처럼 인도 각지로 퍼져 나갔다. 반면에 석존의 가슴을 아프게 한 일들도 있었다. 그 하나는 출가할 무렵부터 줄곧 교분이 .. 尋劍堂 2008.11.26
제3회 포교사고시 문제해설(3) 6. 다음 중 37조도품(助道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사념처(四念處) ② 사정단(四正斷) ③ 오정심관(五停心觀) ④ 칠각지(七覺支) 37조도품(三十七助道品)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수행하는 37가지의 방법을 말합니다. 즉 4념처(念處), 4정근(正勤), 4여의족(如意足), 5근(根), 5력(力), 7각지(覺支), 8정도(正.. 尋劍堂 2008.11.26
석존의 최초 설법은 석존의 최초 설법은 석존은 제일 먼저 누구에게 법을 전할까를 생각한 끝에 처음 출가했을 때의 스승이었던 카라마와 라마풋타가 머리에 떠올랐다. 그러나 이미 그들은 죽은 뒤였다. 그래서 함께 고행하던 다섯 비구를 생각하시고 그들이 있는 베나레스로 길을 떠났다. 석존이 베나레스에 이르렀을 .. 尋劍堂 2008.11.25
제3회 포교사고시 문제해설(2) 5. 원시불교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치 못한 것은? ① 근본불교 또는 초기불교라고도 한다. ② 약간 저급하고 발달되지 못한 상태의 불교를 가리킨다. ③ 부처님 성도부터 아쇼카왕 때가지(약 150년 간 또는 250년간)의 불교를 가리킨다. ④ 부처님 가르침 속에 그 당시의 생활 모습 등이 비교적 잘 나타.. 尋劍堂 2008.11.25
헛된 몸 길러봐야...... 수행없는 헛된 몸은 길러봐도 이익없고 덧없는 뜬 목숨은 아껴봐도 소용없네. 행자마음 깨끗하면 모든 하늘 칭찬하고 도인으로 색욕내면 선신들이 떠나가네.. 사대의 몸 흩어지고 오래오래 못 머물며 오늘 벌써 저녁이라 내일 아침 닥쳐오네 세간 욕심 뒷 고생을 어찌하여 탐착하며 한번 참는 낙이 긴.. 尋劍堂 2008.11.25
18불공법 - 삼념주(三念住), 대자비심(大慈非心) 세 가지 바른 마음 자세(三念住) 세가지 바른 마음 자세란 중생이 부처님을 세 가지 방법으로 생각해도 부처님의 마음이 흔들림 없이 항상 그 자리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삼념주(三念住)라 한다. 첫째, 모든 중생이 부처님을 받들고 따르더라도 기쁜 마음에 흔들리지 않고 항상 바르게 생각 하신다( .. 尋劍堂 2008.11.25
18불공법 - 사무소외(四無所畏) 네 가지 확신(四無所畏) 부처님께서는 네 가지 확신, 즉 두려움을 없는 네가지 마음을 가지고 계신데 이를 사무소외(四無所畏)라고한다, 사무소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의 깨달음을 얻었다고 분명히 말씀하시는데 조금도 의심도 없는 확신이다 (정등각무소외 正等覺無所畏) 둘째, 모든 번뇌가 다 .. 尋劍堂 2008.11.25
다라니(多羅尼)란 다라니(多羅尼)란 다라니(多羅尼)란 범어 dharani의 음역이며, 총지(總持)·능지(能持)·능차(能遮)라 번역되며 진언(眞言)이라는 표현으로 통용된다. 다라니는 부처님의 참된 경지를 밝히는 말소리이며, 그것을 입으로 불러서 무명을 깨뜨린다고 해 명(明)이라고도 한다. 다라니는 본래 정신을 집중해 .. 尋劍堂 2008.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