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말은 어떤 것인가 나쁜 말이란 어떤 것인가? 나쁜 말이란 탐욕과 분노와 우치에서 나온다. 모든 우치한 범부는 항상 나쁜 말을 버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런 나쁜 말은 한량없는 종류가 있지만 그것은 모두 한량없는 반연과 한량없는 인연과 한량없는 마음에서 나오므로 또한 한량없는 과보가 있다. 그말은 한량없는 .. 尋劍堂 2008.10.30
원주불교대학 강의노트 - 한국불교사(불교의 전래와 수용) 2007. 6. 23 불교역사(김경집 교수님) 강의 요약입니다. 한국 불교사 1. 구분 1) 발전기 : 삼국시대~통일신라 후기(372년 ~ 신라 경덕왕) 2) 계승과 침체기 : 신라 후기~고려시대 3) 쇠퇴기 : 조선 건국 ~ 1895년(도성 출입금지 해제) 4) 회복기 : 1895 ~ 현재 2. 불교의 전래와 수용 1) 공식적으로는 고구려 소수림왕 .. 尋劍堂 2008.10.30
제1회 포교사고시 문제해설(17,마지막) 七佛-16 제1회 포교사 문제(85~89번) 해설입니다. (일부 잘못된 해설은 질문 바랍니다.) 86. 교화 상대의 근기에 따라서 하는 설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대기설법(對機說法) - 간혹 對器說法으로 쓰기도 합니다. 대기설법(對機說法)이란 부처님이 가르침을 펴실 때 각각 중생의 근기와 처지에 따라 맞게 가장.. 尋劍堂 2008.10.30
불교인은 돈을 벌어서는 안되는가 불교인은 돈을 벌어서는 안되는가 아니다. 불교인도 정당한 방법으로 부지런히 노력하고 절약해서 돈을 버는 것은 좋은 일이다. 그러나 나와 내 가족만을 위해서 재물을 축적해서는 안되고, 가난하고 고통받는 중생들을 참사람되게 하기 위해서 돈을 벌고 돈을 쓰면 그보다 좋은 일은 없다. 尋劍堂 2008.10.30
악한 사람이 잘 살고 선한 사람은 못 사는 것같이 보이는데 악한 사람이 잘 살고 선한 사람은 못 사는 것같이 보이는데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우리가 눈 앞의 일만 보고 먼것을 잘 못보는 결과 그렇게 보일 뿐이다. 악한 일을 하면 반드시 악한 결과가 생기고 선한 일을 하면 틀림없이 선한 결과가 생긴다. 일시적으로 악한 사람이 잘 사는 것 같이 보일지는 몰.. 尋劍堂 2008.10.30
신행 및 수행(9) - 독경(讀經) * 독경(讀經) 독경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깊은 믿음을 내고 감사하고 환희하는 마음으로 목소리를 내어 일심으로 불경을 외우거나 읽는 것을 말한다. 또한 독경은 법문을 굴린다는 뜻으로 전경(轉經)이라고도 한다. 경전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기록한 것으로써 불교에서는 보통 법보(法寶)라 하며 부처.. 尋劍堂 2008.10.29
초발심시변정각(初發心時便正覺) 초발심시변정각(初發心時便正覺)이라는 말은 처음 깨달음의 마음을 내는 그 안에 이미 깨달음이 성취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처음 보리심을 내는 순간이 중요하다는 의미가 강하게 내포되어 있습니다. 깨달음의 지혜를 얻고자 하는 마음인 보리심에는 이미 깨달음의 정각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처.. 尋劍堂 2008.10.29
「자비심을 발하라」하는 것은 무슨 뜻인가 「자비심을 발하라」하는 것은 무슨 뜻인가 중생은 모두 본질적으로 일심동체이다. 남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남이 아니다. 어떤 사람이 좋은 일을 하면 그것을 자기 일처럼 기뻐하는 것이 「자(慈)」요, 어떤 사람이 나쁜 짓을 하면 그것을 내 일처럼 아파하여 그것을 없애주려고 하는 것이 「비(悲)」.. 尋劍堂 2008.10.29
참 나와 부처님은 별개의 것인가 참 나와 부처님은 별개의 것인가 참 나와 부처님은 별개의 것이 아니다. 나의 번뇌망상, 즉 사리사욕에서 생긴 온갖 잘못된 생각이 없어지고 생각과 말과 행동이 다 공명정대 해지면 그 나가 바로 부처님인 것이다. 尋劍堂 2008.10.29
원주불교대학 강의노트 - 佛畵에 관하여 2007. 6. 16 불교문화(심효섭 교수님) 강의 요약입니다. 불화(불교의 그림) - 불교미술은 근본적으로 불교교리의 영향을 받으며 사상의 변화에 따라 같이 변화 함 - 불교미술은 설법을 하는 說主와 청중을 표현하려 함이 탄생 배경 - 입체적으로 조각한 것이 불상, 평면적으로 표현한 것이 불화 불화의 종.. 尋劍堂 2008.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