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포교사고시 문제해설(17) 七佛-15 제1회 포교사 문제(81~84번) 해설입니다. (일부 잘못된 해설은 질문 바랍니다.) ※ 다음 문제들을 잘 읽어보고 나서 올바른 답을 답안지의 빈 란에 정확히 기재하시요(주관식 단답형 1문항 당 2점). 81. 부처님이 처음으로 법을 설하신 곳은 어디인가? 녹야원 부처님이 다섯 비구에게 최초의 설법을 .. 尋劍堂 2008.10.29
신행 및 수행(9) - 발원(發願) * 발원(發願) 발원이란 스스로 어떤 원(願)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 원(願)이란 '기필코 모든 중생을 다 건지겠다'는 것과 같이 대승 보살로서의 삶을 살기 위해 무엇을 하겠 다고 뜻을 세우는 것이다. 그러므로 발원은 단순히 자기자신의 개인적인 복을 비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이 사회가 아름다운 .. 尋劍堂 2008.10.28
불교에서의 오방색 불교에서는 오방색보다는 부처님의 광명을 찬란함을 표시하게 위해 단청을 합니다. 오방색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방색(五方色) - 색의 조화, 천지만물의 조화 우리 민족은 고대인의 특성 가운데 하나인 태양숭배사상과 경천사상에 따라 예부터 백색을 신성한 색으로 다루었는데, 이 흰색은 물감을 들.. 尋劍堂 2008.10.28
제1회 포교사고시 문제해설(15) 七佛-14 제1회 포교사 문제(66~80번) 해설입니다. (일부 잘못된 해설은 질문 바랍니다.) 66. 불교의 사회적 영향력 확대를 위해 신도조직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3 ① 불교에 우호적인 전문인과 생활인의 조직화 ② 직장인(일하는 사람들)을 기반으로 한 삶으로써의 불교구현 ③ .. 尋劍堂 2008.10.28
불교에서는 집착을 하지 말라고 하는데 왜 집착이 나쁜가 불교에서는 집착을 하지 말라고 하는데 왜 집착이 나쁜가 본래 이 세상 모든 것은 인연으로 생긴 것이요, 또 인연 따라 달라지는 것인데 이것을 고정불변의 것처럼 생각하고 집착하는 것은 도리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집착이란 어떤 물건 또는 어떤 사람, 어떤 지위·명예·재물 등을 애착하거나 증.. 尋劍堂 2008.10.28
사람의 욕심은 전부 나쁘기만 한가? 사람의 욕심은 전부 나쁘기만 한가요 사람이 자기 자신만을 위한 욕심을 내면 그런 욕심은 나쁘지만 많은 사람들이 참사람이 되도록 좋은 일을 하려고 자기 스스로 수양하려고 하는 욕심은 욕심이 아니라 보살의 발원(發願)이므로 결코 나쁘지 않다. 尋劍堂 2008.10.28
원주불교대학 강의노트 - 불교 기본교리 2007. 6. 9 불교교리(문무왕 교수님) 강의 요약입니다. *불교교리 1. 연기법: 불교의 가장 핵심적인 교리이며 진리의 내용이다, 연기란-모든 것은 ‘원인과조건’이 있어서 생겨나고 원인과 조건이 없어지면 소멸한다는 존재의 ‘생성과 소멸의 관계성’을 뜻한다. 즉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此有.. 尋劍堂 2008.10.28
笑傲江湖 - 세상을 傲視하며...... 滄 海 一 聲 笑 (파도에 웃음을 싣다) 滄 海 一 聲 笑 (푸른파도에 한바탕 웃는다) cnag hai yi sheng xiao 滔 滔 兩 岸 潮 (도도한 파도는 해안에 물결을 만들고) tao tao liang an chao 浮 沈 隨 浪 記 今 朝 (물결따라 떴다 잠기며 아침을 맞네) fu chen sui lang ji jin zhao 滄 天 笑 紛 紛 世 上 滔 (푸른 하늘을 보고 웃으며 .. 尋劍堂 2008.10.27
醉時歌[취시가]취하여 부르는 노래 醉時歌[취시가]취하여 부르는 노래 - 杜甫[두보]- 諸公袞袞登臺省[제공곤곤등대성] 제공은 줄줄이 높은 벼슬 오르는데 廣文先生官獨冷[광문선생관독냉] 광문선생 벼슬만이 홀로 쓸쓸하고 甲第紛紛厭粱肉[갑제분분염량육] 즐비한 고급저택 고량진미 넘치는데 廣文先生飯不足[광문선.. 尋劍堂 2008.10.27
원주불교대학 강의노트 - 12연기 2007. 6. 9 불교교리(문무왕 교수님) 강의 요약입니다. 12연기 <서론> - 불교 교리는 본래 초기 경전인 아함경(Agma)의 내용임. - 아함경의 종류 : 잡아함경, 중아함경, 장아함경, 증일아함경 - 아함경의 가장 중요한 핵심은 緣起(연기) - 연기는 이후 상관론, 유식론으로 발전 됨. <연기> 1. 연기란 세상.. 尋劍堂 2008.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