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불러내는 사람들 나를 불러내는 사람들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淨口業眞言이다. 입으로 지은 업을 깨끗이 한다는 말이다. 입으로 짓는 잘못이 얼마나 많기에 천수경의 첫 구절에 올렸을까? 사람에게 말이란 가장 편리한 것이면서도 가장 불편한 것이다. 생각을 가장 쉽게 표현 전달하는 방법이므로 편리.. 拈華茶室 2011.04.12
지혜는 인내하는 것 인내의 지혜가 결실로 이어지길 기원하며... 손녀는 할머니의 이상한 행동이 마냥 신기하기만 하다. '할머니! 할머니! 왜? 자꾸만 그렇게 콩에 물만 줘요??` 할머니는 말없이 그냥 빙그레 웃으신다. '음.. 그건 말여'... 그리고는 아무 말씀도 없이 또 그냥 웃기만 하신다. 그리고는 다음날도 그 다음날도 .. 拈華茶室 2011.04.11
조선시대 차의 종류 조선시대 차의 종류 1. 작설차(雀舌茶) ㉠ 차의 어린잎이 새의 혀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 산지 - 전국의 차 산지에서 생산 ㉢ 명칭 - 통일된 이름, 조선시대에 차의 대명사 처럼 됨 ㉣ 역사 - 고려 - 대각국사, 이제현, 원천석, 한수 조선 - 태종 2년(1402), 세종9년(1427), 김시습, 서거정, 신숙주, 허준(한.. 拈華茶室 2011.04.10
앞으로 간다고 앞만 보는가 앞으로 간다고 앞만 보는가? 말(馬)에 관한 지식이 천하에서 가장 훌륭하다는 백락(伯樂)이라는 사람이 어느 날 뒷발질 잘하는 말을 감별하는 법을 두 사람에게 가르치고자 하였다. 그는 두 사람을 데리고 마구간에 가서 뒷발질 잘하는 말을 골라보게 하였다. 한 사람은 말의 앞다리를 살펴보았다. 다.. 拈華茶室 2011.04.09
고려시대 차의 종류 고려시대 차의 종류 1. 뇌원다(腦原茶) 뇌원다는 고려 왕실의 애용품으로 모든 진다의식에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공을 세운 신하에게 하사하는 하사품이나, 외국에 공물로 보내는 예물로서도 사용했고 또는 부의품(賻儀品)으로도 사용 하였다. 이 차는 산지에 다소(茶所)를 설치하여 두고 그 산지에서.. 拈華茶室 2011.04.09
우리나라에 차는 언제 들어왔을까? 우리나라에 차는 언제 들어왔을까? 우리나라에 차에 대한 기록으로는 삼국사기 보다 70여 년 전에 씌어진 가야국기 (伽倻國記)에 인도 이유타국 공주인 허황옥(許黃玉33-89)이 금관가야의 김수로왕의 비로 시집오면서 차와 차씨를 가져왔다고 나와 있다. 그때 차씨를 심은 곳이 지금의 김해 지방이다. .. 拈華茶室 2011.04.06